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나의 도보 여행기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관섭 박사의  국도1호선 도보 순례 답사기 첫 도보여행의 추억 
[나의 도보 여행기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관섭 박사의  국도1호선 도보 순례 답사기 첫 도보여행의 추억 
  • 노관섭 박사
  • 승인 2007.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첫 도보여행 중 파주에서 찍은 풍경.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여행스케치=전국] 사실 여행을 떠나면 힘들고 경비 지출도 있지만, 대신 많은 추억과 기쁨을 얻고, 삶에 활력도 생긴다. 또한 여행 중에는 다양한 만남이 이루어지고 경험을 얻게 되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도보 여행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걷기 여행을 시작하기 전에… 
최근 국토순례라 하여 내나라 땅을 찾아다니며 그 뜻을 새기는 여행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여행을 좋아하는 나도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서 오래전부터 구상해오던 국도 도보 여행을 몇 년 전 실행에 옮기게 되었다. 

대부분 국토 도보 여행은 특정 노선을 택하기보다 의미 있는 장소의 시점과 종점을 가장 가깝게 잇는 경치 좋은 길을 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나의 첫 도보 여행은 조금 색다르게 직업적인 이유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역사나 의미, 상징적으로도 우리나라 대표 도로라 할 수 있는 국도 1호선 코스로 정했다. 

국도 1호선은 목포에서 신의주까지 총연장 939km이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우리가 갈 수 있는 구간은 목포에서 판문점까지 503km구간이다. 지역적으로는 한반도 서쪽의 남북을 관통하는데, 목포, 무안, 함평, 나주, 광주, 장성, 정읍, 김제, 전주, 익산, 논산, 공주, 조치원, 청원, 천안, 평택, 오산, 화성, 수원, 시흥, 의왕, 군포, 안양, 광명, 서울, 고양, 파주, 문산에 이른다. 문산에서도 통일대교까지만 갈 수 있고, 그 너머 판문점까지는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있다. 

애초 이 도보 여행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 일과 관련해서 도로인으로서 우리나라 도로를 직접 걸어보고, 특히 최근에 강조되는 보행 이동권과 친환경 친인간적 도로 건설을 위한 생각을 다듬어보는 것. 다른 한 가지는 길을 걸으며 행복한 가정, 안전한 도로, 살 만한 나라를 기원하며 기도를 올리는 일이었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걷기 여행을 시작하면서 스스로를 찍어보았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힘들었지만 의미가 더 컸던 여행
여행의 시작점은 목포다. 목포 유달산우체국 옆에 있는 초석이 국도 1호선의 도로원표다. 그러고 보니 목포는 25년 만의 방문이다. 세월이 흘렀건만 지금도 그대로인 건물과 간판, 골목길이 눈에 들어왔다.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얼마나 변했을까? 주인은 나이 들었어도 똑같은 상호로 여전히 붙박이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곳이 있어 반가움이 앞선다. 그 시절, 아득하게 느껴졌던 거리들이, 그리고 중간중간 공터였던 공간들이 지금은 다 채워지고 그리도 가깝다. 

목포 시내 국도1호선 구간은 보도나 자전거 보행자 겸용 도로가 그런대로 잘되어 있다. 그러나 가로등 표지, 가로수 등 각종 시설물이 보도에 설치되면서 이에 필요한 폭을 추가로 확보하지 않고 유효 보도폭을 잠식함으로써 보행 공간이 줄어든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가게에서 물건을 보도에 내놓는 등 상식적이지 않은 경우도 눈에 띈다. 간혹 파손되어 유지 보수가 필요하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비단 이 구간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현상일 것이다. 

길을 걸으며 ‘옛날 사람들이 목포에서 한양 갈 때 바로 이 길을 갔겠다’는 생각을 하니 머릿속에 과거의 모습이 그려졌다. 걷는 동안 노래가 절로 나온다.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없는 이 발길~.’

