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한국의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③ 봉정사, 산 속에 숨은 듯 자리해 장구한 역사를 이어오다
[한국의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③ 봉정사, 산 속에 숨은 듯 자리해 장구한 역사를 이어오다
  • 노규엽 객원기자
  • 승인 2019.09.05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규모는 작지만 화엄의 가르침을 설파해온 천년고찰
영국 엘리자베스 2세가 방문한 인연
불교와 유교의 융합이 엿보이는 점에 시선 끌려
<편집자 주> 2018년 6월 30일,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서 개최된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이 신청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세계유산으로 등재가 확정됐다. 이에 해당하는 사찰은 영주 부석사, 양산 통도사, 보은 법주사, 해남 대흥사, 안동 봉정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등 총 7곳. 각 사찰이 세계유산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 역사적 이유와 사찰문화 등을 면면히 살펴본다.

[여행스케치=안동] 봉정사는 20년 전인 1999년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방문한 사실만으로도 호기심을 자아내는 사찰이다. 지난 5월에는 여왕의 둘째 아들 앤드루 왕자까지 방문하며 봉정사를 향한 궁금증을 더욱 높였다.

숲과 계곡 뒤편으로 넓게 자리 잡은 사찰 풍경
봉정사로 향하는 길은 대한민국 사찰들의 일반적인 풍경과는 다른 느낌을 선사한다. 한국 대부분의 사찰로 향하는 길은 깊숙한 산으로 간다든가, 관광객을 맞이하려는 식당 거리가 나타나는 것이 보통. 반면 봉정사로 향하는 길은 안동에 들어선 이래 주변으로 논과 밭이 비슷하게 이어져 한가로운 전원 풍경을 볼 수 있다.

마침내 도착한 입구에도 봉정사 휴게소라 이름 붙은 식당 겸 슈퍼 하나와 작은 주차장만이 자리하고 있다. 이름 높은 사찰 입구치고는 생소하지만, 시끌벅적하지 않은 분위기가 싫지만은 않다.

넓지 않은 공간에 자리 잡은 봉정사는 법당인 대웅전을 비롯해 건물들이 오밀조밀하게 붙어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넓지 않은 공간에 자리 잡은 봉정사는 법당인 대웅전을 비롯해 건물들이 오밀조밀하게 붙어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봉정사 매표소를 지나 절로 향하는 길은 경사가 가파른 포장도로. 동시에 소나무 등 수목들이 우거져 있어 짙은 그늘을 드리운다. 시간 여유가 있다면 천천히 거닐며 왼편 숲 속에 숨어있는 정자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조선시대에 봉정사를 자주 찾았다는 퇴계 이황이 계곡 옆에 명옥대라는 정자를 지어 절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함께 즐겼다고 한다.

소나무 숲의 끝에 이르면 터널을 뚫고 나온 듯이 하늘과 사방이 탁 트이는 장소에 도착한다. 봉정사 경내 주차장에서 보이는 건물들은 최근 새롭게 지은 템플스테이용 건물이고,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한 사찰 경내로 향하는 길은 주차장에서 오른편 경사로를 따르면 나타난다.

봉정사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인 만세루.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봉정사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인 만세루.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만세루 누각을 통해 외부를 바라보는 풍경은 마치 불가에서 속세를 보는 듯한 기분을 자아낸다. 사진 / 노규엽 기자
만세루 누각을 통해 외부를 바라보는 풍경은 마치 불가에서 속세를 보는 듯한 기분을 자아낸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부처님 형상으로 꽃을 심어놓은 화단 맞은편의 계단을 올라 만세루를 지나면 이내 모습을 드러내는 봉정사의 본당 건물. 그 양옆으로 자리한 전각들까지 합쳐 눈으로 확인이 가능한 건물들이 봉정사 경내의 거의 전부일 만큼 봉정사는 규모가 크지 않은 편이다.

봉정사 도륜스님은 “봉정사는 넓지 않은 곳에 자리 잡았지만 질서정연하게 조성되어 있다”며 “주변 산세가 사찰을 포근하게 감싸안은 형국이라 더 조화롭고 아름답게 보인다”고 말한다. 그 말에서 봉정사가 세계유산으로서 가치를 증명하는 것은 보유 문화재의 양보다는 질이 우수하다는 점을 눈치 챌 수 있다.

Info 봉정사
주소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입장료 어른 15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

봉황이 머문 자리에 터를 잡다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도륜스님은 “능인대사는 의상대사의 10대 제자 중에 한 명이었다”며 “의상대사께서 이곳에서 도를 닦던 능인대사에게 절을 짓고 운영하라 한 것”이라고 말한다.

봉정사가 자리한 천등산은 본래 대망산이라 불렸다. 능인대사가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 안을 환하게 밝혀주었다고 하여 천등산이라 이름을 바꾸고 굴 이름도 천등굴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봉정사를 오르내리는 길에 찾아볼 수 있는 명옥대.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봉정사를 오르내리는 길에 찾아볼 수 있는 명옥대.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그 후 더욱 수행에 정진하던 능인대사가 종이로 봉황을 접어 날리니 지금의 봉정사 자리에 와서 머물렀다 하여 봉황새 봉에 머무를 정을 따서 봉정사가 창건된 것이다. 

