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가족여행] 겨울 민속놀이를 찾아서, 월악민속놀이학교와 미륵리 절터
[가족여행] 겨울 민속놀이를 찾아서, 월악민속놀이학교와 미륵리 절터
  • 구동관 객원기자
  • 승인 2004.02.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월악산 미륵리 절터 풍경.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월악산 미륵리 절터 풍경.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여행스체치=제천] 월악산의 봉우리 모습이 선명하게 보이는 곳에 월악민속학교가 있었다. 코흘리개 마을 아이들이 옹기종기 모여 재잘거리며 수업을 받았을 초등학교는 학생수 감소로 폐교가 된 뒤 민속학교로 이름을 바꿔달고 도시어린이들의 민속 체험공간으로 제공되고 있었다.

월악민속학교는 모든 민속놀이를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월악민속학교는 모든 민속놀이를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우리가 참여한 여행은 한국관광공사에서 주관하는 ‘체험, 가족여행단’의 12월 프로그램. 민속학교에서 다양한 체험을 한 뒤 주변의 미륵사 절터를 돌아보고 수안보의 따뜻한 온천욕이 예정되어 있었다. 월악 민속마을에서 즐기는 겨울놀이 우리가 민속학교에 도착한 것은 오전 10시. 서울에서 출발한 여행객들도 그 시간쯤 도착 예정이었지만 30분 정도 늦는단다.

월악민속학교 옆의 개울가.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월악민속학교 옆의 개울가.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기다리는 동안 학교 옆의 개울가로 나갔다. 개울의 물이 꽁꽁 얼었다. 어린시절 겨울 내내 그런 개울가를 헤집고 다녔던 기억이 떠올랐다.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그런 개울이 생소하다. 돌을 던져 얼음이 두껍게 얼은 것을 확인하고 얼음 위로 올라섰다. 아이들은 얼음에서 미끄럼을 타기도 하고, 돌로 그 얼음을 깨서 얼음 칼을 만들어 보기도 한다. 가르쳐주지 않아도 노는 것은 어른들의 어렸을 때와 비슷하다. 그러는 사이 서울에서 출발한 가족여행단이 도착했다.

참가자들은 민속학교 소개를 듣고 본격적인 체험에 나섰다. 첫 순서는 손두부 만들기. 두부 만드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맷돌을 돌려 콩을 가는 체험을 한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맷돌을 돌리기는 처음이다. 한쪽에서는 장작불이 활활 타오르고, 그 위에 얹어진 무쇠 솥에서 갈아둔 콩을 끓여 두유를 만들고 있었다.

아이 혼자 들기에는 힘이 들어 부모와 함께 떡메를 치는 모습.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아이 혼자 들기에는 힘이 들어 부모와 함께 떡메를 치는 모습.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체험 참여자들에게 따뜻한 두유가 한 컵씩 돌아갔다. 현석이는 맛이 있다며 잘 마시지 못하는 다솜이 몫까지 마셨다. 다음 체험은 인절미 만들기. 비닐하우스로 만들어둔 야외 체험장에서 떡메를 쳐서 찹쌀떡을 만들었다. 떡메는 아이들 혼자 들기에는 조금 무거웠다. 부모님들과 함께 떡메를 치는 아이들의 눈빛이 사뭇 진지하다.

보조를 맞춰가며 과업(?)을 달성한 가족들에게 환한 웃음꽃이 핀다. 체험을 하며 만든 떡을 모두가 사이좋게 나눠 먹었다. 현석이는 백화점에서 사서 먹는 떡보다 더 맛있다며 떡 맛을 아는 체 했다. 찹쌀떡 만들기를 마치고 밖으로 나가는 사람들에게 썰매를 나눠주었다.

무릎을 꿇고 송곳을 얼음판이 찍어서 씽씽 달리는 앉은뱅이 썰매.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무릎을 꿇고 송곳을 얼음판이 찍어서 씽씽 달리는 앉은뱅이 썰매.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밖이 바로 썰매장이었다. 논에 물을 가두고 얼려둔 그 곳에서 썰매타기를 시작했다. 올겨울 들어 가장 추웠던 지난밤의 강추위가 만든 얼음이라서 논에 만들어둔 썰매장의 얼음이 반질반질했다. 그동안 강변에 만들어 둔 썰매장에 몇 번 가 보았던 현석이와 다솜이는 금세 씽씽 썰매를 달린다.

