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이현동의 사찰기행] 선종(禪宗) 제일의 가람, 남원 실상사, 실상사에선 일주문과 계단을 묻지 마라
[이현동의 사찰기행] 선종(禪宗) 제일의 가람, 남원 실상사, 실상사에선 일주문과 계단을 묻지 마라
  • 이현동 객원기자
  • 승인 2006.08.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황룡사 9층 목탑에 버금가는 실상사의 목탑이 서 있던 자리. 이제는 주춧돌만 남았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여행스케치=남원] 만약 마음이 있다면 사람의 심장에 여덟 잎의 연꽃 모양을 하고 있지 않을까? 유난히 마음에 마음을 두며 찾아간 실상사. 찾아가는 길이야 이렇게 집착을 둔다지만 실상사에 이르러선 그 집착마저 비우게 된다. 

설악산이 바람난 처녀라면 지리산은 속 깊은 남자 같다. 그 깊은 속의 한 자락 남원 산내면 실상사로 가는 길. 버릇처럼 먼저 백장암을 찾아간다. 길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차 한 대 가까스로 지나갈 정도로 굽이굽이 돌아간다. 작년인가 찾아왔을 때 한창 발굴조사 중이었는데 지금은 발굴을 마치고 말끔히 정리를 해두었다. 

국보 제10호라는 것만으로도 무게를 느끼게 해 주는 백장암삼층석탑과 보물 제40호인 백장암석등이 있다. 주로 탑에 있는 난간이 석등에도 표현되어 있다. 석등에 이런 난간이 표현된 것은 국내에서는 거의 유일한 사례가 아닐까 한다. 시간을 두고 찬찬히 살필수록 보는 재미가 솔솔 느껴진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천왕문. 실상사에는 일주문이 없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실상사 내부까지 이어지는 연못이 찾아오는 속인들에게 길을 안내해준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실상사로 들어서는 길. 해탈교를 건너기 전 우측에 석장승이 서있다. 원래 좌우로 서 있었는데 1936년 홍수 때 한쪽이 떠내려갔다고 한다. 절 입구에 이렇게 4기의 장승을 세워 놓은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 대체로 1,700년대에 세워진 장승들로 하나같이 그 모양이 정말 장승다운데 특히 벙거지 코가 매력적이다. 부럽다고 하면 아는 사람은 웃으려나?

실상사에는 일주문이 없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거의 모든 전각들이 같은 높이의 평지에 자리하고 있다. 선종사찰이라서 그럴 것이다. 한단계 한단계 나아가는 교종의 특성상 교종사찰은 계단식이 많고, 단박에 깨우침을 얻어내는 선종사찰은 이렇게 평지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사실 실상사에는 그리 많은 전각들이 들어서 있는 것은 아니다. 칠성전, 보광전, 약사전, 명부전이 하나의 영역 안에 있고 서쪽 영역에는 스님들이 생활하는 요사가 들어서 있다. 그리고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극락전이 있는데, 절 내에 오르락내리락 하는 계단도 없고 해서 별 고생 없이 쉽게 돌아보겠구나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의외로 시간이 걸리는 곳이 바로 실상사다. 실상사를 찾을 때마다 무엇부터 찾아볼 것인가 고민된다. 별 고민을 다한다고 하겠지만 이런 고민을 하게 하는 곳이 실상사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담장 밖에서 본 실상사.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해우소. 지금은 사용하지 않지만 건물의 아름다움에 아껴두고 있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사람 인연이란 놀라울 때가 많다. 어떤 사람을 아는데 알고 보면 내 아는 사람이 그가 아는 사람이고, 그가 아는 사람 또한 내가 아는 사람이다. 이런 인연들 중 한 축이 이상하게 실상사로 모여든다. 

그래서 이도저도 고민할 필요없이 먼저 천왕문을 들어서서 왼쪽에 자리한 찻집으로 들어섰다. 미리 약속을 해둔 원묵스님을 만나 찻잔을 사이에 두고 세상을 떠난 절집인지 절집 밖 세상인지 모를 그런 이야기로 꽃을 피운다. 그 꽃향기에 흠뻑 취해 있는데 밖에 비가 내린다. 

스님의 안내를 받아 실상사를 돌아본다. 옛날 불국사의 삼층석탑을 복원할 때, 그 상륜부가 없어 실상사 삼층석탑의 상륜부를 그대로 본떠 만들어 세웠는데, 이렇듯 우리나라에는 실상사처럼 상륜부가 제대로 남아 있는 탑은 몇 개 되지 않는다고. 그리고 화엄사 석등이나 임실군 용암리의 석등을 닮은 실상사 석등에는 보기 드물게 불을 지필 때 올라서는 계단석이 만들어져 있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입구에 서 있는 석장승, 원래는 4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3기만 남아 있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삼층석타보가 석등. 필자와 오랜 인연을 맺어온 원목스님이 선물로 주신 실상사의 겨울풍경 사진.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삼층석탑과 석등을 보고 나니 벌써 저녁공양 때다. 하는 수 없이 스님과 잠시 이별하고 혼자서 걸음을 옮겨본다. 그 사이 비는 그치고 지리산은 운무 속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숨었다 한다. 산이 그러기야 하겠냐마는 운무가 흩어졌다 모였다 하는 것이 지리산의 기묘한 조화라 아니할 수가 없다. 그 조화로움을 초승달 같은 눈매로 바라보는 약사전 철조약사여래불은 그 어떤 움직임에도 미동도 않을 지리산 같은 무게로 앉아 계신다. 

통일신라시대 중국에서 선종을 배워온 도의국사가 지리산 자락에서 그 선법을 펼치고자 하였으나 세상은 그 뜻을 알지 못했다. 그후 홍척스님이 들어와 처음으로 산문을 연 곳이 바로 실상사이다. 그래서 실상사를 ‘선종제일가람’이라고 한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편운화상부도. 실상산문의 개산조 홍척스님의 제자인 편운화상의 부도이다.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초승달 같은 눈매로 지리산을 바라보는 약사전 철조약사불. 2006년 8월. 사진 / 이현동 객원기자

저녁공양을 마치고 원묵스님 방에 들었는데 의외로 산딸기에 커피 한잔을 내주신다. 절이라고 다 차만 마시는 것은 아닐 터. 문밖에선 비가 다시 거세게 내린다. 따뜻한 커피 한잔으로 속을 데우고 그저 웃음만으로 스님과 작별인사를 한다.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며 실상사에서 나오는 길. 어디 두었는지 모를 마음을 다시 찾아본다. 지리산은 운무에 덮였고, 실상사는 나무숲에 덮였는데 내 마음은 아직 비만 내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