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나만의 파라다이스] 완도 생일도 여름밤의 추억 만 개의 돌이 내는 파도소리 깊어가는 밤
[나만의 파라다이스] 완도 생일도 여름밤의 추억 만 개의 돌이 내는 파도소리 깊어가는 밤
  • 박지영 기자
  • 승인 2006.07.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생일도의 전경.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여행스케치=완도] 도시의 소음을 벗어나 섬으로 들어가는 길의 느낌은 가본 자만이 알 수 있다. 해무가 잔뜩 끼어서 배가 산으로 가도 모를 일이지만, 미지(未知)의 섬에서의 하룻밤은 생각만으로도 설렌다.

“워메, 배 전세 내부렀구마잉~.” 사람이 없는 장마철이라 큰 배에 혼자 타게 되니 선장님이 한 마디 하신다. 휴가철 피크 때에도 한번 와 본 사람만 머물다 가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섬이다. 곧 비가 내릴 듯 안개가 심하다. 앞을 알 수 없는 우리네 인생이 그렇듯 미지의 섬도 들어가는 길을 쉬이 알려주지 않는다. 

희미하게 섬 하나가 보이더니 곧 배가 정박한다. ‘머물고 싶은 생일도’라고 적힌 큼지막한 현수막이 환영하듯 나부낀다. 생일도까지 결코 가까운 여정이 아닌지라 도착하고 나니 늦은 오후가 되었다. 전체적인 섬의 지형이 새를 닮은 생일도. 생소하면서도 낯설지는 않은 이름이다. 예전에는 산일도, 산윤도라 불렸으나, 선박이 암초에 부딪혀 침몰하는 큰 사고가 난 뒤에 이곳을 지나던 스님이 섬 이름을 새로 짓고 절을 세우라고 조언을 하였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파도소리만 들리는 생일도의 밤. 주인공은 온전히 우리 둘 뿐.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해수욕과 찜질을 하며 여유부리기 좋은 금곡해수욕장.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그래서 새로 태어나라는 의미의 날생(生)과 날일(日)자를 붙여 생일도라 바꾸고 재앙을 예방하기 위해 구름이 머문다는 백운산 자락에 ‘학서암’ 암자를 지었다. ‘뭔가 다른 뜻이 있겠지’ 싶었지만 태어난 날을 의미하는 ‘생일’과 뜻이 다르지 않다는 게 참 기쁘다. 

해양수산부가 선정한 ‘아름다운 어촌’ 100선에 선정된 ‘색금이’ 금곡마을은 예전에 금이 나와서 일제가 광산개발을 시도했던 곳이다. ‘쇳금이?’ 하다가 ‘색금이’로 불리는 마을 앞 금곡리 해변은 군데군데가 흑사장(?)이다. 조개껍데기가 부서져 쌓인 스펀지 같은 부드러운 모래 위를 걷다보면 거뭇한 모래들이 눈에 띄는데, 자석을 모래에 대면 영락없이 한 줌의 흙이 들러붙는다. 

철분이 많이 들어있어 류마티스 관절염과 허리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생일도의 주 수입원인 다시마 수확철이 지나면, 마을사람들도 이곳을 찾아 혹사했던 몸을 찜질한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쉰들을 조금만 올라가면 생일도의 바다와 산이 다 보인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낭섬의 용굴. 수백 년 된 거목이 숲을 이루고 섬의 정상에는 용이 승천했다는 70m의 굴이 해변으로 뚫려 빛이 들어온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해수욕장 옆 송림이 우거진 산은 새치가 났는지 군데군데 허옇다. 이유를 알고자 방목한 염소가 낸 길을 따라 올라가는데 갑자기 다른 세상이 나타난다. 하얗게 때를 벗은 커다란 바위들이 꼭대기부터 산허리까지 얹혀 있다. 뒤로 눈을 돌리면 망망대해가 펼쳐지니 이곳에서 보물찾기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다도해의 수많은 섬까지 보고 싶은 마음에 바위산을 좀더 오르는데 바위가 희한하다. 무게감이 없고 가벼운 스펀지처럼 속이 비었다. 두들기면 둔탁한 소리 대신 ‘통통통’하는 맑은 소리가 울린다. 금곡 해수욕장의 스펀지 같은 모래가 이 바위에서 떨어져 나간 것일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해본다.

이곳까지 올라 풀을 뜯는 염소들의 흔적(?)을 피해다니며 또 다른 바위를 찾아가려는데 “크르릉~킁킁” 소리가 귓전을 울린다. 순간 나무 사이에 우뚝 서있는 야생 멧돼지와 눈이 마주쳤다. 아이고! 일보 후퇴. 아니, 철수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보물찾기 하기 딱 좋은 쉰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백운산 허리에 있는 소박한 학사암. 바위를 깎아 만든 불상 밑에서 약수가 나온다. 2006년 7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섬을 한 바퀴 돌았을 뿐인데 산 너머로 해가 지고 달빛을 받은 바다가 금빛으로 빛난다. 깜깜한 밤, 용출리의 갯돌해안에서 서울서 달려온 지친 몸을 쉬게 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만 개의 돌이 파도와 부딪혀 소리를 낸다고 하여 ‘만개짝지’라 부른다. 

달빛과 별빛 외에 가로등 하나 없고, 파도가 돌에 부딪혀 돌 구르는 소리만이 귓가를 맴돈다. 파도가 아무리 세차게 때려도 모나는 법 없이 둥글게만 다듬어진 갯돌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짜릿하고 신나는 즐거움은 없지만, 둥글둥글한 갯돌은 지친 자에게 용기를 주고, 다시 태어난 생일도는 툭툭 털고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희망의 메시지를 던져준다. 다시마 수확을 거들기 위해 섬에 왔다가 잠깐 산책 나왔다는 몽골인 커플을 만났다. 조용한 섬에서 사람을 만난 반가움에, 생일도의 밤이 쓸쓸할 것 같아 육지에서 사온 케이크를 선물로 주었다. 기뻐하며 사라지는 커플의 뒷모습에 대고 나직이 속삭였다.
“happy birthday to you!”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