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이달의 섬 여행] 안보관광의 메카, 연평도
[이달의 섬 여행] 안보관광의 메카, 연평도
  • 박상대 기자
  • 승인 2017.11.20 16: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기는 곧 돈'은 옛말, 꽃게도 중국어선으로 피해
구리동 해변에는 몽돌이 있고, 그 끝에 병풍바위 언덕이 있다. 사진 / 박상대 기자

[여행스케치=연평도] 지난 2013년 북한의 포격으로 섬 전체가 공포에 휩싸인 후, 안보관광지로 급부상한 연평도. 한때 조기파시가 열릴 정도로 조기잡이 어선이 많이 드나들었던 섬. 서해안 최대 꽃게어장을 가지고 있는 연평도에 다녀왔다.

군밤타령이 절로 나던 연평도

“바람이 분다/바람이 분다/연평 바다에/어허 얼싸 돈바람 분다/(후렴)얼싸 좋네 아하 좋네/군밤이여 에라/생률밤이로구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구리동 해변에서 북한 땅으로 넘어가는 장엄한 해넘이를 볼 수 있다. 사진 / 박상대 기자

경기민요 <군밤타령>의 1절에 연평도 앞바다 이야기가 나온다. 연평 앞바다에 바람이 부는데 돈바람이 분다는 것이다. 연평도에서 만난 김연순 문화관광해설사는 “70년대 조기파시가 열릴 때는 지나가는 개들도 돈을 물고 다녔다는 우스갯소리가 날 정도였다.”고 말한다. 70년대까지 조기파시가 열렸고, 연평도 사람들은 그물로 돈을 건져 올렸다.

연평도에서 조기가 돈이 되고 양식이 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 인조 때다. 임경업 장군이 병자호란 후 청나라로 잡혀간 세자들을 만나러가던 중 날씨가 고르지 못하여 연평도에 들렀다고 한다.

농토가 부족하여 양식이 충분치 않다는 섬 주민들을 위해 장군이 고기잡이 방법을 고안해주었다. 마을 뒷산에서 가느다란 나무를 베어다 발을 엮어서 썰물일 때 바다에다 가지런히 꼽게 한 후, 물이 들었다 나갈 때 나뭇가지 발에 걸린 물고기를 잡아 올리게 했는데, 이것이 조기잡이의 신기술이었다.

조선 인조 때 임경업 장군이 처음 조기잡이 기술을 가르쳐준 곳 당섬. 사진 / 박상대 기자
임경업 장군에게 정월마다 제사를 지내는 사당 충민사. 사진 / 박상대 기자
조기박물관 전경. 내부에는 옛날 조기잡이에 관한 역사적 자료들이 전시되고 있다. 사진 / 박상대 기자

지금도 연평도 앞에 있는 작은 섬, 본섬에서 연도교로 이어진 당섬 옆에 그 옛날 임 장군이 조기를 잡았던 그 자리가 보존되고 있으며, 섬 주민들 여섯 가구가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잡아 올리고 있다. 그물 앞에서는 주민들이 갱과 고동을 비롯한 어패류들을 잡고 있다.

연평도 사람들은 그 후 조기를 잡아다 육지 사람들에게 팔아서 식량을 마련하고 생활용품을 구입했다. 지금도 마을 뒷산에 임장군의 사당을 지어놓고 정월이면 제사를 지내고 있다. 그런데 이즈음 연평도 인근에서는 조기가 많이 잡히지 않는다. 수온의 변화와 무분별한 남획으로 조기들이 연평도 주변에서 남쪽으로 옮겨갔다는 것이다.

이즈음 연평바다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꽃게다. 꽃게가 돈을 물고 올라온다는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이다. 연평도에 가면 꽃게탕과 꽃게장을 푸짐하게 먹을 수 있다.

평화를 깬 연평도 포격...안보와 평화의 소중함 느껴

2013년 북한군이 연평도를 포격한 이후, 잠시 섬 안에는 공포감이 감돌았다. 북한군의 포격으로 군인과 주민들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하고, 가옥 수십 채와 여러 건물이 불에 타거나 허물어졌다. 많은 주민들이 인천으로 피난을 떠나야 했다.

멀리 있는 바위가 아이스크림 바위다. 사진 / 박상대 기자
면소재지 마을에 연평도 포격 때 불탄 가옥들을 보존하여 안보전시관을 만들어 놓았다. 사진 / 박상대 기자
안보전시관에서는 2013년 북한군의 포격 당시 상황을 영상으로 비교해 볼 수 있다. 사진 / 박상대 기자
연평도항 전경. 사진 / 박상대 기자

마을에 복구공사가 벌어졌고, 거의 비슷한 벽돌 건물로 부서진 가옥들을 복원했다. 피난을 떠났던 주민들은 인천에서 머무르다 고향으로 돌아왔고, 섬에는 다시 평온이 감돌고 있다.