“봉정사 창건 시기는 의상대사가 직접 창건한 부석사에 비해 4년이 앞섭니다. 의상대사는 봉정사가 더 오래갈 터이지만, 화엄교학을 펼칠 정도로 많은 대중을 모을 수 있는 곳은 아니라서 소백산 등지에서 더 좋은 터를 찾았던 것이죠.”

안동 봉정사도 가까운 영주 부석사와 함께 화엄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대표적인 화엄사찰로 유명하다. 도륜스님은 “경북 북부 지방의 사찰은 의상대사의 영향을 많이 받아 거의 다 화엄종을 따르는 편”이라며 “봉정사도 조선시대까지 화엄사상을 중심으로 수행하는 도량이었다”고 말한다.

“화엄종이 가장 중요시 하는 가르침은 모든 것이 마음에 달린 것임을 깨우치는 것이죠. 사람은 누구나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 모두가 부처님 성품을 가지고 있는데, 아직 부처의 마음을 깨닫지 못했을 뿐입니다. 그러니 자신의 마음을 알고 마음을 찾아서 깨달음을 이뤄야 하는 것입니다.”

국보 제15호이자 봉정사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인 극락전과 삼층석탑.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국보 제15호이자 봉정사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인 극락전과 삼층석탑.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작은 건물도 다시 보게 되는 건축박물관
20년 전에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가 봉정사를 방문한 이유는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보고 싶다”고 요청에 따른 것이라 한다. 한국 내 다른 곳에도 천년고찰이 많음에도 굳이 봉정사로 여왕을 안내한 가장 큰 이유는 아마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 있어서가 아닐까 싶다. 바로 국보 제15호인 극락전이다.

극락전은 신라시대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은 고려시대의 건축물이다. 살아있는 건축박물관이라 할 수 있는 봉정사를 대표하는 건축물로서, 건축학도들에게 큰 의미가 있고 일반 관람객들도 외부와 내부 천장 등을 유심히 살펴볼만 하다. 

극락전 앞마당에 자리한 돌탑에서 엘리자베스 2세도 축원을 했다고 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극락전 앞마당에 자리한 돌탑에서 엘리자베스 2세도 축원을 했다고 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극락전 앞에 있는 좁은 마당에는 삼층석탑과 작은 돌무덤이 함께 자리해 있다. 엘리자베스 2세도 이 돌무덤에 기와조각을 얹으며 축원을 하였다고 한다.

또한 20년이 지난 2019년 5월에는 아들인 앤드루 왕세자도 방문해 본인의 어머니가 보고 갔던 사찰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하니 더욱 흥미를 느낄 점이 많다. 당시 왕세자는 범종이 울리고 난 소리의 여운을 들으며 오래 심취했다고 한다.

앤드루 왕자가 방문했을 때 범종 소리에 심취하였다고 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앤드루 왕자가 방문했을 때 범종 소리에 심취하였다고 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봉정사의 법당인 대웅전은 본래 보물 제55호였다가 2009년에 국보 제311호로 승격된 사연을 지닌 건물이다. 대웅전은 특히 다른 사찰 건물과 비교되게 전면에 툇마루를 지닌 특이한 생김새가 눈길을 끈다.

도륜스님은 “안동, 영주 등 선비 문화가 짙은 곳에서는 유생들도 불가를 찾아 교류를 했다”며 “다른 사찰 건물에서 볼 수 없는 마루의 존재는 불교와 유교의 아름다운 공생이라 봐도 좋을 것 같다”고 말한다. 

대웅전 앞에는 툇마루가 만들어져 있는 특이한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대웅전 앞에는 툇마루가 만들어져 있는 특이한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봉정사에는 본당 건물과 조금 떨어져있는 영산암도 아름답다고 소문이 나있다. 유홍준 교수도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통해 “이렇게 감정의 표정을 많이 담은 마당을 본 적이 없다”라고 표현했다는 영산암.

궁금증을 가지고 영산암에 도착해보면 외부의 독특한 모습에 고개가 끄덕여지고, 내부로 들어서는 순간 양반들이 사는 정원처럼 느껴지는 풍경이 펼쳐져 놀라게 된다. “영산암 앞마당은 일상의 편안함이 깃들어 있다”는 유홍준 교수의 표현에 따라 불법을 수도하는 곳에서 만난 색다른 모습은 마주한 것만으로도 여유로운 마음을 가지게 해준다.

영산암에서는 생활의 편안함이 느껴지는 정원을 만날 수 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영산암에서는 생활의 편안함이 느껴지는 정원을 만날 수 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최근 도륜스님이 조성했다는 부처님 형상의 꽃밭.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최근 도륜스님이 조성했다는 부처님 형상의 꽃밭.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한편, 돌아나가는 길에 다시 마주하게 될 부처님 형상의 꽃밭은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도륜스님이 가꾸어 놓은 것이라 한다.

“세계유산 봉정사를 찾는 사람들에게 딱딱한 건축물보다는 감성적인 인생샷을 찍을 수 있는 장소도 보여주고 싶었다”는 스님의 의도는 지난 1천년에 이어 앞으로 올 1천년을 만들어가는 역사의 한 장면으로 여겨져 더욱 뜻 깊다.

※ 본 기획 취재는 국내 콘텐츠 발전을 위하여 (사)한국잡지협회와 공동 진행되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