썰매타기가 시시해질 때쯤 현석이가 논 입구에 널려 있던 몇 개의 팽이를 발견했다. “아빠, 이 팽이는 어떻게 돌려?” 그동안 문구점에서 사서 돌리던 팽이들과 다른 민속팽이에 호기심을 보였다. 아빠가 시범을 보이느라 커다란 팽이를 힘껏 돌리고 팽이채로 때려 팽이가 돌도록 하였다. 현석이도 아빠를 따라 팽이를 돌렸다. 두어 번 시행착오를 거친 뒤 제법 그럴듯한 팽이치기 솜씨를 보였다.

썰매타기까지 마치고 오전 일정이 끝났다. 점심식사에는 오전에 만들었던 손두부와 몇 가지 반찬이 된장국과 함께 나왔다. 직접 만드는 과정을 보았던 두부여서 더 맛있었다. 점심식사를 마치고 오후 일정을 시작하기까지 잠시 동안의 자유시간이 있었다.

가족별로 그네를 타거나 널뛰기, 굴렁쇠 굴리기 등을 하였다. 현석이와 다솜이는 커다란 나무에 노란 상자의 네 귀퉁이를 묶어 빙글빙글 돌아가게 만든 그네를 탔다. 어지럽다고 비틀거리면서도 즐거워했다.

제주도 조랑말을 타고 달리는 승마체험.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제주도 조랑말을 타고 달리는 승마체험.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오후 일정의 시작은 승마체험이었다. 승마장에는 잘 생긴 제주도 조랑말이 아이들을 반기고 있었다. 우선 말 타는 자세와 마음가짐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이 있었다. 승마는 전신운동이어서 추운 겨울날에도 30분만 열중하면 땀이 난단다.

설명을 들은 뒤 아이들부터 승마를 시작했다. 잘 훈련된 말들은 고삐를 잡아주는 사람 없이 승마장을 한바퀴 돌아 출발한 곳으로 되돌아왔다. 하지만 말들이 가끔씩 너무 천천히 걷거나, 중간쯤에서 갑자기 방향을 바꿔 뒤로 달려 승마를 지켜보는 사람들을 한바탕 웃게 만들곤 했다.

석불을 보호하는 석굴사원, 미륵리 절터 승마체험을 마치고 민속학교에서의 일정이 끝난 뒤, 다음 목적지인 미륵리 절터로 이동하였다. 미륵리 절터에서는 아이들과 어른들이 따로 안내를 담당한 강사 선생님들을 따라가며 설명을 들었다. 아이들에게는 쉬운 설명을, 어른들에게는 조금 더 깊은 내용까지 이야기 해주려는 주최 측의 배려가 돋보였다.

석불입상 앞에서 소원을 비는 사람들.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석불입상 앞에서 소원을 비는 사람들.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미륵리 절터의 가장 큰 특징은 석불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석굴사원이란 점이다. 방식은 다르지만 석굴암을 모방한 것이란다. 또한, 우리나라 사찰 중 북쪽을 바라보는 유일한 절이기도 하단다. 처음 절이 세워진 것은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시대 쯤으로 추정되며, 신라 경순왕의 아들인 마의태자와 그 누이인 덕주공주의 이야기가 전설로 함께 전해진다.

5층 석탑(보물 제95호)과 석불입상(보물 제96호) 등 문화재에 대한 설명보다 아이들이 귀를 쫑긋 세우고 들은 것은 공깃돌 바위에 대한 설명이었다. 설악산의 흔들바위를 축소해 놓은 듯한 공깃돌 바위는 온달장군이 공기놀이를 했다는 전설을 전한다.

학교 옆 개울가에서 바라본 월악산의 전경.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학교 옆 개울가에서 바라본 월악산의 전경. 2004년 2월. 사진 / 구동관 객원기자

지난 해 온달산성과 온달동굴 여행을 다녀왔던 현석이와 다솜이는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며 온달에 대해 아는 체 했다. 우리 가족은 온천에서 여행의 피로를 풀며 즐거웠던 하루 일정을 마무리 한  뒤 집으로 돌아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