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자전거 타고 한강 여행] 경기도 용인-성남-서울 잇는 탄천 18만 살 동방삭, 이곳에서 잡혔네
[자전거 타고 한강 여행] 경기도 용인-성남-서울 잇는 탄천 18만 살 동방삭, 이곳에서 잡혔네
  • 김대홍 기자
  • 승인 2009.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탄천변을 달리는 자전거.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여행스케치=경기] 한강이 얼마나 큰 강인지 제대로 알고 싶으면 지류하천을 다녀보면 된다. 수많은 지류들이 한강에 물을 댄다. 그중 탄천은 특히 긴 지류다. 길이가 대략 35km가 넘는다. 경기도 용인시 법화산 기슭에서 시작한 강은 성남을 거쳐 서울로 이어진다. 

자전거를 타고 탄천을 왕복하려면 대략 70km가 넘는다. 전 구간을 자전거로 돌려면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한다. 부담스럽다면 지하철에 자전거를 싣고 상류로 간 다음 서울 쪽으로 나오면 된다. 체력에 자신이 있고 시간이 넉넉하다면 한강 합류구간에서 시작한 다음 상류까지 갔다가 돌아 나오면 된다. 여기선 지하철에 싣고 가는 길을 소개한다.

자전거는 접이식. 주말이라 한가하다. 서울 북쪽 끝에서 출발한 지하철이 한참을 달린다. 30분, 40분, 1시간이 지났다. 책을 펼쳐 읽자니 잠이 쏟아진다. 꾸벅거리다 허전한 기운을 느낀다. 3호선 종점 수서역이다. 여기서 다시 분당선을 갈아타고 한참을 달린다. 또 책을 꺼내 뒤적인다. 종점인 보정역에서 내렸다. 경기도 용인시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탄천변을 산책하는 부부. 오손도손 정다운 이야기가 내내 이어진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상류 쪽이라 물줄기가 가늘다. 폭도 좁고, 물도 많지 않다. 탄천은 조선시대 ‘검내’ 또는 ‘숯내’, ‘숫내’라고 불렸다. 탄천(炭川)이란 이름은 여기서 비롯했다. 탄천엔 재미있는 설화가 전해진다. 

먼 옛날 18만 살이나 된 동방삭이 있었다. 옥황상제가 천수를 넘기며 살아 있는 동방삭을 잡고자 했지만, 누가 동방삭인지 알 수 없었다. 이에 동방삭을 잡아오라는 명을 받은 사자가 꾀를 냈다. 동방삭이 탄천에 자주 나타난다는 첩보를 받고 그곳을 찾아가 숯을 냇물에 씻기 시작한 것. 우연히 그곳을 지나던 동방삭이 호기심이 생겨 물었다. 사자는 “숯이 희어질 때까지 씻는다”고 말했다. 유도심문에 걸려든 동방삭. “내 18만 년 동안 살았지만 숯을 씻어서 희어지는 걸 못 봤다”고 자기 정체를 밝히고야 말았다. 

그가 동방삭임을 안 사자는 그 자리에서 동방삭을 체포해 옥황상제에게 데려갔다. 이로써 동방삭은 생을 다하고, 탄천은 지금의 이름을 얻었다.

믿거나 말거나와 같은 이야기인데, 소구리(www.soguri.com)에는 좀 더 신빙성 있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조선시대 강원도 등지에서 목재와 땔감을 싣고 와 탄천 일대에 풀어놓고 숯을 만들었다는 것. 이쪽이 좀 더 그럴듯하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겨울 한강변은 다른 철에 비해 한가하다. 덕분에 모처럼 인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전거를 즐길 수 있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용인시 기흥구 탄천 입구. 하천 이용안내판에 누군가 진돗개를 분양한다는 전단을 붙였다. 오타인지 일부러 그런 것인지 수컷과 ‘암것’이다. 오타라고 추정되는 부분이 한 곳 더 있다. 탄천엔 돌다리가 몇 곳 있는데, 용인시에선 ‘징금여울’, 성남시에선 ‘징검여울’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징검다리에 붙인 이름인데, 아무래도 ‘징금여울’이 오타라는 생각이다. 

달리다 보니 ‘여기부터 성남시’라는 안내석이 나온다. 어느새 시 경계선을 넘었다. 철새들이 한가롭게 논다. 졸졸졸 흐르는 물이 참 깨끗하게 보인다. 지금은 한없이 맑아 보이지만, 한때 탄천은 오염의 대명사였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탄천은 산소량이 0에 가까운 죽은 물에 가까웠다. 연평균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1990년 초까지 30~40ppm대 수준이었다. 1993년 20대로 떨어진 뒤, 1996년엔 11.7ppm으로 떨어졌고 1998년엔 한 자리수로 떨어졌다. 1994년과 1997년 각각 잉어 2000여 마리와 물고기 수십만 마리가 떼죽음을 당했지만, 어쨌든 물은 점점 맑아졌다. 1997년엔 겨울 철새 수천만 마리가 탄천에서 겨울을 나는 모습이 발견됐고, 1998년 장마 뒤 탄천 하류에선 참게가 잡혔다.

