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4월호
[봄날 산성 산책] 담양 금성산성 옛 성의 넉넉한 품에 안기다 
[봄날 산성 산책] 담양 금성산성 옛 성의 넉넉한 품에 안기다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9.03.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담양 금성산성 전경.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담양] 쉬엄쉬엄 성벽을 따라 걷다보면 삼림욕은 물론 옛길을 밟는 기쁨까지 누릴 수 있는 게 산성 트레킹의 묘미다. 하지만 대부분의 산성들이 폐허이거나 지나치게 정비가 잘(?) 되어 옛 정취를 느끼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곳 한 곳만 빼놓고 말이다. 바로 전남 담양의 금성산성이다. 한눈에 들어오는 추월산이며 담양호, 너른 들판은 금성산성 트레킹의 덤이다.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보국문에서 잠시 숨을 고르는 여행객.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호남에서 알아주는 트레킹 코스
언젠가 광주가 고향인 친구로부터 이런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금성산성 내남문에서 바라본 담양 땅의 풍광이 너무 아름다워 이를 구경하느라 해가 지는 줄도 몰랐다는. 그 바람에 어두컴컴한 산길을 홀로 내려온 적이 있지만 산성에서 본 해 질 녘의 풍광만큼은 잊을 수가 없단다. 그러면서 금성산성에 꼭 한번 같이 가보자는 얘기를 한 게 벌써 8년 전의 일이다. 

물론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그 이후로 나는 담양을 몇 차례 찾으면서도 산성에 오르지는 못했다. 그래도 마음 한켠에는 ‘언젠가는’이라는 아쉬움이 있었는지, 아니면 친구가 반했다는 그 풍광이 궁금했었는지 봄기운이 느껴지기 무섭게 배낭을 챙겨 들었다.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보문국에서 바라본 충용문.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호남에서 알아주는 트레킹 코스라더니 이른 시간인데도 주차장에는 차가 가득하다. 그래도 인파가 몰리는 여름과 가을에 비하면 여유로운 편이란다. 금성산성 트레킹의 기점은 산 중턱의 주차장. 주차장 입구에서 보국문(외남문)까지는 약 1.5km. 능선을 따라 걸으니 어느샌가 이마엔 송글송글 땀이 맺힌다. 

외남문으로 불리는 보국문은 산성으로 들어갈 수 있는 일종의 출입문이다. 가파르게 경사진 바위 위에 우뚝 서 있는 풍채가 꽤나 의젓하다. 금정산성과 남한산성을 제외하고는 산성다운 면모를 볼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었는데 이렇게 위풍당당한 출입문을 갖춘 산성 입구에 서니 기분 좋은 긴장감이 든다.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트레킹의 시작이라는 얘기를 들었던 지라 잠시 땀을 식히고 등산화 끈도 단단히 조였다.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철마봉 가는 길.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5분 정도 오르니 충용문(내남문)이다. 금성산성의 자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최고의 전망 포인트로 더 유명한 곳이다. 이곳에 광장과 화장실이 있고 문루에서는 앉아 쉴 수도 있어 한숨 돌리기 좋다. 망루를 둘러싸고 있는 성곽에서 보는 담양의 들녘도 일품이다. 날이 가문 까닭에 담양호 수위는 바짝 낮아졌지만 산성에 서서 호수며 이제 막 한 해 농사를 시작한 들녘을 바라보니 더 이상 올라가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그냥 문루에 앉아 하릴없이 하루를 보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광장에 세워져 있는 산성 안내도를 살펴보는데 웅성웅성 사람들 의견이 분분하다. 좀 힘들어도 철마봉으로 올라갔다 내려오자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동문을 지나야 성곽을 제대로 밟아보지 않겠냐는 둥 우왕좌왕하는 눈치다. 망루에서 문화재 관리를 하는 분께 물어보니 “아줌씨들 마음대로 허쇼. 이리 가나 저리 가나 요로 내려오는 건 마찬가지닝께” 하며 알아서 하란다. 각자 취향이 다르니 아저씨 마음대로 어디가 좋다 나쁘다 말할 수 없으니 어느 길이든 부지런히들 출발하라며 재촉한다.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금성산성 지킴이들이 수련하는 ‘동자암’.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마음 놓고 산성을 밟다
금성산성은 장성의 입암산성, 무주의 적상산성과 함께 호남의 3대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순창군과 경계를 이루는 곳에 있는 석성으로 시루봉과 철마봉 등 산봉우리를 잇는 능선을 따라 만들어졌다. 정확한 축조 연대는 불분명하지만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13세기 중엽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 말기에 성 안에 130여 호의 집이 있었고, 관군도 2000명 이상이 머물렀다는 또 다른 기록도 있다. 그러나 동학농민운동과 한국전쟁 등을 거치며 민가와 관아 등이 소실되었고 동서남북 문과 성곽은 10여 년 전에 복원한 것이다. 

