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마니산 밑동네 이야기] 강화 진강산 산행 꽃엔 취하고, 신록엔 반한다는 말이 맞네!
[마니산 밑동네 이야기] 강화 진강산 산행 꽃엔 취하고, 신록엔 반한다는 말이 맞네!
  • 전갑남 기자
  • 승인 2007.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강화 진강산 풍경.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여행스케치=인천] 형제처럼 살갑게 지내는 선후배 몇이서 시간이 날 때마다 강화 근교 산을 찾는다. 부족한 운동을 대신하고, 우리 고장을 두루 섭렵하는 재미가 여간 쏠쏠하지 않다. 

날씨 좋은 날, 가볍게 떠나는 진강산
강화도에는 두어 시간 가볍게 산행을 즐길 만한 산들이 많다. 대개 해발 400m 안팎의 나지막한 산들이다. 그래서일까? 수도권에서 가까워 당일치기 산행을 즐기는 등산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우선 민족의 영산이라는 마니산을 많이 찾는다. 진달래꽃으로 화려한 동산을 이루는 고려산, 혈구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북녘 땅을 가까이 조망할 수 있는 봉천산, 섬 산행의 묘미를 즐길 수 있는 해명산과 화개산도 가볼 만한 산이다. 그리고 이번 우리 일행이 가기로 한 진강산도 강화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아름다운 명산이다.

“이번 산행은 진강산입니다. 신록에서 뿜어져 나오는 기를 듬뿍 받고 오자고요.”
맑고 화창한 날씨다. 우리는 산악대장의 안내에 따라 강화 양도면 능내리로 향한다. 진강산은 몇 번 올랐던 산이다. 같은 산이라도 계절을 달리하면 새로운 맛이 나고, 코스를 달리하면 처음 오르는 기분이 든다.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사적 제370호인 진강산 들머리에 있는 가릉.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해발 443m의 진강산. 강화 중남부지역인 혈구산과 마니산 사이에 있는 강화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봄이면 꽃나무가 만발하여 꽃동산이 된다. 몇 해 전 진강산에 산불이 나, 불이 난 자리에 산나물이 많이 자라고, 자연스레 진달래 군락지가 형성되어 사람들의 발길이 더욱 잦다. 

“모두들 가릉을 보지 못했죠? 가릉을 들머리로 하여 흙길을 밟고 오르는 코스가 좋아요.”
고려 원종(1259~1274)의 왕비 순경태후의 능인 가릉(嘉陵)을 산악대장이 안내한다. 나도 아직 가까이 가보지 못한 터라 기대가 된다. 

가릉은 다른 고려 왕릉들이 지하 석실을 만든데 비해 지상에 축조하였다. 봉토 내부에 방형(方形)으로 깬 돌을 쌓아 봉분을 조성하였다. 유리문 사이로 석실을 들여다볼 수 있다. 가릉을 보니 강화가 고려의 수도였다는 것이 실감난다. 산길이 호젓하다. 솔잎이 떨어져 쌓인 푸석푸석한 흙길이 걷기에 참 편안하다. 듬성듬성 핀 산벚꽃이 신록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노란 뱀딸기꽃과 각시붓꽃이 봄의 한복판에서 멋을 부리고 있다. 아직 지지 않은 진달래는 가는 봄이 아쉬운 듯 마지막 분홍빛을 태워내고 있다.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산벚꽃의 화사한 모습.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효종 임금의 안타까운 사연
시원한 음료수 한 잔을 마시고, 숨을 고르니 살 것 같다. 진강산의 산허리를 바라보며 산악대장에게 물었다. 
“‘양천 원님 죽은 말 지키듯 한다’는 말 들어보았어?”
“효종 임금 때 진강산 벌대총에 관한 이야기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속만 태울 때를 이르는 말 아니에요?”
우리 이야기를 귀동냥 하던 일행들까지 흥미를 보인다. 진강산에는 효종의 애마 벌대총(伐大聰)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진강산에 감수천이라는 샘이 있어 조선시대에 이곳에서는 많은 군마를 사육하였다. 진강산의 말은 용맹스럽고 영리한데다 달리는 것이 바람과 같고, 온몸은 흰색인데 갈기와 꼬리는 푸르스름한 색깔이었다고 한다. 