주변 풍경을 구경하면서 천천히 페달을 밟았다. 약 15km 정도 되는 속도. 수시로 자전거를 세워 사진을 찍고 구경을 하니 거의 도보 수준이다. 장바구니를 든 아주머니가 수시로 자전거를 앞지른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얕은 지류엔 살얼음이 얼었다. 흰 눈과 어울려 분위기가 고즈넉하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갑자기 과속금지 표지판이 앞을 막는다. ‘제한속도 10km’다. 한쪽이 넓은 시민공원이다. 가족들이 공놀이도 하고 배드민턴도 한다. 공이 자전거도로 쪽으로 흘러나와 수시로 사람이 공을 잡으러 나온다. 이런 사람들을 배려한 속도가 ‘시속 10km’다. 오토바이나 자동차가 들어올 일은 없으니 자전거 타는 사람 보라고 붙여놓은 표지판이다. 조심조심 주위를 살피며 페달을 밟았다.

여유가 있다면 살짝 방향을 틀어 모란시장에 가보는 것도 좋겠다. 모란시장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재래시장 가운데 하나다. 서울 근교에 있어 남다르다. 자전거도로를 달리다 ‘모란시장’이라는 표지판을 보고 방향을 틀면 된다.

탄천길을 달리다 보면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성남 서울공항이다.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기지다. 대통령이 해외에 나갈 때나 국빈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이용하는 곳이다. 인천국제공항이나 김포국제공항 사용이 어려울 때 대체공항 역할을 하는 곳이기도 하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제한속도 10km를 알리는 표지판. 서두르던 마음을 다잡는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기능이 중요한 곳이라 주변 개발이 제한을 받는다. 112층(555m) 건설계획을 밝힌 제2롯데월드의 경우 서울공항을 이용하는 비행기 안전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국방부가 반박했다. 결국 활주로 방향을 살짝 틀고, 그 비용은 롯데가 내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제2롯데월드가 세워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 1989년 정부는 비행안전고도를 이유로 지상선으로 계획된 분당선을 지하로 바꾸었다. 지하철 높이야 롯데월드에 비하면 새 발의 피다. 불과 20년 사이에 정부 입장이 왜 정반대로 바뀌었을까.

탄천 주변은 거대한 아파트촌으로 변했지만, 1990년대만 해도 비닐하우스들이 많았다. 1992년엔 탄천하수처리장에 사는 49채 441가구 수재민촌이 철거됐다. 1999년 1월엔 탄천 근처 송파구 장지동 비닐하우스촌에 불이 나 400여 명의 이재민이 생겼는데, 목숨을 잃은 사람이 한 명도 없어 눈길을 끌었다. 

건물이 비닐이라 불이 붙으면 순식간이었다. 불이 났을 때 주민들은 자기 귀중품과 가재도구를 챙기는 대신 이웃들을 깨우기에 바빴다. 소방당국은 “모두가 잠든 한밤중에 낡은 목조건물이 순식간에 탄데다 가정용 LP가스통 수십 개가 폭발하는 아수라장에서 어떻게 한 사람의 인명 피해도 없었는지 신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당시 한국일보(1999년 1월 19일)는 전한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푸르름이 사라진 겨울, 한강변의 주인은 누가 뭐래도 억새다. 파란 하늘과 어울려 포근해 보인다. 2009년 1월. 사진 / 김대홍 기자

1992년 동아일보 홍은택 기자는 탄천변에 사는 클레멘타인 소녀 소식을 다루었다. 6.6㎡ 남짓한 땅에 나무판자로 벽을 새우고 함석으로 지붕을 덮은 집이었단다. 고물 수집을 하는 아버지와 중학교 2학년인 딸. 전기조차 들어오지 않고, 여름장마철이 되면 떠내려갈지 몰라 전전긍긍해야 하지만, 이들에게는 유일한 잠자리였다. 이런 이들이 사는 곳이 탄천변이었다.

탄천은 한강에 물을 대지만, 탄천에 물을 대는 또 다른 지류들도 있다. 마북천, 정평천, 성북천, 동막천, 분당천, 운중천, 야탄천, 여수천, 대워천, 상적천, 단대천, 독정천, 창곡천…. 꽤 많다. 양재천과 만나는 곳을 지나 조금 더 올라가면 이제 한강이 보인다. 북쪽을 바라보고 오른쪽엔 강남운전면허시험장이다. 과거 탄천이 자주 침수될 때면 면허시험장도 물에 잠겼다. 그때마다 실습 시험이 연기되곤 했다. 시험 준비를 완전히 준비한 사람은 하늘을 원망했겠다. 

하류 쪽은 생태·경관보전지역이다. 꽤 울창한 숲을 볼 수 있다. 여기선 잠시 자전거를 세우고 천천히 걸어다녀 볼 일이다. 지금은 너무나 말끔하게만 보이는 탄천이다. 그곳에는 사람도 살고 개구리도 살고 나무도 산다. 그리고 사람의 삶보다 더 오랜 역사가 담겨 있다. 아무렇지도 않은 듯 시치미를 뚝 떼고 있지만, 탄천은 그런 곳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