충용문에서 불망비를 지나 숲길로 들어서니 갈림길이다. 왼쪽으로 가면 보국사터, 오른쪽으로 가면 동문이다. 동문 쪽으로 들어서면 ‘동자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는데 금성산성 지킴이를 자처하는 청산스님과 어린 스님들이 무예수행을 하며 살고 있는 곳이다. 

언론에도 소개된 바 있어 일부러 동자암에 들러 스님들의 무예수행을 구경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일단 동문으로 발길을 옮긴다. 산 속에는 표지판이 거의 없어 긴가민가했지만 길이 하나밖에 없으니 오르기로 한다. 쉬지 않고 30분을 오르니 동문이 나오는데, 보국문이나 충용문처럼 성문이 복원된 것이 아니고 터만 표시되어 있는 정도다.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보국문에서 본 담양호.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앉아서 쉴 곳도 마땅치 않아 그냥 지나친다. 동문터에서 10분 정도 오르니 강천사 갈림길이라는 표지가 나오는데 3.2km라는 걸 보니 순창 강천사가 그리 멀지 않나보다. 강천사까지 둘러볼 요량이라면 이곳에서 하산하는 방법도 있다. 

보국문에서 동문터까지의 길이 숲길이었다면 동문~강천사 갈림길~운대봉~강천저수지 갈림길에 이르는 길은 마음껏 금성산성의 위용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걷다가 잠시 고개를 들어 주위를 보니 어느새 이렇게 높이 올라왔나 싶게 시야를 거스르는 것이 하나도 없다. 황사 탓에 맑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것이 아쉽지만 1시간 남짓 올라 만나는 풍경치고는 훌륭하다. 

그러면서도 민초들의 피와 땀으로 산성을 쌓아올렸을 것을 생각하니 기분이 묘하다. 그 옛날 성을 쌓는 일에 동원된 백성들에게는 다섯 가지 고통이 있었다고 하는데. 자기에게 할당된 구역을 다 쌓지 못하면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것은 물론이고 배고파서, 병이 들어서, 커다란 돌에 깔려서, 무더위와 추위로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갔다. 혹자는 백성들의 죽음으로 쌓아올린 덕에 금성산성의 아름다움이 깊이를 더한다고 했지만, 우리 마음 편하자고 한 해석처럼 들려 괜히 미안해진다.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담양 읍내를 보며 하산하는 길. 2009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삐죽이 솟은 운대봉에서 잠시 쉬고 나니 다리가 한결 가볍다. 어느새 트레킹 코스의 절반도 더 지나고 이제는 마음 편히 하산할 일만 남았다. 이왕 왔으니 서문을 지나 철마봉, 노적봉에까지 가보고 싶은 마음도 없잖아 있었지만, 단풍으로 물든 가을 역시 압권이라고 하니 일단은 남겨두기로 한다. 

북문터에서 보국사터로 내려가는 길. 인적이 무척 드물고 눈도 조금 남아 있지만 트레킹을 조용히 마무리하기엔 제격이다. 보국사터는 터라고 씌어 있으니 그런가보다 할 정도로 거의 흔적이 없다. 다만 그 자리엔 휴당산방이라는 작은 집이 있을 뿐이다. 이곳에서 15분 정도만 걸어가면 두 번째 출발지였던 충용문이 나타나 어느새 트레킹이 끝나버린 느낌이다. 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언제 걸어가나 싶은 걱정이 앞섰는데, 생각보다 싱겁게 끝나 섭섭한 마음이 든다. 아쉬운 마음이 든다면 하산하는 길에 담양온천에 들러 온천욕으로 푸는 것도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