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초록별 가족의 체험여행] 정치망 어업과 조개잡이 체험, 삼척 장호항과 맹방 해변
[초록별 가족의 체험여행] 정치망 어업과 조개잡이 체험, 삼척 장호항과 맹방 해변
  • 구동관 객원기자
  • 승인 2005.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그물에 고기들이 모였다. 이젠 배로 옮기는 작업을 할 차례.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그물에 고기들이 모였다. 이젠 배로 옮기는 작업을 할 차례.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여행스케치=삼척] 새벽3시 잠에서 깨었다. 삼척 장호항에서 배를 타기로 약속한 시간은 새벽4시. 혹시 배를 놓칠까 하는 맘에 잠을 설쳤다. 잠자리에서 뒤척거리는 일이 어설펐다. 조금 일찍 나갔다. 조그만 포구와 고깃배 몇 척과 비린내…. 잠에서 깨지 않은 새벽 바다는 낯설지만 살갑다.

#1. 토요일 새벽3시, 장호항 정치망 어업
장호는 어촌 체험마을이다. 다양한 어촌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새벽에 배를 타고 어부의 작업을 체험하는 것도 그 중 하나다. 예정보다 조금 늦은 새벽 4시 30분, 정치망 어선 ‘동진호’가 장호항을 출발했다.

정치망 어업은 수심 50m에 그물을 설치하고 그 안으로 고기가 들어오게 하는 함정 어법이다. 한번에 많은 고기를 잡을 수 있는 것이 정치망의 이점인데, 요즘은 고기가 많이 잡히지는 않는다고 했다. 함께 나간 배는 세 척이었다.

새벽 4시, 어둠 깊은 장호항에서 어부들이 정치망 작업을 하고 있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새벽 4시, 어둠 깊은 장호항에서 어부들이 정치망 작업을 하고 있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각각의 배에는 다섯 명의 선원이 타고 있었다. 까만 바다를 20분쯤 달려 어장에 도착했고, 바로 작업이 시작되었다. 배가 멈춰선 뒤 커다란 삼각형을 만들었다. 그 삼각형의 안쪽에 그물이 쳐 있었다.

선원들은 각각의 배에서 그물을 당겨 고기를 한곳으로 모았다. 대부분 오징어였다. 그물을 당길 때마다 배가 심하게 요동쳤다. 바이킹을 탄 기분이다. 고기를 다 모으기도 전에 멀미가 나기 시작했다. 빈속이라 나올 게 없지만 고통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물을 당기는 작업이 끝나면, 모은 고기를 배로 옮겨야 한다. 체험객은 그 작업에 참여 할 수 있는데, 멀미 때문에 그 체험에 참여하기가 벅찼다. 참여는 고사하고 고기 잡는 모습을 구경하는 것도 벅찼다. 작업 공간을 비켜 배 뒤쪽으로 가서 쪼그리고 작업이 빨리 끝나기만을 기다렸다.

잡아온 오징어를 포구에 내리고 있는 모습.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잡아온 오징어를 포구에 내리고 있는 모습.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2시간쯤 지나 작업이 마무리 되었다. 멀미에 시달린 고통스런 순간도 지났다. 그 사이 날이 밝았고, 배는 장호항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동진호의 선장님은 돌아가는 길에 맛있는 고기 한 마리를 골라 회를 쳤다.

멀미에 시달린 체험객에게도 소주 한잔과 회 한점을 권했다. 아직도 가시지 않은 멀미 때문에 손사래를 쳐야만 했다. 배를 타기 전에는 갓 잡아 올린 회 한점을 생각하며 침을 꿀꺽 삼켰는데…. 장호항으로 돌아오면서 어설픈(?) 체험도 끝이 났다.

장호항 어판장에서 오징어를 다듬고 있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장호항 어판장에서 오징어를 다듬고 있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동진호는 잡아 온 오징어를 포구에 내렸다. 포구에 내려진 오징어는 바로 경매로 넘어갔다. 마른 오징어를 만들기 위한 작업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2시간 반쯤의 체험은 좋은 경험이었다.

