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동호회 따라가기] 궁궐을 찾는 사람들 ‘궁궐산책’ 궁궐 안엔 어떤 나무를 심었나요?
[동호회 따라가기] 궁궐을 찾는 사람들 ‘궁궐산책’ 궁궐 안엔 어떤 나무를 심었나요?
  • 박지영 기자
  • 승인 2006.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궁궐을 탐방하는 동호회 <궁궐산택>.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여행스케치=서울] 궁궐(宮闕)이라. 굳이 해석하자면 The royal palace인 임금이 거처하는 궁궐보다 그곳을 산책하는 사람들이 더 궁금했다. 신비스런 비밀이 서려있는 궁궐을 어떤 이유로 매달 거닐까? 세 분의 왕후를 모시기 위해 창건한 창경궁의 조경을 답사하는 길에 함께 했다. 

“상부에 넘겨 응분의 조치를 취하겠나이다~.” 우리궁궐지킴이 박상인씨가 산책이 끝나면 요약시험을 보고 맞히지 못하는 사람은 혼내주겠다며 너스레다. 창경궁에 모인 동호회 사람들은 둥글게 원을 만들어 서로 손을 맞잡고 인사를 하는데 1년 만에 나왔다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다들 사정이 있겠지 싶으면서 보통 저 정도면 ‘유령회원’으로 분리되어 왕관이 없어지는 ‘감등’을 당하겠지만, 그동안 바빴느냐며 안부를 묻고는 태평하다. 성격상 뒷짐 지고 잘 뛰지 않는 느긋~한 사람들만 모인 듯하다. 

이날은 궁궐산책이 생긴 지 5주년 되는 기념비적인 날이라 입궐 전, 운영자 수문장님이 막대사탕을 나눠준다. 오늘은 재갈을 물려 쓸데없는 질문이 안 나오겠다면서 가이드가 또한 번 회원들의 웃음보를 터뜨린다. 설명해주는 가이드가 재밌는 분이면 무미(無味)한 음식도 맛이 나게 마련. 두근두근 기대가 된다.

늘 서울의 5대 궁궐만 산책하는 동호회가 매번 재미가 있을까 생각하겠지만, 궁궐 내에서도 매번 주제를 달리해 오늘은 궁궐의 나무를 주제로 산책한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창경궁에 모인 동호회 사람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선인문 앞의 수령 300년 된 회화나무. 사도세자의 절규를 들은 역사의 산 증인이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줄기가 올라가다 퍼졌어, 퍼졌어. 그래서? 층층나무!”
“오래된 느티나무는 껍질이 벗겨져요. 왜 느티인지 아시는 분? 젊은 나무가 늙은 티내서 -늙티-라고 하지요.”
“서어나무는 줄기가 근육맨처럼 불뚝불뚝 튀어나와 강해 보이는데 의외로 약해요. 잘 썩고 재질도 안 좋고, 열매도 유리가루 같아서 넌 쓸모가 없으니 저쪽 가서 서있어! 그래서? 서어나무!”

마지막에는 꼭 한 번 나무를 불러준다. 그때마다 회원들도 합창을 하며 나무의 특성을 기억한다. 재미난 설명을 들으며 더 뛰어난 입담으로 맞장구치는 동호회 산책에 갈수록 숫자가 는다. 웃음소리를 듣고 산책과 소풍 나온 이들이 뭔 일인가 싶어 들여다봤다가 합류해서 누가 회원이고 누가 일반인인지 헛갈릴 지경. 거기에 지나던 이들에게도 막대사탕을 나누어준 수문장님도 한 몫 하셨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따사로운 봍볕 아래 설명듣는 회원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주먹만한 이 꽃이 피면 간담이 서늘해진다는 흰 철쭉이 창경궁 내의 연못 근처에 군락을 이루는데 대부분 한반도에만 피는지라 백의민족을 상징한다. 최근 엄청난 인기를 모은 영화 <왕의 남자>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기억으로 애처롭게 그려진 연산군이, 쫓겨나기 1년 전 이곳에 흰 철쭉 1만 그루를 심으라고 지시했단다. 지금 남아있는 철쭉들은 그 후손으로 추정되고 있다.        

80살만 넘으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는 백송(白松)은 가지를 잘라서 호주머니에 넣으면 피부가 하얗게 희어진다는 조선시대의 속설이 전해진다. 얘기를 듣는 여성회원들이 ‘나도 한번?’하는 표정으로 익살맞게 웃는다. 소나무를 가리켜 백목지장(百木之長)이요, 만수지왕(萬樹之王)이라 칭하는데 천년을 살며 웅장한 기품이 있고 사람의 감정에 젖어드는 친화력은 백 가지 나무 중 최고라 하여 그렇게 추켜세운다. 

산책 중간에 순종 3년(1909년)에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식물원에 들렀다. 열대지방의 관상식물을 비롯한 희귀한 식물들을 쉬엄쉬엄 구경도 하고 혼자만의 여유를 가지기도 한다. 잠시 서로 흩어져 사진촬영에 몰두하는데, 고즈넉한 궁궐의 매력이 사진에도 묻어나서인지 동호회 내에 사진을 좋아하는 모임이 따로 결성돼 있을 정도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춘당지 둘레에는 백송과 버드나무, 하얀 철쭉 등 많은 나무를 관찰할 수 있다. 2006년 5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모두 100여종의 나무가 있는 창경궁을 거닐다 보면 유독 개암나무, 귀룽나무와 앵두나무가 눈에 많이 띈다. 개암나무와 귀룽나무는 귀신을 쫓는 나무이고 세종대왕이 앵두를 유난히 좋아해 그의 아들 문종이 앵두나무를 심도록 했다고 한다. 왕을 향한 마음이 변하면 안 되기 때문에 색이 변하는 단풍나무와 속이 빈 오동나무, 가시나무는 금지 수목이었다.   

놀자! 먹자! 분위기가 아닌 배우자는 분위기의 궁궐산책. 그들이 궁궐을 찾는 이유, 굳이 말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었다. 궁궐의 고즈넉함에서 삶의 여유를 배운 산책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