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나만의 파라다이스] 갯벌체험과 예술마을 체험 농어촌 체험만큼 알찬 휴가도 없지요
[나만의 파라다이스] 갯벌체험과 예술마을 체험 농어촌 체험만큼 알찬 휴가도 없지요
  • 구동관 객원기자
  • 승인 2006.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바지락 하나를 찾을 때마다 가족들의 얼굴에 환한 웃음 꽃이 피어난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여행스케치=보령] “오늘 바지락 캐러 나갑니다. 바로 출발할테니 어서들 나오셔유.” 어촌계장의 구수한 충청도 사투리가 마을 방송으로 흘러나온다. 그 소리를 듣고 마을 주민들이 바지락 캘 채비를 갖추고 선착장으로 모였다. 도시에서 옷점마을의 농어촌체험에 참여한 가족도 선착장에 함께 모였다.

태안 안면도 옷점마을 갯벌체험
마을 주민이 탄 배는 마을 앞바다와 원산도의 접경지역인 눈풀에, 체험객이 탄 배는 옷점마을에서 가경주 앞바다까지 이어지는 갯벌인 숙풀에 멈췄다. 배에서 갯벌로 내리기도 전에 체험객의 입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바닷물이 몰려 나가는 모습이 신기하기만 한 때문이다. 썰물 한 번에 두 뼘씩 땅이 넓어졌다.

잠시 후, 본격적인 갯벌체험 시간이 되었다. 신나게 바지락 잡을 시간이 된 것이다. 호미 하나씩을 챙겨 갯벌을 파기 시작했다. “바지락이 없어요!” 몇 번 호미질을 한 체험객의 실망스런 목소리…. 그런 불평에 마을 주민이 다가왔다. “여러 개 있구만유.”

체험객이 호미질을 한 곳에서 바지락 몇 개를 찾아냈다. 체험객의 눈에는 바지락도 돌 같고 갯벌의 잔돌도 다 바지락 같다. 허탕을 치던 체험객도 오래 지나지 않아 바지락 잡기 박사가 된다. 

어른들이 바지락을 잡는 사이 아이들은 또 다른 재미거리를 찾았다. 넙적한 돌을 들출 때마다 작은 게들은 숨을 자리를 찾느라 정신이 없다. 처음에는 게가 숨는 모습만 바라보던 개구쟁이들이 잠시 후 게를 잡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옷을 버리기 시작했다. 옷을 버리자 아이들은 더욱 대담(?)해졌다. 옷을 버리는 만큼 아이들의 웃음소리도 더 커졌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캐온 바지락을 손질하고 있는 주민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고남 옷점마을 갯벌 풍경.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옷점마을 체험은 아직 때가 묻지 않았다. 올해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되어 이제 막 체험 마을로 만들어 지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 시작이 늘 그렇듯 아직은 어설픈 점도 많지만, 멋진 바다경치 사이로 선사시대 패총의 흔적이 남아 있고, 조개부르기제와 용왕제의 전통까지 더해져 앞으로 정말 멋진 체험 마을이 될 것 같다.

또한 그동안 낚싯배를 빌려주며 도시민과 접촉을 해왔던 터라 민박을 받고, 식사를 제공하는 일들이 그리 서툴지 않다. 더욱이 일몰 사진을 찍기 위해 사진작가들이 몰려들 만큼 바다 경치도 멋진 곳이라서 민박, 펜션 등 숙박 시설도 잘 갖추고 있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동네 어귀에서 바라본 원골마을 풍경.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공주 원골마을 ‘예술과 마을’축제
조용한 농촌 마을이 심상치 않다. 논에 수십 마리의 학이 놀고 있다. 가까이 가보니 나무와 철판으로 만든 작품들이었다. 논뿐만이 아니다. 고추가 빨갛게 익어가는 고추밭에는 새참을 내가는 아낙들과 허수아비들이 서 있고, 마을 어귀의 해바라기들은 고개를 숙여 방문자들을 환영하고 있다. 그런 작품들은 마을길에도, 담장에도, 심지어는 마을을 가로지르는 개울에도 자리를 잡고 반가운 인사를 건넸다.

지난 여름 찾았던 원골마을의 풍경이다. 그곳에서는 매년 마을 주민과 초대 작가가 함께 참여하는 ‘예술과 마을’야외 미술전이 개최한다. 올해도 7월 중순부터 8월까지 열 번째 미술전이 열린다. 지난해엔 작품을 낸 사람이 100명이 넘었다. 그중 70명 정도는 마을주민이었다. 원골마을의 주민 전체가 참여한 셈이다. 외부 초대작가의 작품도 30점이 넘었다.

예술과 마을 전시회는 1998년부터 시작 되었다. 공주에서 국제자연미술전을 열고 있던 미술인 모임 ‘야투’(野投)가 우리 전통의 혼과 얼이 살아 숨쉬는 농촌에서 직접 예술을 창조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원골마을을 찾았다. 처음 원골마을 주민들은 몇 명만이 참여 했다. 하지만 2000년부터는 마을 주관 행사로 바뀌었고, 마을 주민들이 훌륭하게 그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전시장과 생활공간이 구분되지 않는 원골마을의 작품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전시장과 생활공간이 구분되지 않는 원골마을의 작품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전시장과 생활공간이 구분되지 않는 원골마을의 작품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전시장과 생활공간이 구분되지 않는 원골마을의 작품들. 2006년 6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원골마을의 예술과 마을 전시회를 알게 된 후에는 나는 매년 그 마을의 전시회를 찾는다. 예술에 조회가 깊은 것보다는 마을 사람들에 대한 경외감 때문이다. 마을에 사는 주민들이 그 마을을 화판 삼아 만들어 놓은 작품을 보노라면 삶이 작품이고, 작품이 삶이다. 그곳에서는 자연도 작품이고, 생활도 작품이다. 그곳에서 전시회를 만날 때마다 여름 방학중의 그리기나 만들기 숙제를 어려워하는 아들 녀석을 떠올리곤 했다.
올해부터, 원골마을의 예술과 마을 축제는 좀더 풍성해 질 것 같다. 그 마을이 올해부터 체험마을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채의 농가가 민박을 시작하였고, 마을 끝자락 커다란 느티나무 뒤쪽으로 넉넉한 체험장도 갖추었다.

전시회가 열리는 기간 동안 그곳을 찾는다면 정말 한적한 농촌마을의 풍경에 푹 빠져든다. 또한 마을주민들이 정성껏 만든 예술품들과 한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며, 농사일이 진행되는 시기에 맞춰 표고버섯이나 고추수확 등의 농사체험도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