아직은 대중적인 어촌 체험으로 진행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지만, 짧은 시간 체험 위주 프로그램으로 바꾼다면 아주 매력있는 어촌 체험이 될 것이다.

전형적인 어촌 포구인 장호항의 모습.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전형적인 어촌 포구인 장호항의 모습.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2. 일요일 오전 10시, 맹방해변 조개잡이
토요일 저녁 장호항 근처 맹방해수욕장에서 텐트를 치고 하루를 묵었다. 밤에 바로 옆 텐트에서 큰 목소리로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들 때문에 짜증이 나고 잠을 조금 설쳤다. 하지만 자정을 넘겨서는 그런대로 편안한 잠자리였다.

더욱이 동해의 맑은 바람소리와 시원한 파도소리를 들으며 아침을 맞이하니 지난밤의 고통도 씻은 듯이 날아가 버렸다. 눈을 뜨고도 한참이나 뒤척이며 게으른 기상을 했고, 간단한 아침 식사를 했다. 그래도 열시가 넘지 않았다.

장호항 방파제 위의 등대.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장호항 방파제 위의 등대.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어제 새벽 장호항에서 한 고생을 생각하면 하루를 너무 편하게 시작한 셈이다. 바닷물에 들어가기에도 좀 이르다는 생각이 들자 다른 놀거리를 생각했다. 우리가 생각한 것은 조개잡이였다.

“서해가 아니고, 동해에서 조개를 잡는다고?”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우리 가족은 그동안 동해를 여행하면서 자주 조개를 잡았다.

동해 조개잡이는 그동안 무척 원시적이었다. 우선 바다로 들어간다. 배꼽이 잠길 정도라면 적당하다. 너무 깊으면 조개를 발견하고도 잡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자, 이제 조개를 찾아보자.

끌개로 잡으면 백합이 금세 한가득 찬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끌개로 잡으면 백합이 금세 한가득 찬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손으로 찾는 게 아니다. 발로 더듬어야 한다. 발바닥에 힘을 줘 바다 속의 모래밭을 파헤친다. 까칠한 촉감의 무엇인가를 발견한다. 조개 아니면 돌이다. 처음에는 조개와 돌이 구별되지 않지만, 몇 개만 찾아보면 구별이 된다.

그런 방법으로 조개를 잡으면 두 시간쯤의 고된 노동으로 스무 개 남짓의 조개를 잡을 수 있다. 한 가족이 딱 한 끼 국 끓여 먹을 양이다. 물론 따져보면 고된 노동을 보상해줄 만큼의 소득은 아니다.

이번 여행에도 조개를 잡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른 방법을 생각해 두었다. 근처 주민이 조개 잡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전날 오후에 눈여겨 봐 두었다. 그 도구는 ‘끌개’라는 것이다. 전부터 끌개를 사용해서 조개를 잡아보고 싶었다.

끌개. 이 도구로 조개를 끌어모은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끌개. 이 도구로 조개를 끌어모은다. 2005년 9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마침 텐트를 관리하는 곳에서 끌개를 빌려 주었다. 끌개의 사용 방법은 아주 단순하다. 조개가 있을 만한 곳에서 끌개를 끌고 다니기만 하면 된다. 끌개를 사용하면 효과도 아주 좋다.

조개가 많은 곳을 골랐다면 5분쯤만 끌어도 바가지를 가득 채울 만큼 조개가 나온다. 그렇게 잡은 조개가 ‘백합’이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분포하는 ‘백합’은 맛이 좋아 귀족조개로도 불린다.

동해의 조개잡이는 갯벌을 파며 조개를 잡는 서해 갯벌체험과는 또 다른 매력이 있다. 물론 끌개로 모래바닥을 파헤치며 끌고 다니는 일이 쉬운 일만은 아니다. 해변과 너무 가까우면 조개껍질만 가득이고, 깊은 곳은 파도가 높아 위험하다.

어떻든 재미보다 안전이 우선이다. 수심이 알맞은 곳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조개를 잡을 것.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