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생태여행] 국내 최대의 원시늪 창녕 우포늪 1억4000만 년 전 우포늪에는 둘리도 살았을까?
[생태여행] 국내 최대의 원시늪 창녕 우포늪 1억4000만 년 전 우포늪에는 둘리도 살았을까?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7.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초록으로 가득한 우포늪의 모습.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창녕] 1억4000만 년 전에 생성되어 거대한 자연사박물관이라 불리는 창녕 우포늪. 가을에 찾은 우포늪에는 여름 수해를 이겨낸 생명들과 내년을 기약하고 사라지려는 생명들, 남은 가을과 겨울을 보내기 위해 새롭게 탄생하는 생명체들이 한데 어우러져 있었다. 모든 생명들의 생과 사가 순환하고 있는 가을의 우포늪을 다녀왔다.  

우포늪으로 향하는 길, 추수를 기다리는 황금벌판이 펼쳐진다. 추석을 지낸 시골의 풍경은 한적하기 그지없다. 우포늪 또한 마찬가지다. 가을 초 우포늪에는 몇 차례 장마와 태풍이 지나갔고 수많은 사람들이 다녀갔다. 늪 주변에는 고기잡이에 쓰이는 장대나뭇배가 매여 있고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넓게 자리 잡은 늪은 마치 한 폭의 유화처럼 펼쳐져 있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갈대가 하늘거리는 우포늪 진입로.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시원하게 하늘을 향해 뻗어 있는 가로수들이 멋진 우포늪 관찰로.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우포늪 상징물과 우포늪 생태관.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우포늪은 경남 창녕군을 가로지르는 낙동강의 한 부분이다. ‘하늘에는 천지, 땅에는 우포’라는 말이 있듯 우포의 물은 하늘을 품고 나무와 풀들은 땅을 품고 있다. 우포로 들어가는 입구 외에 우포늪은 원시의 모습 그대로를 품고 있다. 이는 1998년 람사협약에 의해 보존습지로 지정된 영향이 크다. 1930년대만 하더라도 우포늪 동쪽에 큰 둑을 쌓아 개간을 하면서 우포늪은 1/3이 줄었고, 이 이후엔 군에서 우포늪을 쓰레기매립장으로 사용하려고도 했었다. 역사에 남을 실수를 그나마 작은 희생으로 모면한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행정구역상 우포늪은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 등 231만㎡에 이르는 4개의 늪을 아우르고 있으며, 이방면, 대합면, 대지면, 유어면 등 4개 면 23개 마을 주민들이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 

“외지 사람들은 그리 불러도 우리끼리는 그리 안 부르지예. 우포는 소한테 꼴 마이 뜯긴 데라 해서 소벌, 목포는 여름에 나무가 마이 띠내리와 나무벌, 사지포는 모래가 많아 모래늪벌, 쪽지벌은 네 개 중 제일 쪼메내서 그리 부르지예.”

우포늪 근처에서 초등학생 때까지 살다가 도시로 갔다는 최원석 씨는 자기도 소벌에서 소에게 풀을 뜯기러 많이 다녔다며 옛 지명들을 알려준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자갈로 만든 간판이 이채로운 우포늪 전망대.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전망대로 오르는 아이의 등 뒤로 파란 하늘과 우포늪이 맞닿아 있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차를 세우고 우포늪으로 들어간다. 여름 동안 물이 들어찼던 흔적이 여기저기서 목격된다. 한창 머리를 들고 있어야 할 갈대들이 곳곳에서 땅에 고개를 처박고 누워 있다. 시멘트 하나 들어가 있지 않은 길은 물이 들었다 나간 이후로 진흙탕으로 변해 있다. 장화를 준비했어야 하는데 큰일이다. 이왕 온 거 멀쩡한 신발 하나 다 버릴 생각으로 계속 길을 재촉한다. 늪이라고 하면 왠지 무서운 생각이 들었다. 어릴 적 영화에서 보면 오지를 여행하던 사람이 늪에 빠져 옴짝달싹 못하다 허우적대면 댈수록 더욱 몸이 빠져 들어가 결국엔 머리까지 그대로 빨려 들어가는 장면이 있지 않던가. 단지 ‘늪’이라는 단어는 이렇게 낯설고 때론 두려운 이미지였다. 

하지만 지금 내가 발길을 옮기고 있는 우포늪은 그런 늪이 아니다. 400종이 넘는 식물들이 계절마다 피고 지고, 50여 종의 곤충이 계절마다 주인이 된다. 42종의 물고기와 145종의 새들의 삶터 또한 우포늪이다.  

