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뱃길따라 여행] 우도-성산일출봉 유람선 물 건너 제주에서 또 물을 건너니 비경이 가득 
[뱃길따라 여행] 우도-성산일출봉 유람선 물 건너 제주에서 또 물을 건너니 비경이 가득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1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제주] 아름다운 섬 제주도는 그 속에 또 다른 아름다운 섬을 두 곳 숨겨두고 있다. 바로 우도와 성산일출봉이다. 누워 있는 소를 꼭 닮은 우도와 바다 위에 떠 있는 거대한 분화구인 성산일출봉, 이들은 또 제각기 엄청난 보물들을 숨기고 있다.

선상 유람선 선착장에서 출발한 유람선은 유유히 우도를 향한다. 쌩한 겨울바람이 장난 아니게 차갑다. 하지만 매연 하나 섞이지 않은 깨끗한 바람인지라 힘껏 코를 벌름거려 바람을 몸속으로 우겨 넣는다. 마치 몸 안에 켜켜이 쌓인 도시 공기의 때를 벗겨내려는 듯이 말이다. 

3층으로 이뤄진 유람선의 1층 휴게실에선 출발한 지 5분도 안 되었는데 벌써부터 할아버지들의 술상이 차려졌다. 다행히 눈살이 찌푸려질 만큼 술자리가 과하지는 않다. 오랜만에 여행 오셔서 배까지 타니 흥이 나셨던 모양이다.

남해의 물은 유난히 푸르다. 뱃머리에 부딪힌 푸른 물은 흰 포말을 일으켜 배 꽁무니에 넓은 길을 만들어놓는다. 갈매기는 그 허연 길에 내려 앉아 사람들이 던져준 과자를 주워 먹고 있다.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우도 밑 갯바위에서 낚시를 즐기는 낚시꾼.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약 10분을 달리니 좌우로 길게 뻗어 있는 작은 섬 하나가 나타난다. 우도다. 유람선 선장님의 우도 소개가 스피커를 타고 쩌렁쩌렁 선내에 울린다. 

“아, 저것이 우도입니다. 소 우(牛)자를 써서 우도라고 하는데, 어찌, 그렇게 보이십니까? 눈썰미가 있는 분들은 소 한 마리를 발견하신 분들도 있을 것이고, 소는커녕 섬이 어디 있는지도 못 찾는 분들도 꼭 계십니다.”

사실 나도 도대체 어디에 소가 누워 있다는 것인지 모르고 연신 헤매고 있는데, 옆에 있던 할머니까지 “아유, 소 어디 있어? 어디 있냐고?” 하며 채근하신다. 할머니, 저도 답답해요. 하지만 나도 모르게 손가락을 섬 아무데나 찔러 “쩌~어기 소머리…” 하고 자신 없는 대답을 하고 말았다. 

우도는 제주의 동쪽 끝자락에 평화롭게 누워 있다. 제주도에 비하면 한 점 작은 섬이지만 동쪽에서 부는 거센 바람을 가장 먼저 온몸으로 막아낸다. 아침마다 가장 먼저 해를 맞이하는 곳도 성산일출봉이 아닌 우도이다.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우도 주변을 스릴 넘치게 달리는 보트.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우도에는 유난히 해녀들이 많이 살고 있어 ‘우리들은 제주도의 해녀들, 추운 날 더운 날, 비가 오는 날에도 저 바다 저 물결에 시달리는 몸. 아침 일찍 집을 떠나 황혼 되면 돌아와 우는 아기 젖 먹이며 저녁밥 짓는다’란 ‘해녀가’가 전해지기도 한다. 평화로워 보이지만 바다를 터전 삼아 사는 아낙들의 애환이 서려 있는 섬인 것이다. 그나저나 아무래도 소의 모습이 보이지 않아 눈에 한껏 힘을 줘 오만상을 하고 섬을 바라보니 그때야 오른쪽으로 반듯이 누운 소 한 마리가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참, 세상 다 가진 인상으로 소가 웃고 있다. 온몸으로 태풍을 맞고 바다의 물살을 받아내면서도 저렇게 넉살 좋은 인상을 하고 있으니 진정으로 ‘훈소(훈훈한 소)’가 아닐 수 없다. 