섬에 평화가 깃들면서 연평도를 찾아오는 여행객들이 부쩍 늘고 있다고 한다. 평화의 소중함을 깨달은 사람들이 포격현장을 확인하기 위해 찾아온 것이다.

연평도에는 안보관광기념관이 들어섰고, 당시 포격당한 현장이나 군인들이 피해를 입은 현장, 주민들이 대피했던 현장이 여행코스로 개발되었다. 안보기념관에는 포격으로 불타고 무너진 가옥 세 채를 여행객들이 관람할 수 있도록 보존하고, 그 주변에 유리벽을 쳐두었다. 그리고 당시 포격장변과 우리 군인들의 대응포격, 주민들이 대피상황을 거리 카메라 영상자료로 대비시켜 상영하고 있다.

김연순 해설사는 “이곳을 찾은 여행객들은 아직도 영상을 보며 긴장하고, 안보와 평화가 얼마나 소중한지 충분히 체험하고 느끼고 간다.”고 말한다. 그리고 북한군의 포격 이후 연평도에는 훨씬 튼튼한 대피시설들이 만들어졌고, 군인과 주민들이 더더욱 가까워졌다고 한다.

병풍언덕, 빠삐용 절벽...기암괴석에 붙여진 이름들

연평도는 아름다운 해변을 가지고 있는 섬이다. 연평항에서 내린 후 마을에 있는 민박집이나 펜션에 여장을 풀고 나면 미니버스나 숙박집 차를 타고 구석구석을 찾아다닐 수 있다.

임경업 장군이 조기잡이를 시도했다는 당섬 일대는 썰물일 때 구경하는 것이 좋다. 밀물일 때는 접근하기가 곤란하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제대로 구경할 수도 없다.

조기박물관 근처에 있는 빠삐옹 절벽. 사진 / 박상대 기자
연평항에 서 있는 노래비와 망향대. 사진 / 박상대 기자
연평도 해넘이. 사진 / 박상대 기자

섬의 서쪽에 구리동해변은 병풍언덕을 품고 있다. 바닷바람을 머금고 살고 있는 소나무 숲길을 지나면 철조망 너머 해안에 크고 작은 몽돌이 깔려 있다. 완만한 몽돌밭을 지나면 맑은 물결이 출렁이는 바다다.

여름에는 해수욕객이 많이 찾는다. 구리동 해변의 자랑거리는 장엄한 해넘이 풍경이다. 바다로 사그라드는 붉은 태양이 아니라 철도망 너머로 사라지는 해를 맞이하면 감흥이 특별하다.

구리동 해변에서 소나무숲길을 따라 오르면 산 정상에 조기역사관과 연평해전 전사자 위령탑 이 있고, 조기역사관 너머에 빠삐옹 절벽이 있다. 빠삐옹 절벽은 수직으로 깎아지른 절벽이다. 마치 영화 빠삐옹의 무대였던 절벽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준 이름이다.

조기역사관 위에서 내려다보면 오금이 저릴 정도로 무시무시하다. 그래서 이곳 주민들은 불알조리개 언덕이라고 부른다. 사내들이 그 언덕에 서 있으면 불알이 쪼그라든다고 해서 부르는 이름이다.

조기역사관 아래 해안 쪽으로 내려가면 안보터널이 있다. 예전에 북쪽 바다를 향에 포구를 겨누고 있던 은밀한 포구다. 이곳에는 아직도 녹슨 박격포가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터널 안에는 연평도의 자연과 문화를 설명해주는 사진들이 붙어 있다.

꽃게탕, 조기매운탕, 그리고 해물칼국수

실향인들의 향수를 달래 주는 망향비에서는 북녘 옹진군을 가까이 볼 수 있다. 날씨가 맑은 날은 육안으로도 북한 땅을 볼 수 있는데 북한 군인들의 움직임, 풍력발전 시설 등이 보인다. 북한 쪽 바다에서는 중국 어선들이 떼를 지어 꽃게를 잡는 모습이 자주 시야에 들어온다고 한다.

망향비를 돌아내려오다 파선봉 쪽으로 가면 아주 기묘한 바위들이 자리하고 있는 해안이 나온다. 그 해안 한쪽에 아이스크림 바위가 있다. 아이스크림을 하나씩 사준다는 가이드의 이야기를 듣고 솔깃해서 따라 갔는데 입에 물 수 있는 아이스크림이 아니라 카메라에 담을 수 있는 아이스크림이어서 여행객들은 푸훗 웃음을 터뜨린다.

연평도에는 먹을거리가 풍성하지 않다. 여행객이 많지 않기 때문에 대형 음식점이나 특산품판매점도 없다. 작은 음식점에서 꽃게탕과 조기매운탕, 해물칼국수와 생선구이백반을 판다. 자장면집이나 편의점, 노래방이 있지만 구색을 맞추고 있는 정도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