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나만의 파라다이스] 지리산 자락 석굴사원 함양 서암정사 두 개의 돌기둥 너머 펼쳐진바위 속 아미타세계 
[나만의 파라다이스] 지리산 자락 석굴사원 함양 서암정사 두 개의 돌기둥 너머 펼쳐진바위 속 아미타세계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6.07.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지리산 자락 석굴사원을 감상할 수 잇는 서암정사.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함양] 지리산에서 서암정사를 만난 것은 우연한 행운이었다. 그 첫인상은 매우 한국적이면서도 이국적이었다. 코끝을 즐겁게 해 준 꽃향기 또한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구석구석 보물을 숨기고 있는 곳, 그래서 한걸음 한걸음 쉽게 떼지 못하는 곳이 바로 서암정사다.

지리산 칠선계곡의 서암정사로 오르는 길은 가파르다. 해탈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 고통을 참아가며 수행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렇게 거친 숨을 몰아쉬며 길을 걷다보면 두 개의 돌기둥을 만나게 되는데,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조어삼천계’(調御三千界), ‘마사대법왕’(摩詞大法王)이라고 새겨진 걸로 봐서 이 돌기둥이 일주문 쯤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돌기둥을 지나면 키가 5m는 됨직한 사천왕상이 절벽에서 눈을 부릅뜨고 있다. 화려한 단청 대신 묵직한 돌 옷을 입은 사천왕상을 보고 있노라면 평소에 죄를 짓지 않고 사는 사람이라도 괜히 주눅이 들 것 같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비로전의 모습. 바위에 그림처럼 새겨진 부처와 보살의 모습이 가지런하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풍경이 있는 풍경. 지리산의 산들바람이 산사의 적막을 깨운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알록달록 꽃들이 바위 사이로 고개를 쏙 내밀고 있는 길을 계속 따라가면 ‘부처님의 무한한 세계로 들어간다’는 뜻의 ‘대방광문(大方廣門)’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돌편액이 눈에 들어온다. 마치 동굴을 지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이곳이 바로 서암정사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예전엔 요사채로 쓰였음직한 아미타전을 지나면 지리산의 암반에 환상적으로 들어서있는 조각들이 나타난다. 푸른 풀들 사이에 울긋불긋 피어있는 야생화, 그리고 그 사이에 어린 아이 숨바꼭질하듯 숨어있는 동자상과 불상이 그저 ‘아름답다’는 표현으로는 부족할 지경이다. 

하지만 그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안양문(安養門)이라고 새겨진 문을 열고 석굴법당인 극락전 안으로 들어서면 마치 딴 세상에 들어선 기분마저 든다.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그런 광경이다. 

자연 동굴 속 바위에 온통 부처님과 불보살들이 조각되어 있다. 좌우는 물론이요, 천장에까지 새겨진 조각들에 마음은 한없이 경건해진다. 이곳이 진정 아미타세계인가 싶다. 중앙에는 아미타부처가 앉아있고, 그 양쪽으로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 그리고 8대 보살과 10대 제자, 나한, 사천왕 등이 들어서 있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지리산 자락의 서암정사는 말 그대로 산의 일부이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굴법당인 극락전 내부의 모습.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돌기둥 바로 옆에 새겨져 있는 서천왕상.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그뿐만이 아니다. 연꽃과 용의 형상을 한 조각들이 빈틈없이 굴법당 안을 채우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원석에 조각된 것들이라니 인간 능력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하는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더불어 이렇게 아름다운 조각의 다양한 의미들을 전부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가 안타까울 뿐이다. 

극락전을 나와 산 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비로전이 나온다. 삼각으로 가지런하게 놓인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비로자나 부처와 문수보살, 보현보살, 선재동자의 모습은 인공적이면서도 마치 자연의 일부인양 조화를 이루고 있어 극락전의 감동을 다시 한번 불러일으킨다. 
서암정사는 벽송사 주지인 원응스님이 원력을 세워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서서히 만든 곳이다. 아름다운 불상들을 조각한 이는 홍덕희라는 석공이다. 오직 불심으로 10여년의 세월을 거치며 이런 아름다운 공간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에 또 한번 감탄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