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서해안 맛기행] '굴도둑'하다 '밥도둑'되는, 서산 간월도 어리굴젓 & 영양굴밥!
[서해안 맛기행] '굴도둑'하다 '밥도둑'되는, 서산 간월도 어리굴젓 & 영양굴밥!
  • 김연미 기자
  • 승인 2004.11.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영양굴밥 한 상.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영양굴밥 한 상.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할머니는 바지락을 잡으며 "나는 작은 것만 잡아!" 한다. 할머니 뒤로 간월암이 보인다.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할머니는 바지락을 잡으며 "나는 작은 것만 잡아!" 한다. 할머니 뒤로 간월암이 보인다.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여행스케치=서산] 간월도는 8.27㎢ 정도밖에 안되는 작은 섬마을이다. 천수만이 생기면서 인근 창리와 방조제로 연결되어서 서울에서 2시간이면 갈 수 있다. 간월도에는 물이 빠지면 갈 수 있는 간월암이 있고, 간월암 반대쪽에는 천수만이 있다. 추수가 끝나는 이즈음에 다양한 새떼들이 몰려와서 장관을 이룬다.

무악대사가 간월암에서 정진할 때 석화를 먹으며 했다고 한다. 또한 태조 이성계에게 어리굴젓을 진상하면서 그 명성을 얻었다. 간월도 굴은 어릴 때는 바위나 돌에 붙어 자라다가 완전히 자라면 돌에서 떨어져서 갯벌에서 사는 토굴로 변한다. 그걸 채취해서 젓을 담근다.

간월도 굴은 다른 곳에 비해 검고 날개부분이 많고 크다. 굴을 담그는 과정은 약 이십일 정도 걸린다. 우선 굴을 따서 바닷물에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뺀다. 그 다음 태안 곰섬에서 나온 1년 이상 묵혀놓은 천일염으로 간을 맞춰서 15일 정도 발효시킨다. 이 때 소금의 양이 중요하다. 굴보다 소금을 적게 넣는다.

갓 담근 어리굴젓.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갓 담근 어리굴젓.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여기 말로 ‘얼간’이라고 한다. 어리굴젓이란 이름도 여기서 나왔다. 그래 어리굴젓은 짜지 않다. 얼간한 굴젓에 태양초 고춧가루를 넣고 버무려 먹는데 금방 먹는 것 보다 2-3일 지나서 먹어야 충청도 사투리로 “겁나게 맛있슈”라는 말이 나온다.

섬마을표 어리굴젓 유명근 사장님이 손수 비벼가며 시범을 보여주는데 간월도 굴은 날개가 커서 양념이 골고루 묻으니 더 맛이 난다고 한다. 어리굴젓 하나면 뜨끈뜨끈한 밥 한 그릇을 뚝딱! 게 눈 감추듯 해치울 수 있다. 입맛 없을 때는 어리굴젓이 딱이다! 간월도에 또 하나 유명한 게 영양굴밥이다. 호두, 콩, 밤 등 12가지 몸에 좋다는 것을 넣어서 만든다.

굴 비린내가 나지 않는 비결은 대추다. 대추를 적당히 넣으면 굴의 비린내가 고소한 냄새로 바뀐다. 죽염간장을 넣어서 비벼 먹으니 더 맛나다. 곁들어서 냄새나지 않는 청국장이 같이 나오니, 한상 푸짐하다. 영양굴밥에 어리굴젓을 올려놓고 먹어도 맛있다.

서산 마애삼존불.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서산 마애삼존불.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Tip. 소박함이 멋스러운 서산 문화재 둘러보기
서산 마애삼존불
가야산 자락에 자리한 마애삼존불은 ‘백제의 미소’라는 명칭을 얻을 만큼 백제 불상의 소박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산 속 고풍리저수지를 지나서 용현계곡을 따라 오르면 마애삼존불을 모신 전각이 있다. 해가 비치는 방향에 따라서 미소가 달라진다는 마애삼존불. 지금은 인공조명으로 문화해설가가 어떻게 빛에 따라서 미소가 변하는지 보여준다.

세분의 부처님이 양각되어 있는데, 가운데 본존인 석가여래의 두툼한 미소가 일품이다. 그냥 갔을 때 “음메, 잘 생겼네”하며 구경만 하지 말고 부처님에 담긴 내용을 보라고 스님이 귀띔을 한다. 1천5백년 전 백제 때부터 무수한 사람들의 고통과 염원이 담겨있는 오묘한 미소다.

보원사터
마애삼존불에서 용현계곡을 따라 5분 정도 올라가면 넓은 터가 나온다. 상왕산 서남쪽에 자리한 보원사터. 절은 없고 개울 사이로 당간지주, 석조, 오층석탑, 법인국사 부도와 부도비가 있다. 고려시대 절로 추정한다. 보원사는 중국 사신들이 왔을 때 웅진과 사비로 가는 중 머물던 곳이라고 한다. 백제 수도로 가는 길이다. 요즘처럼 잘 지어진 절만 보다가 절이 없어진 절터를 보니 새롭다.

개심사
개심사 오르는 길은 마치 구도자가 정진을 시작하기 위해 오르는 길인 듯 느껴진다. 대웅보전, 심검당 등 개심사는 늘 가도 변함이 없다. 기둥 하나도 자연스러움 그대로 살렸다. 개심사는 백제 말기인 654년에 창간되었다. 여러 번의 중창을 고쳤지만 여전히 세월의 묵은 맛을 느끼게 해준다. 세상의 번잡함과는 거리가 있어 개심사 이름처럼 마음을 열고 가라.

해미읍성.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해미읍성.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 해미읍성
조성시대 읍성 중 전북 고창읍성과 함께 가장 잘 보존된 읍성이다. 조선 성종 22년에 세워졌다. 평지에 쌓인 읍성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성의 둘레에 탱자나무를 심었기 때문에 탕자서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을날 해질 무렵 읍성을 따라서 쭉 걸어보라. 안과 밖, 과거와 현재의 경계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걸죽한 맛이 일품인 어죽.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걸죽한 맛이 일품인 어죽. 2004년 11월. 사진 / 김연미 기자

● 어죽 맛집, 용현집
삼존마애불 올라가는 입구에 있는 어죽 잘하는 집. 서산, 당진 지역은 어죽을 거칠게 갈아서 고춧가루를 넣어서 매콤하게 끓인다. 수제비가 아닌 일반 칼국수를 넣어서 양푼에 끓여주는데 별미다. 야외에는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의자가 놓여있어 옛 교실풍경을 생각나게 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