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한걸음 천천히, 쉼표 여행] 충북 진천에서 발견한 오래된 미래  ‘천천히, 기본으로 돌아가라’   
[한걸음 천천히, 쉼표 여행] 충북 진천에서 발견한 오래된 미래  ‘천천히, 기본으로 돌아가라’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8.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오랫동안 술을 품고 있는 독. 2008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진천] 몸보다 마음이 더 분주해지는 계절, 한가하게 여행이나 즐길 수는 없다? 그러나 바쁠수록 돌아 가라 하지 않던가. 걸음을 돌려서 충북 진천으로 향해보자. 분명 얻는 것이 있다. 

쌀쌀한 바람이 옷 틈새를 잘도 뚫고 들어온다. 옷깃과 단추를 여미는데 마음이 함께 움츠러드는 것은 왜일까? 두툼하던 달력도 낱장으로 얼마 남지 않으니 두서없이 허둥대는데, 그러나 마음만 앞서갈 뿐 몸은 저 멀찍이 뒤처져 있다. 

이런 때일수록 더 차분해질 필요가 있음을 누구보다 자신이 잘 알고 있을 터. 성급하게 성과를 재촉하지 않고 천천히 그 깊이를 쌓았던 우리 옛 선조들의 발자취를 따라 모처럼 마음의 여유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관광지로 그리 유명하지 않지만, 묵묵히 제자리를 지켜온 충북 진천이라면 현명한 해답을 던져줄지 모르겠다.

충북 진천 하면 생거진천(生居鎭川)이라는 말이 함께 따라온다. 처음엔 무슨 쌀에 붙인 브랜드 이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이미 오랜 세월 동안 붙어온 자랑스러운 이곳의 별칭이다. ‘살아서는 진천 땅에 살라’는 뜻이란다. 진천군 문화체육과의 나기석 씨는 “여기는 웬만해선 물난리도 없슈. 여기 홍수가 났다 하면 딴 고장은 엄청나게 났다고 보믄 돼유”라고 말한다. 예의 느릿한 충청도 억양이 더 느긋하다.

느릿한 말투는 덕산양조장의 이규행 사장도 다르지 않다. 대도시에서 공부하고 건설업에 종사한 태가 제법 묻어나는 말쑥한 외모지만 말투는 영락없는 충청도 양반이다. 초면에도 경계심을 단번에 무너뜨리는 친근함이 앞선다. 

덕산양조장은 1925년 문을 열어 현재 3대째 가업으로 이어내려오고 있는,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양조장

이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라면 양조장을 두고 아마 참새 방앗간 못 지나치듯 오갔던 기억이 있을 테고, 그보다 나이 어린 사람이라면 술심부름을 꽁지 빠지게 다닌 기억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모하는 세월 속에 ‘동네에서 제일가는 부자’라던 양조장은 하나둘 자취를 감추고 슬금슬금 기억 저편으로 묻혀버리고 말았다. 

덕산양조장 앞에 처음 당도했을 때 풍긴 시큼한 내음이 오히려 반가웠던 것은 아마도 흑백 톤으로 빛바랜 추억을 다시 환기시켜준 때문일 것이다. 

이삼십 년이 고작이라는 양조장의 수명이 3대째를 이어오고 있으니 건물 자체에서 풍기는 아우라도 보통이 아니다. 백두산에서 벌채한 나무를 압록강 제재소에서 잘라 옮겨온 것이라는데, 감히 요즘 같아서는 생각지도 못할 일이다. 또 약주를 발효시키는 항아리 위엔 ‘1935 龍夢製’라는 낙인이 찍혀 있다. 덕산 용몽리에서 만들었다는 얘기다.‘시집 올 때 고무신에 붙어온 흙이 평생 떨어지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차진 덕산의 흙으로 만든 옹기는 얇아도 무쇠처럼 질기다. 

2008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흑미를 이용해 새로운 술을 개발해낸 이규행 사장. 맛은 물론 건강에도 좋다고. 2008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때문에 외부에서 찬 공기가 들어와도 반응하지 않고 열을 간직하고 있고 무디게 반응한단다. 그 옹기 안에 80여 년을 이어온 누룩이 부글부글 발효하고 있다. 사람이 대를 이어 살아오듯 누룩도 이 어두운 옹기 안에서 생명을 이어 내려오고 있다. 

