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옛길 따라가기] 굽이굽이 애환 서린 죽령 옛길 막걸리 한사발로 시름 더는 고갯길
[옛길 따라가기] 굽이굽이 애환 서린 죽령 옛길 막걸리 한사발로 시름 더는 고갯길
  • 이수인 기자
  • 승인 2006.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청운의 뜻을 품은 선비들의 과거길이기도 했던 죽령 옛길은 소백산 연화봉과 도솔봉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고갯길이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여행스케치=영주] 바삐 돌아가는 도시의 일상에서 ‘나’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가끔씩 느림의 휴식을 취하라고 했던가? 소백산 자락 죽령 고갯길을 차로 타고 지날 때는 잠시 그 속도를 줄여보자. 괜찮다면 차를 세워 선인들이 걸었던 자취를 따라 옛길을 걸어보자.

반나절이면 전국을 오갈 수 있다는 고속철이 다니는 요즘, 하루 두 번 무궁화호만이 다니는 희방사역에는 빠름과 느림, 과거와 현재가 공존한다. 국내터널 가운데 가장 긴 죽령터널을 관통하는 중앙고속국도, 단양으로 넘어가는 5번국도, 중앙선 철도, 그리고 죽령 옛길이 한데 포개져 있다.

소백산 연화봉과 도솔봉이 이어지는 잘록한 지점 해발 689m의 죽령은 60리의 가파른 고갯길이다.

특히 죽령 고갯마루는 충청도와 경상도가 서로 손을 흔들고 헤어지며 제 갈 길을 가는 곳으로 예로부터 수많은 행객의 발길이 줄을 이었다. 고갯길 굽이굽이에는 마른 목을 축이고 허기를 달래주는 술집, 떡집에 짚신가게며 먹고 자는 객점, 마방이 늘어서 있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옛길이 시작되는 입구. 본격적으로 산을 오르기 전까지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서있는 장승이 많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죽령은 삼국사기에 그 기록이 남겨진 2,000년의 역사를 지닌 오래된 길이다. 그러나 유구한 세월을 건너오면서 국도가 열리고, 중앙선 철도가 통하는 등 각종 교통수단이 발달하면서 행객의 발길이 차츰 뜸해지더니 길은 숲 덩굴에 묻혀버리고 주막거리도 폐허가 되어 버렸다.

희방사역 뒤란을 돌아 나오는 철로옆 오르막길 위로 나란히 가로지르는 5번국도와 중앙고속국도 교각을 목 아프게 쳐다보며 지나자 사과 과수원길이 나온다. 먼저 꽃을 틔우는 다른 봄꽃과는 달리 잎이 먼저 난 후 꽃이 피는 사과꽃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그 향이 매우 짙다. 사과로 특히 유명한 고장인지라 코끝을 간질이는 향기로운 사과꽃을 은근히 기대했는데 아직 꽃이 피지 않아 아쉽다.  

가능한 느릿느릿 옛길을 걷는다. 여느 산길처럼 길이 나 있지만 인적 드문 산속의 원시림처럼 군데군데 숲 덩굴이 길을 가로질러 뒤엉켜 있다.

중간에 쉴 만한 나무 벤치도 있지만 일부러 바위에 앉아 땀을 닦는다. 한적한 산길 옆으로 ‘촬촬촬’ 굽이쳐 흐르는 계곡물 소리가 듣기 좋아 물가로 내려가 더운 발도 담가 본다. 골짜기 어딘가에서 찌르레기와 박새가 합창하듯 우는데 국도 위를 달리는 자동차 한 대가 ‘쌩~’하고 지나간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배고픈 행객의 뱃속을 채우줄 죽령주막의 채묵밥과 동동주.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중앙고속국도와 철길, 옛길이 한데 모여 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얼마나 되었을까? 폐허가 된 황량한 옛 주막터의 무너진 돌담 더미가 나온다. 죽령 고갯길의 주막 중 이곳의 규모가 가장 작았다는데도 그 텃자리가 꽤 넓은 것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오갔는지 가늠할 만 하다. 잡풀이 무성하게 자란 주막터 안쪽에는 일명 ‘이케다송’이라 불리는 일본 소나무가 빽빽하니 들어서 있다. 주막터 앞을 서성이며 잠시 세사의 무상함을 되새기는데, 갑자기 세차게 불어온 바람이 높다란 나뭇가지를 일제히 흔들면서 행객들로 북적이던 호시절을 속삭이고 간다.

점점 산길이 가팔라지면서 숨이 좀 차다 싶더니 갑자기 5번국도의 아스팔트길를 딛고 서있다. 희방사역이 있는 수철리에서 시작한 옛길이 이 도로에서 끊겨 버린 것이다. 도로 건너편에는 ‘죽령주막’이라는 커다란 입간판을 단 초가지붕집이 서있다.

사라진 옛 주막터에 영주시가 직접 주막을 지어 임대했다고 한다. 이젠 고갯마루를 넘는 행객이 아닌 국도를 달리는 자동차 휴게소로, 그저 옛 이름만 단 음식점에 불과하지만 진작부터 허기가 져 눈 빠지게 기다리던 주막인지라 일단 들어가 엉덩이부터 붙이고 앉았다. 따끈한 채묵밥에 동동주 한 사발로 속이 뜨끈해진다. 마당에서 뽕짝뽕짝 들려오는 지나간 유행가 가사가 참 애달프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옛길 오르는 중에 만난 사과밭.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사과꽃을 못본 것이 아쉬웠는데 이제야 꽃이 피었다며 소백산 관리공단직원이 사진을 찌거보냈다. 2006년 5월. 사진제공 / 황종태 소백산 관리공단 관리자

고갯마루의 죽령주막을 즈음하여 경상도와 충청도가 양쪽으로 갈라진다. 도로를 따라 내려가면 단양 대강면으로 이어지는 죽령 옛길이 계속된다. 앞서 걸어온 길 오르막 30리와 단양쪽의 내리막 30리가 아흔아홉 구비 죽령 옛길이지만 달달하게 오른 취기도 그렇고 생뚱맞은 아스팔트 국도를 따라 내려가는 것이 영 내키지 않는다. 옛길에서 만난 소백산 관리공단 직원들이 희방사역까지 태워 주겠다는 것을 사양하고 올라온 길을 되돌아 흥얼거리며 내려왔다.

한나절 여유롭게 걸어본 죽령 옛길. 이 길을 오고 간 옛 사람들의 정취를 따라가기엔 부족함이 많았지만 조급한 시공간에서 떨어져 느릿하게 삶의 여백을 만끽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었다. 옛것의 느림과 새것의 빠름 사이를 이렇게 시이소 타듯 오가면서 적절히 삶의 균형을 잡아 갈 수 있기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