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Theme 금강 중류의 재발견] 영동 월류봉과 강선대 첩첩이 여울여울 숨겨둔 절경
[Theme 금강 중류의 재발견] 영동 월류봉과 강선대 첩첩이 여울여울 숨겨둔 절경
  • 김진용 기자
  • 승인 2006.1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11월. 사진 / 김진용 기자
한천8경 월류봉. 2006년 11월. 사진제공 / 이동미

[여행스케치=영동] 전북 무주를 지나며 똬리를 틀기 시작한 금강 물줄기는 충북 초입까지 이어져 절경 하나를 빚어내는데, 이른바 영동 ‘양산8경’이다. 이어지는 지류에 또 하나의 선경이 있으니, ‘한천8경’이다.

2006년 11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송호국민관광지 초입의 솔밭. 2006년 11월. 사진 / 김진용 기자

달이 흘러 머무는 봉우리 월류봉
흔히들 팔경(八景), 팔경 하는데 우리 국토에는 대략 100개의 팔경이 있다. 그 가운데 영동에는 8경이 두 개나 있으니, 일단 한 수 먹고 들어간다. 백두대간 소백준령을 끼고 있으면서도 굽이치는 금강의 맑은 물까지 함께 품고 있으니 그럴 법도 하다. 

월류봉은 금강 지류의 굽이에 우뚝 솟은 거대한 바위봉우리인데 수묵화 속에서나 접할 수 있는 산수 풍경이다. 월류봉 옆에는 이 절경에 반한 우암 송시열 선생의 은둔지인 한천정사가 들어서 있는데, 달밤에 한천정사 대청마루에서 보면 높게 떠오른 달이 월류봉 능선의 여섯 봉우리를 따라 서쪽으로 흐른다고 한다. 달이 머문다는 월류봉(月留峰) 이름은 그렇게 나왔다. 

시시각각 변하는 거대한 월류봉의 여덟 가지 모습을 꼽아 한천8경이라 부른다. 봄꽃과 가을 단풍으로 수놓아진 월류봉의 모습을 화헌악(제2경)이라 하고, 산 아래의 깊은 연못을 용연동(제3경), 깎아지른 절벽을 산양벽(제4경)이라 부르는 식이다. 한데 제5경 청학골은 위치를 아는 이가 없고, 제6경 법존암은 월류봉 어딘가에 있었을 암자를 말함이고, 제7경 사군봉과 제8경 냉천정 역시 월류봉과 주변 물줄기 어딘가를 일컬었을 것이라는 추측만 남아있을 뿐이라 한다. 

월류봉을 오르려면 한천정사에서 579번 지방도로 되돌아 나와야 한다. 황간IC 방향으로 1km 정도만 가면 오른쪽으로 월류교가 나타나는데, 월류교를 건너 천마공장을 거치거나 언덕에 있는 커다란 공장 뒤로 돌아가면 된다. 30~40분 정도면 제1봉에 오를 수 있다.

2006년 11월. 사진 / 김진용 기자
강선대에선 웅장한 신세와 너른 강폭을 동시에 볼 수 있다. 2006년 11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선녀와 봉황이 노닌 강선대
양산면 일대 금강 주변의 뛰어난 여덟 경치를 양산8경이라 부른다. 그 가운데 단연 으뜸은 강선대(降仙臺)가 아닐까. 양산면 봉곡리의 양강(양산면 지역 사람들은 금강을 양강이라 부른다)가에 우뚝 솟은 바위 언덕인 강선대는 기암절벽과 노송이 울창해 선녀가 내려온 곳이라는 이름 그대로 선경을 이룬다.

양산의 송호국민관광지 가운데서도 한쪽으로 비켜나 있는데다, 봉곡대교를 건너서 봉곡마을을 거쳐야 올라볼 수 있는 곳이라 사람들의 발길이 뜸하다. 강바람의 끝이 무뎌지는 소나무 사이에서, 강선대 밑을 감돌아 흐르는 맑은 강물과 하염없는 강변 모래밭, 그리고 드넓게 펼쳐진 들판을 보고 있노라면, 강물에 달 가듯이 달빛 밝은 밤에 꼭 한번 다시 찾으리라 마음먹게 된다.

강선대의 또 다른 재미는 ‘용암’과 ‘비봉산’ 절경과 함께 있다는 것. 강선대에서 서쪽을 바라보면 양산8경 제8경이라 불리는 용암(龍岩)이 떠내려올 듯 강 가운데 서 있다. 강선대 설화 속에는 용암의 설화가 함께 전한다.

그 옛날 금강의 맑은 물이 하도 좋아서 선녀들이 강선대로 내려와 목욕을 하고 있었다. 때마침 승천하던 용이 그 모습에 반해 차라리 금강의 바위로 떨어졌다 하니 그것이 곧 용암이다. 천년을 기다려 승천하는 그 중요한 순간에 한눈을 팔다니. 용이 되다 말고 이무기가 될 팔자였나 싶다가도, 한눈 팔게 만드는 강선대 풍치를 보고 있자니 그도 족했으리라 싶기도 하다.

제3경인 비봉산과 어울린 풍경도 범상치 않다. 강선대는 금강을 사이에 두고 봉황이 나는 형상이라는 비봉산(飛鳳山)과 마주서 있다. 강선대가 있는 마을의 이름 역시 봉곡리(鳳谷里)이다. 날아오는 봉황을 영접하는 봉황골 마을의 강변 언덕에 솟은 선녀들의 누대 강선대…. 분명 호기심을 끄는 뭔가가 있는데, 여태 시원한 답변을 듣지 못해 아쉽기만 하다.

2006년 11월. 사진 / 김진용 기자
도마령, 칼 찬 장수가 말타고 넘은 고갯길이라는 유래. 2006년 11월. 사진 / 김진용 기자

고원의 바람을 가르는 도마령 드라이브
황간면에서 49번지방도와 강줄기를 따라 민주지산 휴양림으로 가다보면 도마령을 넘게 된다. 대전통영간 고속국도가 개통되기 전에는 영동에서 무주로 가는 길목이기도 했다. 해발 800m 도마령 마루로 오르는 바람끝은 차창을 내릴 수 없을 정도로 맵다.

칼바람을 가르고 고갯마루에 올라 내려다보면 거대한 백두대간 산세에 잠겨 허위허위 길이 오르고 있다. 거센 바람에 굽이굽이 물결치는 듯하다. 이 길이 이토록 구절양장인 것은 그 고개가 그토록 구절양장이라는 뜻일 게다. 몇 년 전엔 그마저도 비포장산길이었다 하니 그 굽음새가 어떠했을까.

첩첩이 숨겨둔 절경이 여울여울 선경과 어울려 있는 곳이 영동이다. 충북 영동에선 많은 사람들을 만날 거라는 기대는 말자. 대신 여름엔 검붉은 포도빛이 가을엔 주홍색 감빛이 겨울엔 지글지글 끓는 구들장빛이 그득해지는 골짜기와 여울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