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한국의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⑦ 대흥사, 두륜산 가운데 피어난 불가의 역사
[한국의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⑦ 대흥사, 두륜산 가운데 피어난 불가의 역사
  • 노규엽 기자
  • 승인 2019.10.16 1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누워있는 부처 아래 폭 감긴 넓은 사찰
서산대사, 초의선사 등 수많은 큰 스님 배출
성보박물관에서 국보와 보물의 모습 볼 수 있어
<편집자 주> 2018년 6월 30일,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서 개최된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이 신청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세계유산으로 등재가 확정됐다. 이에 해당하는 사찰은 영주 부석사, 양산 통도사, 보은 법주사, 해남 대흥사, 안동 봉정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등 총 7곳. 각 사찰이 세계유산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 역사적 이유와 사찰문화 등을 면면히 살펴본다. 

[여행스케치=해남] 한반도의 ‘땅끝’이라 불리는 해남에서 이름을 알리고 있는 여러 사찰 중에 대흥사는 해남 여행을 하며 꼭 들러야할 곳으로 주목받는다. 두륜산이 주변을 감싼 가운데에서 피어난 불교문화와 이곳을 거쳐 간 이름 높은 스님들의 일화를 아는 것도 관람 포인트다.

길고 긴 진입로를 지나 일주문에 들다
대흥사는 해남의 명산인 두륜산도립공원의 정중앙 즈음 움푹 파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뿐 아니라 명칭에서도 두륜산과 대흥사는 연관이 있어왔다. 대흥사를 대둔사로 부르던 시절에는 산 이름도 대둔산이라 칭하다가, 대흥사로 이름이 바뀌자 대흥산으로 부르기도 하며 역사를 이어온 것이다. 대흥사 수범스님은 "두륜산은 봉우리에서 꽃이 피듯이 크게 일어난다는 뜻으로 한듬산이라 부른 적도 있다"며 "주변의 큰 산이 막아져 있어 기운들이 안으로 모인 곳에 자리해 스님들이 수행을 하기 좋은 환경을 지녔다"고 말한다.

북원 구역의 중심 건물인 대웅보전의 모습.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북원 구역의 중심 건물인 대웅보전의 모습.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대흥사는 매표소를 지나고도 2km가량 차를 달려야 일주문 근처에 이를 정도로 긴 진입로를 지녔다. 대흥사 경내에 거의 다다른 곳까지 차가 들어올 수 있지만, 주변 숲을 즐기며 걸어서 대흥사로 향하는 이들도 많은 길이다.

대흥사 일주문을 지나면 부도전이 있는 곳을 지나 다시 숲길이 하늘을 막는다. 그러나 계곡을 건너 이내 대흥사 해탈문을 지나면 사방과 하늘이 온통 트이며 좌우로 넓게 자리 잡은 대흥사 경내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다. 사찰 뒤편 멀리로는 두륜산 정상부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데, 뒤편 산자락 경계선이 누워있는 부처님(와불) 형상으로 보여 이름 높은 사찰의 위세를 더욱 느끼게 한다.

Info 대흥사
주소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입장료 어른 3000원, 중고생 1500원, 초등학생 1000원

대흥사에 남아있는 여러 인물 이야기
대흥사 창건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신라의 정관존자 창건설로, 426년 정관존자가 대흥사 산내 암자의 하나인 만일암을 창건했다고 한다. 이후 508년 이름을 알 수 없는 선행 비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지나 안타깝게도 정관존자는 생애나 활동 내용이 알려져 있지 않은 인물이어서 큰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두 번째는 <죽미기>라는 자료에 544년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기록되어 있어, 현재 사찰 내에서는 대체로 아도화상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다 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해탈문을 지나면 보이는 대흥사 전경. 뒤편 산자락에 누워있는 부처님 형상이 보인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백설당에 걸려있는 무량수각 편액. 진품은 추사 김정희가 썼다고 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대흥사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것은 대흥사와 연관이 깊은 명승들의 활동에 의해서다. 특히 대흥사에서 정진한 적이 있던 서산대사가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고 나라를 지킨 일이 지금까지도 이야기된다. 당시 서산대사는 선조의 부탁으로 전국의 스님들이 총궐기하여 싸움에 나설 것을 호소하였다고 하며, 의주로 피란을 갔던 선조를 모시고 한양으로 복귀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묘향산으로 돌아간 서산대사는 은적암에서 입적을 할 때, 사용하던 의발을 대흥사로 보내달라 했다고 한다. 수범스님은 "서산대사께서는 대흥사가 삼재가 들어오지 않고 만년동안 불법이 변치 않을 곳이라 하여 의발을 대흥사로 보내셨다고 전한다"며 "그 이후 대흥사에서는 큰 스님들을 많이 배출하며 사찰로서의 이름을 높였다"고 말한다.

대흥사에서 반드시 알고 가야할 또 한 분의 명승은 바로 초의선사다. 일지암이라는 암자에서 차를 재배하며 한국의 차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다성(茶聖)으로도 불리는 인물이다. 초의선사는 강진으로 유배를 왔던 다산 정약용이나 추사 김정희와 같은 인물들과 교류를 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야기에 따르면 정약용은 초의선사가 만들어준 차 맛에 반해 초의선사의 차가 아니면 마시지 아니하였다고 한다. 

