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특집 ③ 구름 위의 암자] 아니온 듯 다녀가는 화순 무등산 규봉암 첩첩 장석 사이 오롯이 숨은 산사
[특집 ③ 구름 위의 암자] 아니온 듯 다녀가는 화순 무등산 규봉암 첩첩 장석 사이 오롯이 숨은 산사
  • 이수인 기자
  • 승인 2006.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화순 무등산 규봉암 전경.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여행스케치=화순] 자연은 쉬이 그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지 않는다. 그만큼의 고통을 이겨내고 나서야 비로소 ‘이제 되었다’ 며 토닥토닥 어깨를 두드리듯 숨은 아름다움을 보여주곤 한다. 불심도 그러한 것일까. 규봉암을 보지 않고는 무등산을 올랐다고 하지 말라는 누군가의 그 말, 이제 동의한다.

증심사와 무등산장 쪽으로 오를 수 있는 산책로가 있다는 정보 하나만 달랑 주워듣고 나선 길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만 산중 암자를 찾아가는 길을 ‘딱딱딱’ 키보드를 두드려 얻은 손쉬운 정보를 양손 가득 쥐어들고 떠나고 싶지 않았다. 아니 그건 게으른 변명이다. 관악산 연주암을 2시간 만에 간신히 기어오르는 산행 젬병이가 무등산 800m 고지에 자리한 규봉암을 오른다는 사실 자체가 두려움이었다. 

정오가 지나서야 느릿느릿 길을 나섰다. 일단 증심사로 가서 안내 표지판을 따라가면 되겠지 하는 심산이었다. 증심사 오른쪽으로 난 산책로를 따라 중머리재 방향으로 길을 잡았다. 하지만 아무리 길을 가도 ‘규봉암’을 가리키는 안내표지판 하나 볼 수 없어 은근히 걱정이 되었다. 벌써 하산하는 날랜 산행인을 붙잡고 이 길이 규봉암 가는 길이 맞느냐고 물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암자 마당에서는 봄이 한창인 화순땅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기봉암”, “귀봉암” 하고 한참 생각하더니 “아아, 거기 말하는가보네. 아직 하안~참 가야 하는데” 하고는 오늘은 날이 너무 추우니 그만 내려가란다. ‘이렇게 땀이 나는데 춥기는 뭐가 추워.’ 이해할 수 없다. 

일단 중머리재까지 올라가면 되겠다 싶어 무작정 올랐다. 산책로라고 해봤자 중간에 짧은 계단과 벤치 서너 개가 있을 뿐 돌밭길의 연속이다. 서서히 힘이 풀리는 다리는 이제 허벅지를 지팡이 삼아 걷는다. 숨이 차다.

광주시내가 능선 아래로 바라다 보이는 중머리재를 지나 장불재, 해발 900m. 고개를 들자 왼편으로 올려다 보이는 곳에 입석대와 서석대가 그 우람한 위용을 자랑하며 떡하니 서있다.

꼿꼿하게 들어선 엿가락 같은 돌기둥인 입석대와 서석대가 장관이지만 멋진 자연을 즐기기엔 너무 춥다. 길에서 만난 하산객들이 모자끈까지 바짝 조여 맨 이유를 알 것 같다. 산 밑은 만화방창이지만 산 위는 아직도 칼바람이 얼굴을 할퀴고 지나가는 매운 계절이다. 

가파른 계단 위에 ‘무등산 규봉암’(無等山 圭峯菴)이라는 편액이 걸린 종각이 나온다. 종각 옆으로는 세 개의 돌기둥이 우뚝 서있다. 바로 규봉이라는 돌기둥으로 여래존석, 미륵존석, 관음존석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 삼존석이라고도 부른다. 앞의 두 돌기둥 사이에는 일부러 그리 해 놓은 듯 커다란 돌멩이가 기둥을 연결하고 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규봉암 입구. 일주문 위로 종각을 지어놨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셋 중 가장 키가 작은 관음존석은 지진으로 윗부분이 끊어졌다. 규봉에는 관찰사나 고을 현감이 이름 등을 새겨 다녀간 흔적을 남겼는데, ‘나 여기 왔다갔음’ 식의 유치한 낙서 같다는 생각이 들어 우습기도 하고, 아니온 듯 다녀가라는 곳에 별스런 짓을 했다 싶기도 하다.

삼존석 옆에는 넓고 반반한 반석이 드러누웠다. 장불재에서 올려다본 입석, 서석과 함께 무등의 삼대 절경으로 꼽힌다는 장석인데, 규봉암을 병풍처럼 둘러놓은 선돌과 그 틈을 비집고 자라는 소나무의 멋스러움에 먼저 시선이 간다.  

얼어붙은 손가락으로 더 이상 셔터를 누를 수 없어 요사채 앞 신발이 놓인 문 앞에서 사람을 불렀다. 주지 정인스님이 무슨 일인가하고 내다보더니 시퍼렇게 언 모양새를 보고 놀라 ‘관세음보살’하고 중얼거리며 얼른 들어오란다.
스님은 “먼 곳까지 오느라 수고했으니 밥이라도 두둑이 먹고 가시게나” 면서 손수 공양을 차려준다. 된장찌개에 밥을 쓱쓱 비벼 따끈한 김치국과 함께 먹는데 고봉밥 두 그릇을 뚝딱 해치웠다. 추위와 허기에 지쳐 정신없이 밥을 먹는 것이 측은했던지 옆에 앉은 스님은 ‘관세음보살’을 연발한다. 

불타고 다시 짓기를 몇 차례나 반복한 사연 많은 규봉암의 역사는 약 1,300년으로 추정된다. 부임 당시 조그만 법당 하나뿐이었던 절터에 스님은 관음전을 중창해 관세음보살을 모셨다. 또 일주문과 종각을 세우고, 지난해에는 생활관인 요사채도 새로 지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무등산 3대 절경 중 입석대와 서석대가 나란히 마주하고 있다. 2006년 5월. 사진 / 이수인 기자

홀로 지낸다는 스님은 공양간에서 쓰는 LPG 가스통도 장불재에서부터 먼 암자까지 직접 짊어지고 온다고 한다. 배낭하나 둘러매고 산을 오는 것만으로도 마음 수양이 될 것 같은 산마루터기에 20여 년간 절을 복구하면서 세간을 직접 지고 나른다니 수행이 따로 없다. 

깊은 산중의 암자를 찾을 때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말고 그저 그 길에서 만나는 자연과  대화하다 오면 된다고 했다. 그러나 길에서 만난 너구리와 뱀에 놀라 자지러지고, 매운 칼바람과 험한 바위길 탓에 대화는 고사하고 무사히 산행을 마쳤다는 것만으로도 뿌듯해진다. 

지친 객에게 관세음의 마음으로 따뜻한 밥과 차를 대접해준 정인스님의 온화한 마음을 가슴 가득 담고 하산할 수 있어서 더 없이 마음이 정화된 듯하다. 하산하는 길. 어디선가 들려오는 저녁 타종소리가 아련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