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고향별곡] 제대로 둘러본 내 고향 경남 안의  친구야 나온나~봄이니께 밤숲에 놀로 가야제~
[고향별곡] 제대로 둘러본 내 고향 경남 안의  친구야 나온나~봄이니께 밤숲에 놀로 가야제~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7.0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밤숲에서 시장으로 가는 길에 있는 박다리깔.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안의] 꼭 설날이 다가와서 그런 게 아니었다. 고향을 떠나 객지생활을 한 지도 어언 10년 째. 그동안 수없이 고향을 오갔지만, 그저 ‘집이 거기에 있어서’인 듯 별 감흥이 없었다. 하지만 이번엔 달랐다. 고향을 ‘여행’하고 싶었다. 여기저기 숨어 있는 추억의 꽃잎을 찾아다니며 그 향기를 맡아보고 싶었다.

지리산과 덕유산을 ‘열두 폭 치마 두르듯’ 거느리고 있는 고장. 내 고향 안의는 ‘산이 많은 동네’이다. 지리산을 경계로 경상도와 전라도가 나뉜다. 대부분의 외지인들에게 ‘제 고향은 안의입니다’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그래서 어느 순간부터 차라리 ‘제 고향은 함양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버릇이 되어 버렸고, 이마저도 여의치 않으면 ‘지리산 밑 이에요’라는 말로 대신하곤 했다. 

고향으로 가는 길이 훨씬 편해졌다. 몇 년 전만 해도 서울에서 안의를 들어가기 위해선 대전에서 꼬불꼬불 추풍령 국도를 넘어야 했기에 버스 안에서 시계추처럼 좌우로 머리를 흔들며 선잠을 자기 일쑤였다. 그렇게 5시간이 넘게 꼬박 머리를 흔들면서 겨우 고향에 당도하면 골이 흔들리고 온몸이 욱신욱신 거렸다.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안의읍에 있는 '법인사'.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그런데 대전·통영간고속국도가 완성되고 나서는 더 이상 버스 안에서 몸을 흔들지 않아도 4시간 남짓이면 고향에 도착하게 되었다. 게다가 비행기 못지 않은 3열 좌석의 우등버스까지 등장했으니 세상 참 좋아졌다. 

고속국도 덕분에 시간은 단축되었지만 에둘러가더라도 고향으로 향하는 설렘을 어루만져주던 그 고즈넉한 시골 풍경은 이제 볼 수 없게 되어버렸다. 시간과 추억을 맞바꾼 것 같아 한편으론 서글픈 생각이 들기도 한다. 

고향집에 짐을 풀어놓고 황급히 초등학교로 발걸음을 옮긴다. 왠지 학교 가는 길에는 ‘은하철도999’ 캐릭터 가방을 짊어지고 한 손에는 실내화 가방을 들어야 제대로 폼이 날 것 같은데, 덩그러니 카메라 가방 하나만 들고 가는 폼새가 무척 어색하다.

방학 기간이어서 그런지 운동장엔 아이들이 한 명도 보이지 않는다. 이것도 다 인터넷 탓이지 싶다. 언젠가 갔던 동네 PC방이 옛날 오락실처럼 아이들로 꽉 찬 걸 보고 혀를 내둘렀다. 드디어 시골 아이들도 도시 아이들과 별반 다를 게 없다고 절로 한숨이 나왔는데…. 애초에 골목마다 비석치기를 하고, 산으로 들로 뛰어다니는 그런 풍경을 기대하고 있었던 건 아니지만 막상 생경한 시골 풍경을 대하니 약간은 당황스럽기도 하다.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깨끗하게 단장된 안의초등학교 뒤로 대발산이 푸르다.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한보에서 바라본 안의읍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민요 속 아리랑 고개가 안의에도 있다. 초등학교 옆에서 시작해서 대밭산을 타고 구불구불 고개를 넘어 이웃 동네인 서상으로 가는 고개를 이곳 사람들은 ‘아리랑 고개’라고 불렀는데, 이 고개가 시작되는 충혼탑 자리는 학교가 끝난 후 조무래기들의 ‘권력 다툼’과 ‘생활의 애환’을 푸는 자리로 활용되곤 했다.

“니 아까 교실에서 내 꺼 이달학습 잡아 쨌제? 그거 산 지 얼마 되지도 않은긴데!”
“내가 일부로 쨌나? 니 줄라카는데 니가 안 받아서 잡아 째진기지.”
“머라카노? 너머 꺼 잡아째놓고 나한테 디지바 씌울라카네?”

시골 조무래기들이 싸우는 이유란 정말 별거 없었다. 요즘 아이들처럼 이성 친구를 차지하기 위한 비장한 결투가 아니었다. 그저 새 책을 찢어서, 칼로 그어 놓은 책상 가운데 선을 넘어와서, 먹을 거 가지고 째째하게 굴어서…. 뭐 이 정도가 싸움의 이유였다. 참 유치하기 짝이 없지만 정작 나도 그런 이유로 죽자 살자 싸움질을 해댔으니 할 말은 없다.