전남 무안 청계면 청전리에 들어서면 국도변을 따라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등이 심어져 있어 걸음이 한결 가볍다. 우리 선조들은 마을 입구나 농토 주변에 나무를 심거나 숲을 만들어 바람과 태풍으로부터 마을과 농작물을 보호하고 쉼터로 이용해 왔는데 이를 줄나무라 했다. 이곳 줄나무의 나이가 대략 500살로 추정된다니 얼마나 유서 깊은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국도 1호선을 지나다 만날 수 있는 나주 석당간.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도로 연구를 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다 보니 걷는 동안 도로표지 하나하나를 그냥 넘기지 못하겠다. 도로표지는 두말할 나위 없이 도로 이용자가 목적지를 쉽게 찾아가도록 하기 위해 안내하는 시설물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도로표지는 문제가 있다. 도로관리자들은 도로표지 문안을 운전자들이 빨리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좀 힘이 있는 기관이면 중요도와 관계없이 기관명 모두를 도로표지 안내지명으로 넣는다. 그러다 보니 운전하면서는 도저히 읽을 수 없는 많은 지명이 깨알같이 적혀 있다. 권위적이고, 안일한 구시대적 유산이다. 

전남 장성 역에서 백양사 역까지 11km 구간은 주변 경관이 너무 좋다. 이런 좋은 길엔 자전거 길을 만들면 좋겠다. 명승지로 가는 좋은 길에 자전거 도로를 만들어 외국 철도 등 대중교통으로 자전거를 운송하거나, 대여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앞으로 미래 사회에는 여러 가지 교통수단 간, 그리고 교통과 환경 간에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자동차 중심 사회에서 비동력 중심 사회로, 기계 중심에서 인간 중심 사회로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 더욱 절실해졌다. 

길을 걷는 동안 지역 주민과의 만남도 재미있다. 광주 지역에선 식당에 들어갔더니 주인 아주머니가 산에 갔다 오느냐고 묻는다. 대충 그렇다고 했더니, 아주머니는 혼자 산에 다녀오느냐고 꼬치꼬치 따지신다. 하는 수 없이 도로 조사하러 걸어다닌다고 하니 아주머니가 “으메”하며, 얼마 전에도 학생 두 명이 해남 땅끝에서 어디까지 걸어간다고 갔단다. 가끔씩 그렇게 걷는 사람들이 있는가보다. 그러고는 공기밥을 더 주시겠다며 친절을 베푼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표지판도 찍어본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전주에서 묵은 미륵여관의 아주머니는 너무 무리하지 말라며 신신당부를 하기도 했다. 전남 장성의 구산마을 도로 옆 밭에서 고추를 따고 있던 할머니가 “놀러가지 말고 고추나 따고 가쇼.”하는 청을 들어드릴 수가 없었다.

 “할머니, 저도 노는 게 아니라 가야 할 길이 있답니다….”
충남 지역으로 들어서면서부터는 길을 걷는 데만 집중해야 했다. 자동차가 워낙 많은데다, 걸을 수 있는 공간도 확보되지 않아서 여유 있는 보행을 하지 못하고 길을 걷기에 급급했던 것이다. 

머리 위로 해는 내리쬐고 그늘 한 조각 없는데다 도로마저 삭막해 아무 생각 없이 그저 앞으로 나아갈 뿐이다. 다행히 논과 들판에서 살짝 밀려오는 찬 기운으로 간신히 숨을 돌린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좁은 보행자로를 걷다보니 위험한 순간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2007년 6월. 사진 / 노관섭 박사

끝나지 않은 여행…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자동차들이 쌩쌩 달리는 4차선 국도를 걷는다는 것은 수월하지 않다. 쌩쌩 달리는 자동차 옆으로 매캐한 매연을 마시며, 때로는 후텁지근하기도 하고 또 때로는 서늘한 도로를 걷는 것이 인내를 필요로 했다. 그러나 숲을 알기 위해서는 숲 안에서만 있어서는 안되는 법. 풀과 나무에 대해서만 살펴볼 것이 아니라 가끔은 숲을 나와 멀리서 전체 숲을 살펴보는 지혜도 필요하다.

리 일도 좁은 울타리 안에서 복작거리지만, 때로는 굴레를 벗어나 전체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그동안 연구한것들을 현실과 접목시키고 새롭게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는 매우 귀한 시간이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귀한 깨달음을 얻었다.

바로 걸음은 교통의 시작이요 끝이며, 건강이고 철학이며 예술이며, 문화이며, 역사라는 사실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