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비경 속으로] 능파각 품은 전남 곡성 태안사 동리산 계곡 물 위에 뜬 봉황의 집
[비경 속으로] 능파각 품은 전남 곡성 태안사 동리산 계곡 물 위에 뜬 봉황의 집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8.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태안사에서 숨을 돌리는 관광객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곡성]하동으로 흐르는 섬진강 물줄기를 뒤로하고 보성강을 거슬러 오르면, 구산선문(九山禪門)  동리산파의 중심인 태안사가 있다. 불교에서 하나의 학파를 이룰 정도로 위세를 떨치던 절이지만 태안사가 유명해진 데에는 다른 이유도 있다. 전통건축물에서는 흔치 않은 지붕 얹은 다리 ‘능파각’ 때문이다. 미인의 가볍고 아름다운 걸음걸이를 이르는 말 능파(凌波). 다리가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숲이 우거진 태안사 가는 길.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무심코 지난 다리 너머에 사바세계가
사실 태안사를 기억하게 된 것은 능파각(凌波閣)이라는 작은 다리 때문이었다. 콸콸콸 물이 쏟아지는 계곡에 걸터앉은 다리가 어찌나 시원해 보이던지, 그 기둥에 잠시 기대 앉아 있으면 웬만한 근심은 금세 날려버릴 수 있을 것 같았다. 

절 가까이까지 차를 타고 가라는 택시기사의 말을 뒤로하고 걷기 시작한다. 태안사 이르는 잡목숲이 꽤 운치 있다는 얘기도 들었던 터라 삼림욕하는 셈 치고 걷는다. 매표소에서 멀지 않은 곳에 시인 조태일을 기리는 시문학관이 자리하는데 여기서부터 태안사에 이르는 숲길이 본격적으로 이어진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대웅전 내에 있는 조선 초기의 동종 보물 1349호.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사찰 중에서 오대산 월정사 전나무숲길을 최고로 꼽는 이가 많지만 태안사 숲길도 그에 못지않다. 다만 정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차가 지날 때마다 흙먼지를 써야 하는 게 단점이지만 흐르는 계곡물 소리를 들으며 초록숲을 걷는 기분이 그만이다.

힘들면 너럭바위에 앉아 잠시 다리를 쉬고 더우면 바로 아래 계곡으로 내려가 발을 담그면 된다. 그렇게 30~40분 정도 걸어간 끝에 만나게 되는 것이 바로 능파각이다. 규모가 크거나 화려한 단청을 입힌 것은 아니지만 깊은 산속 바위와 바위 사이에 걸터앉아 있는 다리가 절경이다. 부지런히 풍경을 사진에 담아야 하지만 그러기에는 능파각의 자태가 너무나 매혹적이다. 고운 님을 만난 듯 찬찬히 들여다보기도 하고 멀리 떨어져 그윽한 풍경에 취해도 본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풍수지리적으로 혈구에 해당하는 태안사 연못.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사찰 경내가 훤히 보이는 다실에 앉아….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일주문이 절 가까이로 옮겨 세워지기 전에 능파각은 천왕문의 역할을 했다고 한다. 천왕문은 악귀를 막아주는 문이라 금강역사상이 모셔지는 게 일반적이지만 능파각은 예외다. 아마도 이곳을 건너는 것만으로도 부처님을 만나기 전 마음의 때가 저절로 씻기지 않을까 싶다. 지금은 능파각이 일주문 밖에 있어 상징성이 퇴색되었지만 여전히 속인들에게는 잠시나마 극락세계로 가는 관문이 되어주고 있다. 한국전쟁 때도 화마를 입지 않은 것도 아주 우연은 아닐 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동양학자 조용헌은 그의 저서 <사찰기행>에서 태안사를 물과 관련 있는 절로 설명한다. 징검다리 위에서 도를 통한 전강스님 이야기며 대웅전에 이르기까지 무려 다섯 개의 돌다리를 건너야 하는 점, 청화스님이 조성한 연못 등을 예로 들며 인생에서 담담여수(淡淡如水)의 경지를 맛보고 싶다고 썼다. 담담여수까지는 바라지도 않고 물처럼 맑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동리산에 포근하게 안긴 태안사.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참선하고 공부하기 좋은 사찰 
곧장 가면 30~40분이면 갈 수 있는 길이지만 일주문에 도착하고 시계를 보니 2시간 가까이 지나 있었다. 태안사는 한국전쟁 당시 대부분 소실되었다가 1980년대 청화스님에 의해 중창되기까지 폐사로 있었다고 한다. 

태안사에서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이 있다면 커다란 연못인데, 청화스님이 일부러 판 것이라고 한다. 언뜻 보고는 연못이 너무 인위적이네, 크네 작네 말들이 많지만 실은 풍수지리와 관계가 있다고 하니 도인의 큰 뜻을 범인이 알 리가 없다. 

공양시간인데도 경내는 조용하다. 구산선문의 하나인 동리산파의 중심이라더니 조용해도 너무 조용하다 싶었는데, 공양간 보살님의 설명을 듣고 보니 이해가 간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시원하게 흘러내리는 계곡물.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무엇보다 참선하고 수행하기 좋기로 태안사만한 곳이 없다는 얘기. 평소엔 이렇게 한가해도 하안거와 동안거 때에는 전국에서 수많은 스님들이 찾아온다고 한다. 

바쁘다는 보살님들을 더 이상 붙들 수는 없는 노릇이어서, 태안사의 보물인 바라와 동종을 보고 싶다며 스님 한 분을 잡고 늘어졌다. 그러다 운 좋게도 주지 스님께 차까지 얻어 마시고 보니 이게 웬 호강인가 싶다. 천은사에서 태안사 주지로 부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각일스님이 보름 전 새롭게 단장했다는 다실 겸 집무실로 이끈다. 

벽 한쪽을 유리로 마감해 안과 밖에서 서로를 훤히 볼 수 있게 했다. 신도들이건, 여행객이건간에 좀더 가까이에서 사찰을 접할 수 있게 하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만들었단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일주문 옆에 자리한 부도밭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태안사 참 좋지요”라는 스님의 말씀이 끝나기도 전에 “정말 좋다”는 대답이 튀어 나온다. 정말 좋다는 말의 의미가 저마다 다를 테지만 차까지 얻어 마시고 보니 그날 태안사엘 가길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밥에 차에, 빵까지 얻어 먹고 다음에 오면 재워주겠다는 주지스님의 말씀을 무슨 보물이라도 되는 것처럼 안고 내려왔다. 

버스를 타고 곡성읍으로 나오는 길 운전기사 아저씨도 똑같은 말을 한다. “태안사 절 참 좋지요?” “네, 너무 좋던데요. 아침에 갔다가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있다 나왔네요.” “그쵸? 절에 놀러 갔다가 좋다고 그길로 눌러앉은 사람도 여럿 봤으요.” 웃으라고 한 소리였지만 한편으로는 진짜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주지스님과 한 약속 때문에라도 올해가 가기 전 태안사를 꼭 한번 다시 찾아야 될 듯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