우도엔 소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해변 쪽의 기암괴석 곳곳에는 악어도 있고 사자도 있고, 용도 있다. 물론 그것을 눈썰미로 찾아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다행히 선장님이 그때그때 자세한 설명을 해주긴 하지만 귀로 빤히 설명을 들으면서도 눈으로는 자꾸만 엉뚱한 곳을 찾고 있다. 혹시 착한 사람에게만 보이는, 뭐 그런 건가.

소의 꼬리 부분부터 차차 배 부분으로 올라가자 방긋 웃고 있는 소의 얼굴이 너무나 잘 드러난다. 역사적으로 우도는 1697년(숙종 23년) 국유 목장이 설치되어 국마(國馬)를 관리·사육하던 곳이다. 혹시 저 모습이 소가 아니라 말인가 싶어 다시 자세히 바라보지만 어김없는 소다. 한 치의 의심도 없을 정도로 완벽한 소의 모습이다.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거북을 닮은 것 같기도 하고 거대한 성을 닮은 것 같기도 한 성산일출봉.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선장님은 우도팔경을 일일이 설명하고 있지만 그것이 모두 눈에 들어올 리 없다. 그냥 가장 눈에 띄는 소의 형상과 소머리 위에 앉아 있는 악어바위, 엉덩이에 붙어 있던 사자바위와 용머리바위의 모습만 찾았다. 원래 우도는 사람이 내려서 관광을 즐길 수 있는 곳이지만 유람선은 중간에 정박을 하지 않는다. 아쉬움을 뒤로하며 다음을 기약하는 수밖에 없다. 

뱃머리를 돌려 성산일출봉으로 향한다. 머리 꼭대기에서 놀던 해가 어느새 서쪽으로 기울어져 바다에 눈부신 빛의 사금파리들을 흩뿌려 놓는다. 그 위로 둥실 떠 있는 일출봉의 모습은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하다. 잘 알려진 대로 성산일출봉은 10만 년 전 바다 속에서 폭발한 화산체이다. 일출봉 정상에는 지름 600m, 높이 90m에 이르는 거대한 분화구가 만들어져 있다. 그 모습이 ‘성 같이 생긴 산’이라 하여 흔히 ‘성산일출봉’으로 부른다. 

일출봉의 모습이야 워낙 육지에서도 잘 보이기에 별다를 게 있겠냐 하겠지만 그건 모르는 소리다. 인류가 달의 뒷모습을 볼 수 없듯이, 성산일출봉의 뒷모습 또한 쉽게 볼 수 있는 광경이 아니다. 오직 배를 타고서만 볼 수 있으니 이 어찌 놓칠 수 있으랴.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육지에서는 볼 수 없는 성산일출봉의 뒷모습. 2008년 12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거북바위와 작은 일출봉을 지나면 깎아지른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 일출봉의 뒷모습을 만나게 된다. 바위가 솟아오른 것이 아니라 차곡차곡 쌓여 만들어진 것처럼 가로로 나 있는 굵은 선들은 장관 중의 장관이다. 

분화구를 둘러싸고 있는 작은 봉우리들은 참으로 섬세하다. 이 봉우리들을 세어보면 99개로, 이를 ‘구구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구구봉 가운데는 전쟁을 치르는 병사의 모습도 있고 거북의 모습도 있다. 종을 든 사람의 모습도 있다. 아흔아홉 개의 봉우리 각각마다 구구절절한 사연이 있을 법하다. 

절벽에 하얗게 쌓인 무언가가 있어 사진을 찍어대는데, 옆에 있던 할아버지가 그건 갈매기 똥이란다. 하도 똥을 많이 싸놓으니 이 또한 세월을 지나면서 바위처럼 굳어졌단다. 사람 손길이 닿지 않으니 별것 아닌 것도 풍경이 되어버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