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명인별곡] “살아야 한다. 세상에 독도를 더 알려야 한다.” 독보적인 ‘독도 사진작가’ 김종권 명인
[명인별곡] “살아야 한다. 세상에 독도를 더 알려야 한다.” 독보적인 ‘독도 사진작가’ 김종권 명인
  • 박지원 기자
  • 승인 2015.08.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여행스케치=곡성] 세계 최초로 울릉도에서 바라본 독도의 풍경을 렌드에 담은 인물. 독도를 알리고자 전라남도에 독도 홍보관을 세운 사람. 예순이 넘은 나이에도 독도를 훑고 다니며 셔터를 누르는 남자. 이 모든 것은 독도 사진작가로 알려진 김종권 명인을 일컫는 말이다. 그를 만나 독도에 얽힌 희로애락을 들어보자.

전남 곡성에 닿을 즈음 처연한 빗방울을 흩뿌리던 하늘이 잠잠해진다. 구름 사이로 볕까지 쨍하고 내리 쬐니 종일 꿉꿉했던 몸과 마음이 광합성을 하는 기분이다. 이내 뽀송뽀송해진 기분으로 발을 들여놓은 ‘김종권 남도사진전시관’은 정오의 싱그러운 빛깔과 어우러져 한없이 평화롭게 느껴진다. ‘섬진강문화학교’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옛 초등학교 건물에 들어선 전시관이다. 아홉 칸의 교실에는 독도의 숨 막히는 비경을 담은 사진과 전남의 명소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사진 등 600여 점의 작품이 들어차 있다. 바로 이곳에 유별난 독도 사랑으로 독도를 제집 드나들듯 하는 이가 있다. ‘독도 사진작가’ 김종권 명인이다.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카메라를 처음 쥔 게 열아홉 살이지요.” 그 무렵부터 김 명인은 산과 사진에 푹 빠져 전국을 누볐다. 지금까지 그가 백두산과 금강산을 다녀온 횟수만 합쳐도 마흔 번이 족히 넘는다. 이런 그가 독도와 운명적인 사랑에 빠지기 시작한 건 1992년이다. 당시는 일본이 “‘오키섬’에서 독도가 보인다”는 말로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는 억지를 한창 부릴 때다. 이에 자극받은 김 명인은 한국 땅에서도 독도가 보인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한달음에 울릉도로 들어갔다. 그리고 몇 개월의 기다림 끝에 울릉도 성인봉에서 독도의 형상을 촬영해냈다.


“대한민국에서도 독도가 보인다는 사실을 널리 알리고 싶었답니다. 그래서 130여 개 나라의 언론사와 대사관에 사진을 보냈어요.” 파장은 엄청났다. 내외신의 문의가 쇄도하는가 하면, 국가정보원은 김 명인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 독도 사진을 구입하고 싶은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가난한 예술가로 남을지언정 독도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싶은 마음이 눈곱만큼도 없었던 김 명인. 그는 필름 값만 받고 모든 독도 사진을 내줬다. 이러한 그에게 감명 받은 국정원 측은 이후 김 명인이 독도에 장기간 머물며 사진을 찍을 수 있게 조치를 취해줬을 뿐만 아니라 항공 촬영을 위한 헬기까지 제공했다. 국정원은 김 명인의 속악하지 않은 마음 씀씀이와 예술인의 집념을 대번에 알아차렸기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을 게다.

“자나 깨나 독도를 끌어 안고 떠오르는 태양을 생각하며 울릉도를 유랑했지요.” 김 명인은 성인봉에서 독도의 모습을 찍은 이후 울릉도에서 바라본 독도의 일출을 촬영하겠노라고 다짐했다. 무모한 도전이었다. 울릉도에서 독도를 목격하는 것도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 마냥 어려운 마당에, 자그마치 울릉도에서 보이는 독도의 일출이라니 말이다. 하지만 세상이 그를 공연히 ‘명인’이라고 부를 리 없었을 터. 그는 3년이란 시간 동안 숱한 시행착오를 거치며 인내한 끝에 독도의 장엄한 일출을 렌즈 안에 고스란히 담는 데 성공한다.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2015년 9월 사진 / 박지원 기자

김 명인은 독도에서 생사의 갈림길에 놓이기도 했다. “거센 비바람이 몰아친 2005년 겨울이었지요.” 그해 겨울 그는 독도에 불어 닥친 세찬 폭풍에 몸이 날아가면서 쇠기둥에 머리를 부딪쳤다. 갈라진 머리 틈에서는 피가 멈추질 않았고 의식은 서서히 희미해져 갔다. 그 와중에 그는 되뇌었다. “살아야 한다. 세상에 독도를 더 알려야 한다.” 정신을 차렸을 땐 수술을 마치고 병원에 누워있었다. 무려 사흘이 지나있었다. 김 명인은 악천후를 뚫고 출동한 배와 헬기에 의해 육지의 병원으로 옮겨졌고, 이 덕분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후 그는 매너리즘에 빠져있었던 자신을 채찍질했고, 머지않아 초심을 되찾을 수 있었다.


김 명인은 현재 남도사진전시관에 독도 홍보관을 따로 만들어 독도에 가보지 못한 이들에게 대리만족의 기회를 선사하고 있다. 안타까운 건 지자체의 재정적인 지원이 전무해 시설 운영을 위한 관람료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형광등을 갈아 끼울 수 있는 지원이라도 이뤄졌으면 좋겠어요.” 이런 형편에서도 그는 여전히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한 달 동안 독도에 체류하며 독도의 민낯을 담고 있다. 올 10월까지 강원도의 시?군을 순회하며 ‘독도사진 특별전’도 연다. 환갑이 넘은 나이지만 그의 독도를 향한 식지 않는 열정은 현재진행형이다.

INFO. 김종권남도사진전시관(섬진강문화학교)
관람료 어른 2000원, 어린이 1000원
관람시간 오전 9시~오후 6시
주요시설 사진 전시관, 갤러리 쉼터(찻집), 캠핑장, 민박집
주소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793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