그렇게 싸운 아이들이라도 내일이 되면 아무렇지도 않게 ‘한보’에서 멱을 감으며 하나가 돌을 내리치면 하나는 기절한 고기를 주워 담는 ‘상부상조’의 관계로 다시 돌아가 서로 배시시 웃음을 짓곤 했다.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연암 박지원 선생의 비석은 아이들에게 놀이기구로 이용되었다.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안의초등학교 명물인 플라타너스 나무.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한보. 안의에서 제일 큰 보(洑)라고 해서 ‘한보’라고 불렀다. 이곳은 사계절 안의 꼬맹이들의 놀이터였다. 여름에는 당연히 온 동네 주민의 수영장이고, 봄과 가을에는 맨손으로 꺽지, 메기, 피리 등의 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먹었고, 겨울에는 최고의 스케이트장 역할을 척척 해냈다. 

겨울의 막바지라 물은 말랐고, 강도 예전처럼 맑지 않다. 한 5~6년 전부터 고향에 들를 때마다 한보를 바라보지만 더 이상 이곳에서 수영을 하는 꼬마들은 보지 못한 것 같다. 강의 상류에서 무슨 일이라도 벌어진 것인지, 아니면 ‘요즘 세상에 강에서 수영하는 사람이 어디 있담?’이라는 말로 설명을 해버리면 그런 것도 같다. 

안의에서 수영할 만한 곳 하면 한보와 함께 ‘밤숲’을 꼽았다. ‘밤나무 숲’이라는 이름과 달리 이곳은 몇 백 년씩 묵은 소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 소나무 숲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신라 때 최치원 선생이 이웃 함양 상림숲은 잡목으로, 이곳에는 밤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때문에 50~60년대만 해도 솔숲 주위를 밤나무가 두르고 있었다는데 지금은 흔적도 없어졌다. 이런 연유로 이 소나무 숲이 아직도 ‘밤숲’으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밤숲은 안의 주민 최고의 풍류지였다. 또 안의 사람이라면 ‘해치’라는 봄놀이 행사를 모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그 ‘해치’의 장소가 바로 밤숲이었다.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크고 푸른 소나무가 가로수 노릇을 하는 길.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예전엔 리어카가 최고의 나들이 장치였다.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을 사람들끼리 한 번, 동갑계끼리 한 번, 상포계(喪布契)에서 또 한 번, 이러다 보면 한 사람이 서너 번은 밤숲에서 봄놀이를 하니 외지인들이 볼 때 안의 사람들은 일은 안 하고 놀기만 한다고 할 정도였다. 나 또한 초등학교 6년 동안 봄가을 소풍을 내리 이곳으로 다녔고 해치에도 적잖게 따라다닌 터라 이곳 밤숲은 눈을 감고도 다닐 수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2~3년 전부터 숲 보호를 위해 휴식년을 시행해 이제는 더 이상 소풍 장소로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주민들의 훌륭한 풍류지가 없어진 것은 섭섭하지만 사람의 손이 타지 않아 예전보다 훨씬 푸르러진 솔숲의 광경을 보니 ‘그래. 이제까지 네가 수고가 많았다. 푹 쉬어라’란 말로 기분 좋게 위로할 수 있을 것 같다.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집에서 꺼내 온 옛날 사진.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밤숲 앞 자리한 전래놀이 체험관과 전시관. 2007년 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역시나 길을 잘못 든 것 같다. 밤숲에서 나와 집으로 간다는 것이 어쩌다 보니 시장 가는 길로 들어서 버렸다. 몇 년 사이에 마을에 길이 무지하게 많아졌다. 골목길이 뻥뻥 뚫리고 소방도로라고 해서 없던 길이 마구 생겨서 20년을 살던 동네인데도 이렇게 헷갈린다. 

어쩌면 이제 백 개의 기억보다 한 장의 사진이 더 뚜렷한 추억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 그만큼 시간이 흐르면서 고향 풍경에 대해 잊은 것도, 잊혀진 것도 많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나고 자란 ‘고향’이라는 품보다 더 아련하고 포근한 곳은 없다는 것일게다.

힘들고 지칠 때 무작정 여행을 떠날 계획이라면 고향을 찾아보라. 부쩍 변해 버린 풍경에 낯설고 어색해지기도 하겠지만, 추억을 되짚어가며 걷는 그 고향 길은 오감보다는 가슴으로 걸어갈 방향을 정하고, 마음으로 보고 듣는 여행이 될 것이다. 

오늘, 그 여행을 했다. 손과 발, 얼굴은 시리지만 마음은 봄처럼 푸근하고 따뜻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