병자호란 때, 봉림대군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 낯선 나라에서 갖은 고생을 한 봉림대군은 뒷날 효종으로 즉위하였다. 그런 연유로 효종은 청나라에 대해서 한을 품고 자주 강화도를 찾으면서 청나라를 칠 생각에 골몰했다. 임금이 내려올 때마다 진강산의 명마로 맞이하였는데, 효종은 이 말을 아껴 친히 ‘벌대총’이란 이름까지 지어주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양까지 임금을 모셔드리고 돌아오는 길에 예기치 못한 일이 벌어졌다. 양천(지금의 양천구)에서 벌대총이 졸도하여 사흘 만에 죽고만 것이다. 임금이 아끼던 말이 죽었으니 양천 원님은 그야말로 사색이 될밖에. 결국 원님은 임금께 고하기를 “벌대총이 누운 지 사흘, 눈 감은 지 사흘, 그리고 먹지 않은 지 사흘이 되옵니다”라고 얼버무렸다. 

얘기를 들은 효종은 “아! 벌대총을 타고 청나라를 치려는 나의 뜻을 하늘이 저버리시는구나!”라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벌대총이 죽은 것을 백성의 잘못으로 탓하지 않고, 하늘의 뜻으로 생각한 것이다. 그때부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곤란한 경우에 ‘양천 원님 죽은 말 지키듯 한다’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고 한다.

녹색의 신록이 이처럼 아름다울까?
진강산 벌대총 이야기를 하면서 한참을 쉬었다. 다시 산행을 시작하니 새 힘이 불끈 솟는다. 얼마가지 않아 산불감시탑과 통신탑이 보인다. 진강산 정상이다. 

한 시간 반 정도 산행을 하니 목도 타고, 허기가 진다. 각자 준비해온 음식 보따리를 풀어놓자 푸짐하다. 
막걸리 잔을 따라 제일 연장자이신 선배님이 건배를 제의한다. 
“진강산의 푸른 솔은 제선충과는 멀리하게 하시고…신록처럼 푸른 우리 건강을 위해 쭉 들이켭시다!”

막걸리 한 잔이 기가 막히게 넘어간다. 산행을 하고 정상에서 먹는 음식은 꿀맛이다. 막걸리 한 잔의 취기가 시원한 바람에 실려 날아갈 것 같은 기분이다. 사람들이 이 맛에 산을 타는지도 모른다.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진강산에서 바라본 참성단이 있는 마니산.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산 위에서 먹는 간식거리. 꿀맛이다. 2007년 6월. 사진 / 전갑남 기자

정상에서 바라보는 강화 산하가 한 폭의 그림이다. 남으로는 마니산이, 서쪽으로는 서해바다가 넘실댄다. 그리고 혈구산, 혈구산 너머 고려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구획 정리가 잘된 기름진 강화 들판도 시원스럽다. 

산 아래 펼쳐진 신록에 눈이 맑아진다. 연초록의 새순이 이파리를 펼치며 푸르름으로 채색하고 있다. 신록에서 뿜어져 나오는 신선한 기운이 온몸에 스며드는 것 같다. 겨드랑이를 파고드는 한줄기 바람이 상쾌하다. 연둣빛의 싱그러움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아! 자연이 주는 최고의 선물일세! 신록의 아름다움이 마음을 흔들지 않아?”
“자연의 신선함이 이런 것이 아닐까?”
따스한 햇살 아래 신선한 공기를 맘껏 숨쉬다 보니 내려가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번잡한 세상사 모든 것이 잊혀지는 시간이다. 꽃에는 취하고, 신록에는 반한다는 말이 틀리지 않는 듯하다. 오랫동안 머물다 산을 내려오는 일행들 모두 즐거운 표정을 감추지 못한다. 선배님께서 산행을 마감하는 말이 푸짐하시다.

“자연의 기를 받아서 그런지 몸이 가뿐하구먼. 우리 선수포구에 가서 바닷바람까지 쐬고 가자고. 그곳에 밴댕이회가 있을까? 오늘 산행은 백점이야, 백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