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별미여행] 충남 서천 알까지 꽉 들어찬 주꾸미 소라방에서 건져 올린 봄 글·사진 서태경 기자
[별미여행] 충남 서천 알까지 꽉 들어찬 주꾸미 소라방에서 건져 올린 봄 글·사진 서태경 기자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8.03.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주꾸미를 잡아올리는 어부의 모습.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서천] 싱그러운 봄을 눈으로만 느낀다면 이 얼마나 서운한 일인가. 물론 눈맛도 중요하지만 겨우내 축 처졌던 입맛을 잡는 것이 급선무다. 이럴 땐 제철 제 땅에서 난 먹을거리가 최고다. 봄 주꾸미, 가을 낙지라고 하지 않았던가. 지금 서천 앞바다는 주꾸미가 한창이다.

몸통에 여덟 개의 다리가 달린 것이 꼭 낙지와 비슷하지만 가끔 요녀석들을 볼 때면 참 야무지다는 생각이 든다. 기다란 다리와 통통한 몸을 가진 낙지에 비하면 한 젓가락도 안 되어 보이지만 이맘때의 주꾸미 맛을 보고 나면 얘기는 달라진다. 봄철이 산란기인 까닭에 알이 꽉 들어찬 주꾸미를 한입에 쏙 넣으면 그 고소함에 잘도 넘어간다. 

‘봄 주꾸미 가을 낙지’라는 말을 괜히 하겠는가. 어찌됐건 오랜 세월 인정받아온 맛이고 또 이왕 먹을 거라면 조금이라도 맛이 들었을 때 먹는 게 현명한 방법. 계절마다 어디는 뭐가 맛있네, 뭐가 유명하네 하는 말이 들리지만 주꾸미만큼은 충남 서천 일대라는 데 입을 모은다. 그중에서도 홍원항과 마량리 일대가 대표적이다. 몇 년 전 시작한 ‘주꾸미축제’가 호응을 얻으면서 유명해진 결과지만 실제 서천에서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2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주꾸미를 잡는다고 해도 될 정도로 주꾸미가 풍년이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갓 잡아올린 싱싱한 주꾸미가 가득.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전통방식인 소라방으로 조업
주꾸미는 연중 잡히긴 하지만 날이 슬슬 풀리기 시작하는 봄철, 산란을 앞두고 가장 맛이 좋다. 2월 중순부터 어민들은 바다에 소라방을 띄우기 시작해 날이 더워지기 시작하는 5월 중순까지 작업을 한다. 3월 초에 찾은 홍원항은 주꾸미철이 찾아왔음을 실감케 한다. 작은 어선들 대부분이 주꾸미를 실어 오기가 무섭게 바구니에 옮겨 담아 위판장으로 향한다. 조금이라도 더 싱싱할 때 팔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번 작업을 나가면 평균 4~5시간 정도 머물다 오고 대략 5km 정도 떨어진 어장으로 가야 하기 때문에 30분은 족히 걸린다. 큰 배들이야 그물로 이놈저놈 다 잡아 올리지만 작은 배는 아직까지 전통방식인 소라를 이용해 주꾸미를 잡는다.

“제 집인 줄 알고 자꾸 들어가는 거야. 소라 꾸러미를 던져놓고 사나흘 있다 가면 그 안에 쭈께미(주꾸미)가 들어앉아 있고 그래.”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마량포구의 한가로운 풍경.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예전이나 지금이나 많이 잡히냐고 물으니 옛날만 못하단다. 그나마 주꾸미축제가 유명해지면서 사람들이 찾아오니 괜찮은 편이라고. 밤에 주로 활동하는 주꾸미는 바위굴이나 바위틈에 있는 조개껍질 등에 산란을 하는 습성이 있어 어부들이 이를 이용하는 것. 커다란 고둥이나 소라 껍질을 이어 만들어 바다에 넣은 뒤 끌어올리는 방식이다. 이를 ‘소라방’이라고 한다. 한 묶음에 소라껍질이 80개씩 달려 있고 한 번에 2000개에서 많게는 1만 개씩 바다에 던져놓는단다. 이때 저마다 다른 색깔의 깃발로 영역 표시를 해놓고 며칠 뒤 소라방을 끌어올려 그 안에 있는 주꾸미만 꺼낸 뒤 다시 물속에 넣어두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미끼는 필요 없고 알맞은 크기의 소라만 있으면 된단다. “글쎄 요새같이 바람이 많이 불면 매일은 못 나가지. 한 번 나가면 네다섯 시간은 있다 오는데 바람이 세면 견딜 수가 있어야지.” 한 번에 10시간 넘게 조업을 하는 큰 배라면 모를까 작은 어선들은 날씨에 큰 영향을 받는다. 왕복 1시간이 넘는 거린데 기름값은 빠져야 하지 않겠느냐는 얘기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바다 속으로 들어가는 소라방.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타우린과 철분 풍부한 봄철 영양식
홍원항에 수협위판장이 있어 주변엔 자연스럽게 어시장과 횟집이 늘어서 있다. 중매인에게 주꾸미를 팔면 상인들이 와서 사가는데 그날의 시세보다 그리 높게 올려 받지는 않는다. 그날 시세가 1kg 기준으로 1만2000원 선이면 소비자들은 1만5000원 선에 살 수 있다. 단, 상거래 정착을 위해 일반인들은 어민들로부터 직접 주꾸미를 살 수 없다. 

주꾸미는 낙지보다 성질이 급하다. 그래서 조금만 공격을 받는다 싶으면 여지없이 먹물을 쏘아대는데 그래도 그게 다 약이란다. 보기엔 좀 그렇지만 오히려 음식 맛을 더 고소하게 해주고 그 자체에 좋은 성분이 많으니 일부러 먹물을 제거할 필요는 없다. 또 “밀가루나 소금 넣고 박박 씻으라는 사람도 있는데 여기 서천 앞바다서 잡은 건 깨끗해. 그냥 발만 조금 씻으면 돼야. 너무 오래 끓이지는 말고~, 오그라들어서 먹을 거 없어지니께” 미우수산 사장님의 설명이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서천 바다에서 건져올린 주꾸미.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살짝 데쳐 야채와 무쳐낸 주꾸미무침.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주꾸미와 낙지는 같은 문어과에 속하지만 낙지가 얕은 바다 돌 틈이나 진흙 속에 굴을 파고 사는 반면, 주꾸미는 수심 10m 내외의 바다에 서식하는 것이 특징. 외관상 크기가 낙지의 1/3 정도 수준으로 그야말로 한입 거리다. 샤브샤브나 무침, 볶음으로 먹을 수 있어 먹는 방법도 낙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살짝 데쳐 식힌 뒤 고춧가루와 고추장, 미나리, 오이 등을 넣고 매콤달콤하게 무치면 밥반찬은 물론 술안주로도 그만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생물일 때 요리해야 제 맛을 잃지 않는다. 

주꾸미가 가진 영양가를 살펴보면 타우린은 간 해독과 콜레스테롤 수치 강하에 효과적이고 DHA는 뇌 기능을 활성화시켜준다는 보고가 있다. 또 철분이 풍부해 빈혈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은 주꾸미를 두고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담석 용해, 간장 해독 기능을 강화해준다’고 설명하고 있다. 

더 이상 낙지와 문어의 대용이 아닌 봄철을 대표하는 별미이자 건강식으로 사랑받는 주꾸미. 알이 꽉 찬 주꾸미가 기다리고 있는 곳으로 일찌감치 봄맞이 나들이를 떠나보는 건 어떨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