세월의 흔적은 양조장 곳곳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무궁화와 봉황이 그려진 오래된 표창장이며 낡은 표지판이며 건축양식도 그대로다. 양조장 내부를 설명하던 이 사장이 잠시 주춤하다 벽에 걸린 시계로 가 죽은 시계의 태엽을 감는다.    

“1998년부터 가업을 잇기 위해 왔는데 아버님이 일을 가르쳐주지 않으시는 거예요. 기술자들은 더 말할 것도 없고. 그래서 바닥부터 일을 배웠어요. 혼자 남아서 공부도 많이 하고 노력도 참 많이 했죠. 책임감이 막중해요. 3대째 가업을 잇고 있으니… 싼 재료 쓰고 쉽게 갈 수도 있지만, 그렇게 장난치다 명맥이 끊기면 안 되잖아요. 돈 벌려 아등바등하면 결국 나쁜 술밖에 만들지 못하지요.”

좋은 술은 쓰러질 때까지 마셔도 다음날 숙취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 이를 터득하기 위해 그만의 오랜 노하우를 갖고 있지만, 그 노하우의 기본은 무엇보다도 시간과 정성이다.  

이 사장의 어린 시절 꼬맹이 키보다 작았던 조경수가 이제 양조장보다 훨씬 키를 넘겨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다. 진천에서 나는 100% 유기농 흑미로만 만든다는 덕산양조장의 약주 한 잔이 목에 걸림 없이 잘도 넘어간다. 그러나 그보다 차근차근 시간의 무게를 쌓아가는 나이테의 소중함과 그 가치를 알고 있는 3세 양조장 주인의 올곧은 품성도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이 사장은 양조장 입구에 붙어 있는 ‘등록문화재 제58호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이라는 팻말을 무척이나 자랑스러워했다.

덕산양조장에서 그리 멀지 않은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 진천의 유명한 명물 농다리가 있다. 간혹 사진으로만 보았는데 그냥 오래된 돌다리이려니 했다. 그런데 그 농다리를 내 눈으로 직접 본 순간 먼저 든 생각이 ‘다행히 무식한 티를 아무에게도 내지 않았다’는 안도감이었다.

2008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천년 세월을 버텨온 든든한 돌. 2008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농다리는 그냥 편의적으로 중간중간 돌을 놓은 일반적인 돌다리와는 판이하다. 다리가 유선형으로 놓여 있어 일단 그 모양새가 아름답다. 큰 상판 돌아래에 크고 작은 돌들로 교각을 쌓아 든든하게 버틴다. 이 농다리가 놓여진 것이 고려시대인 1040년경이라고 하니 그 세월이 벌써 940여 년에 이른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임에도 멀찍이서 볼 수만 있는 ‘보존용’이 아니라 아직도 사람들이 오가며 이용한다는 데 더 큰 의미와 가치가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크고 작은 돌을 석회 등으로 이어붙인 것이 아니라 자연 그대로 쌓은 것이라는 점, 장마에는 물이 다리 위로 넘어갈 정도였지만 그럼에도 유실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농다리가 오늘날까지 이렇게 건재할 수 있었던 이유를 이 지역의 문화해설사 김성규 선생은 ‘지네 모양으로 유선형으로 다리를 놓아 물의 압력을 적절하게 분산시켰고, 다리를 유선형으로 쌓아 유속을 방해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놀라운 과학과 미학이 숨겨져 있는 것이다. 

가을 가뭄이 오래된 탓인지, 오늘 농다리가 있는 세금천의 물살이 그리 빠르지 않다. 얼기설기 놓여 있는 돌 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물을 보니 예전 국어 교과서에 실린 윤오영 선생의 <방망이 깎던 노인>이란 작품이 떠오른다. 차 시간이 다가오자 어서 끝내라고 재촉하는 나를 향해 방망이 깎는 노인이 퉁명하게 내뱉은 말이 있다.

“끓을 만큼 끓어야 밥이 되지, 생쌀이 재촉한다고 밥이 되나.”
석회가 없이도 큰 장마에 휩쓸리지 않고 천년을 버텨온 돌다리 위에 앉아 잘 만들어진, 그리고 정성이 들어간 것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새삼 실감한다. 그 천년 세월의 돌 하나하나를 눈에 담는다. 

다리 건너편에 정자, 산책로, 초평 저수지까지 연결된 데크 등이 조성되어 있어 산책을 겸해 걷기에도 좋다.

Tag
#진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