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가을산] 도대체 누가 그리 울었나, 포천 명성산
[가을산] 도대체 누가 그리 울었나, 포천 명성산
  • 여행스케치
  • 승인 2003.11.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명서산의 가을 풍경.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명성산의 가을 풍경.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산자락을 따라 미끄러지듯 펼쳐진 명서산 억새밭.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산자락을 따라 미끄러지듯 펼쳐진 명성산 억새밭.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여행스케치=포천] 드넓은 억새밭 가운데 나무 한그루가 서있다. 그 밑에 졸졸 약수 물이 흘러나온다. 그 물에 하늘하늘 춤추는 푸른 가을 하늘이 담겨있다.

명성산을 오르는 길은 여러 갈래이다. 비선폭포와 등룡폭포가 있는 계곡 길로 올라가 안덕재로 가는 길이 14km로 좀 길긴 하지만 평탄하다. 편하게 갈 요량으로 계곡으로 들어갔는데 여성 등산객 세 명이 내려오며 투덜댄다. 인근 군부대에서 사격훈련을 하고 있어 등룡폭포 부근에서 더 이상 못 가게 한다는 것이다. 입구에서 본 산행안내도에도 평일에는 군 훈련으로 통제될 수 있다고 쓰여 있었다.

되돌아 나와서 산정호수를 끼고 도는 도로를 따라 한 10분 더 걸어 들어갔다. 그 곳에 자인사가 있는데 사찰 옆으로 해서 올라가는 코스가 있다. 길이라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무척 험했다. 돌들이 무너져 내린 계곡을 따라 직선으로 산을 올라가는 코스다.

자인사에서 올라가는 길. 너무 험해서 이렇게 나무계단을 만들어 놓았다.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자인사에서 올라가는 길. 너무 험해서 이렇게 나무계단을 만들어 놓았다.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거북이를 닮은 바위.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거북이를 닮은 바위.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중턱 쯤 오르면 석벽이 나오고 그 위에 의자가 있다. 거기에 앉아 내려다보는 산정호수가 산 정상에서 보는 것보다 나았다는 게 좀 위안이 됐다. 계속 오르면 억새밭 정상. 자인사에서부터 한 시간 반 정도 걸렸다. 억새밭 정상에는 이층 팔각정이 하나 있고 그 아래 비스듬하게 펼쳐진 산자락에 억새가 무성하다.

힘들게 올라왔으니 명성산 정상까지 가보자 하고 삼각봉으로 향했다. 동쪽으로는 절벽이요, 서편으로는 비스듬히 내려가는 평원이라 사방이 내려다 보였다. 능선을 따라 고개를 넘다보니 아담한 봉우리가 하나 나선다. 해발 907m 삼각봉. 명성산 정상은 그 뒤로 이어지는데 시간은 어느새 4시가 넘었다.

억새밭 한가운데 있는 약수.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억새밭 한가운데 있는 약수.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대충 눈짐작으로도 정상까지 갔다가는 해지기 전에 돌아오기가 어려울 것만 같았다. 아쉬움을 남겨두고 억새밭 정상으로 되돌아와서, 억새밭을 가로 질러 내려갔다. 억새를 헤치며 내려가는 길이 마치 헤엄치는 것만 같았다. 억새밭을 가로 질러 내려가다 만난 능선 언덕에 이정표가 있는데 능선을 따라 계속 비스듬히 돌아 내려가는 길과 능선에서 등룡폭포가 있는 계곡으로 곧장 ‘떨어져 내려가는’ 길이 있다.

등룡폭포 가는 계곡 길은 평탄해서 노인이나 아이들도 갈 수 있다.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등룡폭포 가는 계곡 길은 평탄해서 노인이나 아이들도 갈 수 있다. 2003년 11월. 사진 / 이민학 기자

망설이다 험한 길을 택해서 내려가는데 다음에 오면 절대 이 길로 올라오지 말아야겠다고 머릿속에 적어 두었다. 등룡폭포까지 굴러 내려오는데 10여 분 정도밖에 안 걸렸다. 등룡폭포에서부터는 계곡을 따라 내려가는 평탄한 길이다. 지도상으로 볼 때 명성산 정상까지 갔다면 서편으로 길을 잡아 산하고개로 내려오거나, 동북쪽으로 용화저수지를 거쳐 내려올 수 있었다.

명성산은 우리말로 하자면 ‘울음산’인데 후삼국시대 태봉국의 왕 궁예가 의동생 왕건에 의해 쫓겨 온 곳이다. 기록을 뒤져보니 어떤 이는 궁예의 최후를 슬퍼하여 새가 울었다 하고 또 다른 이는 신하들과 말이 울었다 하고, 또 다른 이는 궁예 자신이 우는데 산이 따라 울었다고 적어 놓았다. 누구 말이 맞는지는 모르나 가을 명성산 삼각봉에는 까마귀 두 마리가 울고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