남원 구역에서는 천불전을 들르게 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남원 구역에서는 천불전을 들르게 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천불전에 모셔진 1천 명의 부처님은 일본에 표류했다가 돌아왔다고 한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또, 추사 김정희와는 나이가 같아 더욱 친밀했다고 하는데, 대웅보전의 편액과 관련된 일화가 재미있다. 김정희가 제주도로 유배를 가면서 대흥사를 들렀는데, 당시 대웅보전에는 동국진체를 완성한 원교 이광사가 쓴 편액이 걸려있었다. 이를 본 김정희는 "저 글씨는 동쪽나라를 망하게 한 글씨니 내리고 내 글씨를 달아라"고 요청해 초의선사는 그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추사가 9년의 유배생활을 끝내고 돌아오면서 대흥사에 들렀을 때는 "내가 쓴 것들이 잘못 됐다"며 다시 이광사의 편액을 달았다는 일화다. 

이처럼 대흥사는 오랜 역사를 이어온 것에 더해, 수많은 국보와 보물 등의 문화재와 서산대사와 초의선사 등 역사에 기록을 남긴 큰 스님들의 발자취를 주목받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키고 있다 하겠다.

북원과 남원 등 구역별로 샅샅이 탐방해야
대흥사를 둘러볼 때는 딱히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는 없으나 방위에 따라 구분되어진 구역을 원하는 순서로 관람하면 좋다.

먼저 본당인 대웅보전이 있는 구역을 북원이라 칭한다. 북원은 두륜산에서 흘러내려오는 금당천이 대흥사를 가로지르는 북쪽을 말하며, 대흥사가 시작되었던 초창기 지역이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북원 구역은 공간이 넓지는 않지만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대웅보전과 응진당, 산신각, 명부전 등이 가지런히 자리 잡고 있다. 무량수각 편액이 걸린 백설당이 자리하는데, 현재 걸려있는 편액은 가품이지만 추사 김정희의 글씨라고 전한다. 또, 오늘 9월 29일까지 한 해 동안 대흥사의 여러 모습을 수묵 회화로 그린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어 흥미로운 볼거리가 되고 있다.

표충사 구역 초입에 자리한 초의선사의 모습.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표충사 구역 초입에 자리한 초의선사의 모습.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성보박물관에서 서산대사의 흔적을 만나볼 수 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성보박물관에 전시해놓은 국보 제308호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의 50% 축소 모형.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금당천을 건너 남원 구역으로 오르는 계단에서는 연리근을 만날 수 있다. 연리지, 연리목 등 가까이 자라는 두 나무가 만나 합쳐지는 연리 현상 중에서 대흥사에는 뿌리가 만난 연리근이 나타난 것이다. 대흥사 연리근은 천년 된 느티나무가 만난 것으로, 우리 조상들도 연리나무를 길조로 여겼다는 기록에 따라 사랑을 의미하는 연리근에 소중한 기원을 전해볼 만하다.

남원 구역에서 들르게 되는 곳은 천불전이다. 과거, 현재, 미래에 어느 곳에나 항상 부처님이 계신다는 의미에서 천불을 모시고 있는 전각이다. 이곳의 천불은 경주 불석산의 옥돌로 조성한 것으로, 배에 싣고 오던 도중 부산 앞바다에서 태풍으로 만나 일본 큐슈로 표류해 갔다가 대흥사로 돌아와 봉안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천불 가운데는 어깨에 ‘日’자가 적힌 불상이 있다. 

북원과 남원 구역 사이에 두 나무의 뿌리가 만난 연리근을 볼 수 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서산대사를 기리고 있는 표충사. 편액을 정조가 써서 내렸다는 의미로 어서각이라는 편액이 함께 걸려있다. 사진 / 노규엽 객원기자

남원에서 조금 더 남쪽으로 두륜산으로 향하는 오름길에 자리한 표충사 구역도 중요한 곳이다. 표충사는 서산대사의 충절을 기리고 있는 사당으로, 불교 사찰 내에 자리한 유교 문화재라 할 수 있다. 임진왜란 이후 서산대사의 의발이 대흥사에 전해져 법맥을 이어왔기에, 1788년 건립을 추진하여 정조가 직접 쓴 편액이 내려졌다. 표충사 내에는 서산대사와 함께 서산대사의 제자이면서 전란에서 공적을 세운 사명당 유정스님과 뇌묵당 처영스님의 진영도 모셔져 있다.

대흥사가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들을 더 보고 싶다면 성보박물관을 반드시 들러야한다. 2층 서산관에 서산대사의 의발을 비롯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그 옆으로 초의선사와 관련된 유물들도 만날 수 있다. 1층에서는 김정희가 쓴 무량수각 편액의 진품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반가울 것은 대흥사가 보유한 국보 제308호인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의 축소 모형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마애여래좌상은 두륜산 정상부에 있어 등산을 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것이지만, 성보박물관에서 축소 모형이나마 보면서 아쉬움을 달랠 수 있다.

※ 본 기획 취재는 국내 콘텐츠 발전을 위하여 (사)한국잡지협회와 공동 진행되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