발이 푹푹 빠지는 우포의 길. 잠자리와 나비들은 갈대와 꽃을 징검다리 삼아 날아다니니 발 버릴 일은 없겠다 싶다. 물 위를 스치듯 날아다니는 새들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저 갈대와 나무만 평행하게 보고 있는 게 답답해서 새들처럼 하늘에서 우포늪을 볼 수는 없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그러던 중 반가운 이정표가 보이는데, 우포늪 전망대로 가는 것이었다. 저기에 올라가면 그나마 위에서 내려다볼 수 있으려나 기대를 가지고 냉큼 계단을 오른다. 신발 밑창에 눌어붙은 진흙 때문에 오르기가 더욱 힘들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전망대 안에서는 동전을 넣는 망원경으로 우포늪 전체를 볼 수 있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푸른우포사람들 자연학습원에서는 늪지 체험을 할 수 있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전망대 내부는 솔직히 실망스러웠다. 전방에 망원경 몇 대와 우포늪 모형을 전시해놓은 것이 고작이다. 그나마 망원경은 500원짜리 동전을 넣어야 사용할 수 있다. 순간 맥이 탁 풀린다. 

많은 것을 바란 건 아니었지만 정말 이게 다란 말인가. 하지만 생각했던 것보다 파란 가을 하늘이 우포늪과 맞닿아 있는 풍경을 내려다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역시 전망대는 전망대의 역할만 다하면 되는 것인가. 

가까운 우포를 비롯해 저 멀리 목포까지 보인다. 10월은 겨울새들이 우포를 찾고 여름 동안 새끼를 치고 한철 주인 노릇을 하던 여름철새들이 교대를 하는 시기여서 날아다니는 새들을 많이 볼 수 있다. 1억4000만 년 전에 우포늪이 생겼다니 그때 그 시절엔 공룡도 있었을 것이다. 지금 보고 있는 풍경에 공룡의 모습을 상상해 그려 넣으니 오묘한 기분마저 든다. 

500원 동전의 위력이 다했다. 눈앞에서 아른거리던 풍경들을 놓칠 수 없어 다시 전망대를 내려와 오던 길로 계속 발걸음을 옮긴다. 해가 드는 곳은 길이 말랐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아직도 물이 찰랑거린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대대제방은 전망대 반대방향으로 가면 된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대대제방으로 가는 길 아래 늪에 초록색 개구리밥이 가득하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른쪽으로 우포의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수해의 영향으로 어수선하고 지저분한 모습이 많이 눈에 띄지만 그것조차 자연이 한 일이니 넘어갈 만하다. 하지만 곳곳에 떠다니는 쓰레기의 모습에는 눈살이 저절로 찌푸려진다. 자연의 소행은 저절로 정화하고 씻을 수 있지만 사람의 만행은 저절로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저 버려진 썩지 않는 플라스틱이나 고철들은 누가 치워낸단 말인가. 훅하고 짜증이 밀려온다.    

우포 사람들은 / 늪과 함께 하루를 연다 / 물안개 자욱한 새벽 / 쪽배를 타고 / 마름과 생이가래, 개구리밥이 만든 초록의 비단 위를 / 미끄러지듯 나아가 고기를 잡고 / 늪 바닥이나 수초 줄기에 붙은 고둥을 건져 올린다 / 그들에게 늪은/ 모든 것을 내주고 / 그들의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하략)

우포는 예술인들의 마음의 고향과 같다. 위 시를 지은 배한봉 시인은 매년 한 차례 ‘우포늪 시생명제’를 열어 올해로 7회째를 맞고 있다. 이 외에도 토박이 시인인 송미령, 김혜연 씨도 우포늪을 주제로 많은 시를 지었다.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대대제방에서 우포늪을 바라보고 있는 여행객.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숲에서 자라는 고목나무. 2007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비단 이런 전문 시인들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우포늪의 풍부한 자연은 많은 예술인들의 발걸음을 끌어 모은다. 청송의 주산지만큼이나 유명한 사진 촬영지로 알려진 탓에 우포늪을 찾지 않는 사람들도 우포의 사계를 쉽게 접할 수 있다. 

한편, 우포늪은 2008년 국제적인 행사인 람사총회를 기다리고 있다. 람사총회는 ‘환경올림픽’이라고 불리는데, 늪에 관한 한 가장 중요한 행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포늪은 이미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삶의 터전으로서의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셈이다. 

전망대를 지나 길을 걸은 지 한 시간째. 사진을 찍으며 걸었다고는 하지만 아직 5분의 1도 지나지 못했다. 쪽지벌, 목포, 사지포, 아직 둘러볼 곳이 이렇게 많이 남아 있어 역시 국내 최대의 늪이라는 말을 실감한다.    

가을의 어느 날 찾은 우포늪은 한없이 넓고 고요했지만, 미처 눈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그 어느 것보다 활력으로 넘쳐나고 있었다. 여름을 난 후 떠날 채비를 하고 있는 왜가리와 백로가 물을 박차고 날아오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