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나무야 나무야] 고목의 고장, 괴산의 발견  그기는 얼마 안 된 나무여, 80년밖에 안 됐을겨
[나무야 나무야] 고목의 고장, 괴산의 발견  그기는 얼마 안 된 나무여, 80년밖에 안 됐을겨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7.1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괴산의 고목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괴산] 유독 오래된 나무들이 많다는 충청북도 괴산을 찾았다. 특별한 볼거리가 없는 고장이라고만 생각했던 곳, 그러나 고목만으로도 훌륭한 여행 테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았다. 계절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고목의 매력에 흠뻑 빠져보자.  

작년 겨울, 여행을 좋아하는 후배의 여행 사진 속에서 처음 괴산을 만났다. 아름드리나무 아래 벤치에 앉아 있는 후배의 사진, 그녀석의 얼굴에 나뭇가지 그림자와 햇살이 드리워져 있고, 발밑엔 색색의 낙엽들이 융단처럼 펼쳐져 있다. 햇살이 눈부신 것인지 아니면 가을을 만끽하는 것인지 웃음이 가득한 후배의 눈매가 살짝 가늘어져 있다. 특별히 멋있게 찍은 사진도 아니었는데 그 모습이 단숨에 마음을 사로잡았다. 고목에서 풍기는 은근한 카리스마와 그 나무가 아낌없이 풀어내는 가을의 향연이 너무나 생생했던 것이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아름드리 나무 너머로 보이는 평온한 전법마을.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그리하여 찬 바람이 슬슬 불 때부터 이제나 저제나 괴산 갈 날을 손꼽아 기다렸다. 행선지는 괴산의 전법마을. 바로 후배의 사진 속에서 보았던 곳이다. 특별히 알려진 여행지도 아니고 알음알음 찾아오는 곳이다 보니 표지판이 변변히 있는 것도 아니라, 자연히 길을 물어물어 들어가야 했다. 그런데 길을 알려주는 사람들이 한결같이 하는 대답이 “거기 마을 입구에 느티나무가 엄청 많을겨”하는 말이다. 외지인들은 몰라도 이곳 지역 주민들에게 이 전법마을의 고목나무 군락이 꽤 유명한 모양이다.

그들의 손가락이 가리키는 곳을 따라 가니‘전법마을’이라 씌어진 돌 표식이 있고, 그 길 안쪽에 아닌 게 아니라 저만치 시야를 가리는 나무들이 있다. 

사진에서 봤던 그 나무들이고, 이웃동네 사람들이 입을 모아 말하던 그 나무들이다. 반가운 마음에 서둘러 수십 그루의 고목나무 사이를 걸어본다. 느티나무, 참나무, 물푸레나무가 한데 어우러져 있는데 사실 생각보다 그리 넓은 군락지는 아니다. 그러나 조용한 농촌 마을 속에 어우러져 세월을 삭여온 고목에서 풍기는 안온함은 생각했던 그대로다. 아직 본격적으로 낙엽의 향연이 펼쳐지지 않아 아쉽긴 했지만, 나무의 푸르름도 이제 마지막이라 생각하니 이 역시 소중하다. 저 아래에 후배가 앉았던 나무 벤치가 보인다. 그 자리에 앉아 하루 종일 책이나 보며 뒹굴거려도 좋겠다. 

나무 사이로 보이는 저 동네가 전법마을이다. 추수를 마친 마을 풍경은 교과서 속의 그림처럼 더할 나위 없이 한가롭다. 멀리서 강아지 짖는 소리가 들리고, 간간이 급할 것 없는 시골 완행버스만이 긴 먼지를 일으키며 마을 앞을 돌아 나간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마을 입구에서 본 전법마을 나무들. 마을을 잘 감싸고 있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게기서 동네 잔치두 하구, 여름에는 그늘이 엄청 좋으니께 점심도 먹구 그러지.”
마을 이장님은 아침 일찍 경운기 타고 출타하시고, 동네분들은 다들 어디에 계시는지 찾을 수가 없어 한참을 서성인 끝에 만난 김영재 할머니(67세). 반가운 마음에 고목나무에 대해 물으니 (충청도 사람 특유의) 대수롭지 않은 듯 뚝뚝한 대답이 돌아온다. 

“혹시 저기에 나무가 몇 그루나 되는지 아세요?”
“몰러, 들어가서 직접 시보믄(세어보면) 되겄네.”
그러나 끊어질 듯 끊어질 듯한데 신기하게도 대화가 엿가락처럼 계속 이어진다. 말투는 뚝뚝해도 마음은 그게 아닌 게다. 김 할머니는 이웃동네인 음성에서 이 마을로 시집와서 잠시 인천에 나가 살다 다시 고향마을로 들어오셨단다. “ 아, 예전 노인네들이 심어놨다고 하는디 그 노인네들은 다 돌아가시구 저것들만 남은겨. 도시서 사람들이 많이 와서 사진 찍으니께, 그라니께 마을 사람들이 더 위하지.”

한참 이야기를 나누는 데 자전거를 타고 가던 이 마을의 두 번째 고령자 김명년 할아버지(80세)가 잠시 참견을 하시려는 듯 섰다. 김 할아버지는 이렇게 나무를 많이 심은 연유에 대해 “마을이 너무 훤하게 들여다보이면 재물이 붙지 않는다고 해서 마을마다 나무를 심었다고 어르신들한테 들었는디” 하시면서도 살짝 자신이 없는 듯한 말투다. 세월이 흘러 나무는 더 푸른데 마을의 역사를 전할 이들은 하나둘 사라지는 것이다. 어느새 김 할아버지의 말씀은 전법마을의 고목만이 아니라 저 앞마을에도 수백 년 된 은행나무가 있고, 또 어디에는 소나무가 멋지네 하는 주변 마을의 나무 참견까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산송면의 80년 된 신참 나무.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신송면 _ 80년 된 느티나무에 끌려…
원래 이곳은 목적지가 아니었다. 전법마을에서 나와 삼송면 왕소나무를 찾아가는 길에 아름드리 느티나무에 반해 잠시 들른 것이다. 마을 이름을 물어보니 신송면이란다. 마을 입구에 오래된 새마을창고가 있고 그 앞에 작은 나무 벤치와 철봉, 그리고 그 앞에 느티나무가 그림처럼 서 있다. 더할 나위 없이 푸근하고 평화로운 풍경이다. 

한참 사진을 찍고 있는데 지나가던 마을 주민이 “그기는 얼마 안 된 겨. 한 70~80년 됐나? 쩌기 쩌쪽 나무가 진짜지”라며 지나간다. 워낙 고목이 많은 괴산에선 한 백 년은 넘어가야 ‘이제 저놈이 나무 구실 좀 하는구나’하는 모양이다. 

그 ‘진짜 나무’라는 것을 찾아 또 안으로 들어갔다. 그이의 말마따나 약 400년 된 나무가 있다. 그 나무 아래 비교적 새로 지어진 듯 하얀 목조 집이 그림같이 어우러졌다. 높이가 14m, 둘레가 4.5m나 되는 느티나무. 이 나무가 없었으면 그저 평범했을 마을이 오래된 나무 하나로 한결 품격 있고 안정되어 보인다. 그래서인지 여느 농촌과는 달리 펜션처럼 깔끔하게 지어진 새집들이 곳곳에서 눈에 띈다. 느티나무 앞집에 사는 할머니 이야기로는 워낙 동네가 좋아서 도시에서 은퇴하고 이곳에 들어와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이 많단다.

“시골이라고 얕보믄 안 돼. 여기가 집값이 1억이구 쩌그는 2억도 가니께.” 빈집이 안 나고, 간혹 생기면 바로바로 외지사람들이 사서 들어온다는 말을 덧붙인다. 솔직히 할머니 말이 사실인지 어떤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우연히 지나가던 여행자도 한눈에 반해 들어왔으니…, 슬그머니 고개를 끄덕이고 말았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아름드리 나무둥치.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양곡1리 _ 은행나무 터널
신송면 아래쪽에 꽤 너른 저수지가 있는데 풍취가 자못 청송의‘주산지’만큼은 아니어도 볼만하다. 그런데 더 발길을 잡아끄는 것은 저수지 옆으로 긴 신작로를 따라 시원하게 늘어서 있는 은행나무 터널이다. 신송리에서 다시 마음먹고 달려보려는 참에 만난 또 다른 복병! 그러나 결국 나무터널에 홀린 듯 또 낯선 마을로 들어서고 말았다. 

알고보니 마을 입구의 저수지도, 은행나무 터널도 어떻게들 알고 사진 찍으러 많이들 찾아오는 명소란다. 자고로 공자님도 내가 좋으면 남들도 좋다고 했으니 사실 눈이 뭐 그리 다를까.  

“은행나무 길은 봄가을로 결혼사진 찍는 신랑신부들이 엄청 오지. 저수지도 아마추어 사진가들이 사진 찍어서 사진 콘테스트에서 상도 많이 받았다 하대.”

김환호(65세) 마을 이장님의 말이다. 원래 이곳은 의성김씨 집성촌으로, 저수지 때문에 마을로 들어오려면 한참을 돌아서 와야 했던 것을 1973년 길을 내면서 처음 은행나무를 심었단다. 이것이 이제는 30년의 세월을 거쳐 어느새 늠름하게 성장한 것이다. 이곳에서도 나무를 심은 이유가 마을 앞이 숲으로 막히면 돈이 새나가지 않고 마을이 잘산다고 해서란다.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양곡1리 은행나무 터널. 2007년 11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기대하지도 않았는데 이 마을 안에도 또 오래된 고목이 두 그루나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느티나무는 480년이 된 것이고 안쪽에 있는 것은 600년도 넘은 것이란다. “(600년 된 고목) 안에 예전엔 구멍이 뚫려 있었는데 거기에 어른 여섯 명이 들어갈 수 있었다구 하더만. 지금은 군청에서 시멘트로 다 막고 주사도 몇 대나 맞았지.”

김환호 이장은 괴산이 뭐 특별하게 볼 건 없는데 나무 하나는 참 좋다는 말도 몇 번이고 한다. 어느새 짧은 해가 완전히 지고 키 큰 전봇대에 불이 들어왔다. 애당초 생각했던 최종 목적지를 결국 다 돌지 못하고 숙제로 남기게 됐다. 그러나 이렇게 몇 발짝 못 가고 자꾸 마음을 끄는 새로운 고목들을 발견하다보면 사실 며칠을 돌아다녀도 시간이 부족할 듯싶다. 하긴 느티나무가 많다고 해서 이름에 ‘느티나무 괴(槐)’가 붙은 고장이고 보면….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또 그 할아버지께서 심으신 나무가 마을에 든든히 버티고 있고 그 나무 아래 모여 여름이면 수박도 쪼개 먹고 추수 끝난 뒤엔 한가롭게 고구마를 나눠 먹으며 동네사람 수다에 시간 가는 줄 모르는 풍경… 사람을 모으는 나무의 고장 괴산의 새로운 발견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