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탐방! 어촌체험마을] 경남 남해 유포마을 다랑논과 갯벌을 모두 누려라
[탐방! 어촌체험마을] 경남 남해 유포마을 다랑논과 갯벌을 모두 누려라
  • 최혜진 기자
  • 승인 2009.04.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우럭을 캐고 있는 사람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여행스케치=남해] 광활한 갯벌에는 ‘우럭’이 촘촘히 박혀 있고, 밤바다의 어선에선 붕장어가 줄줄이 낚여 올라온다. 여기에 초록빛 파도가 일렁이는 다랑논까지 볼 수 있다면, 화창한 봄날 아이들과 함께 나서볼 만하지 않은가? 이곳은 어촌과 농촌을 두루 품은 경남 남해의 유포마을이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갓 캐낸 우럭의 바닷물 분수 ‘쇼’.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어디로 갈지, 무엇을 할지, 주제를 잡고 장소를 정하는 일은 여행을 하기 전에 반복되는 고민이다. 게다가 아이들과 함께하는 체험여행이라면 더더욱 신중해진다. 이왕이면 자연 자원이 풍족하고, 콘텐츠가 다양하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알찬 체험여행을 선택하고 싶은 것이 엄마들의 마음이다. 

그런 점에서 남해의 유포마을에서는 일단 ‘농촌이냐, 어촌이냐’에 대한 선택은 접어두어도 좋다. 농촌과 어촌이 공존하기 때문에 갯벌 속에서 숨은 보석을 캐는 재미와 다랑논에서 수확하는 기쁨을 모두 누릴 수 있다. 게다가 귀가 솔깃해지고 호기심이 고조되는 특별한 어촌체험 프로그램이 풍성하다. ‘갯벌에서 우럭 캐기’, ‘멍텅구리 낚시’ 등 희소성이 있는 콘텐츠 개발에 노력해온 덕분이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30분만 캐도 소쿠리에 우럭이 한가득이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갯벌의 ‘우럭’을 아시나요? 
남해대교를 건너 바다를 끼고 섬을 슬슬 에돌아 내려오면 망운산 아래 자리한 유포마을에 닿는다. 95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유포마을은 윗마을, 가운데땀, 양지뜸, 들마을, 저들마을, 갱번가로 이루어진 평화로운 반농반어촌이다. 

여정을 풀자마자 원현호 어촌계장이 “우럭 잡으러 안 갈랍니껴?” 하며 채비를 서두른다. 횟감으로 즐겨 먹는 우럭을 떠올렸는데, 장화를 신고 장갑을 끼고 호미를 들고 나서는 것을 보니 낚시는 아닌 듯하다. 갯벌 속의 우럭이라…호기심이 고조된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알이 꽉 찬 우럭을 숯불에 지글지글 구워 먹으면 그 맛이 일품.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구멍 아래 이게 다 우럭 아입니꺼? 구멍 따라 파다보면 나온께 함 해보이소.” 
어촌계장이 호미로 갯벌 위를 탁탁 치자 구멍 속으로 물이 쏙 빠지면서 숨구멍이 선명해진다. 그 구멍을 따라 부지런히 갯벌의 속살을 걷어낸다. 질퍽한 뻘을 호미로 파낼 때마다 짭조름한 갯내가 코끝을 자극한다. 한두 뼘 쯤 파들어 갔을까. ‘툭툭’하는 소리와 함께 호미 끝으로 딱딱한 질감이 전해온다. 

“계속 호미로 하믄 우럭이 상한다 안 합니꺼. 살살 뻘만 치와뿔고 손으로 빼내야지예.” 
우럭의 실체가 드러나는 순간이다. 갯벌에 콕 박혀 있는 우럭을 힘껏 뽑아냈다. 손에 쥐어진 것은 주먹만한 ‘왕조개’이다. 바다의 우럭이 횟감의 지존이라면, 갯벌의 우럭은 조개의 황제였다. 일단 어마어마한 크기로 한 수 먹고 들어간다. 갑자기 봄햇살을 만나 놀랐는지 우럭이 바닷물을 ‘찍’하고 토해낸다. 급기야 입을 벌리고 분수처럼 물을 뿜어낸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농촌과 어촌이 어우러진 유포마을의 평화로운 풍경.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경사가 완만한 다랑논 끝에 남해가 걸려 있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보통 20~30cm 아래 진흙 속에서 서식하는 우럭 조개는 부산, 여수, 울산 등지에서는 ‘부채조개’라 부르고, 거제에서는 ‘껄구지’라 한다. 대개 조개가 살을 껍데기 안에 숨기고 있는 것에 반해 우럭은 살의 일부를 내놓고 갯벌 안에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전복과 흡사한 정도로 쫄깃한데다 비린내가 나지 않아 초밥에도 쓰이고 회로도 먹는다. 지난해 이 우럭으로 ‘우럭전골’을 요리해 어촌마을 요리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기도 했다. 맛도 검증된 셈이다. 

우럭은 남해에서 주로 많이 나는데, 그중에서도 유포마을에 유난히 풍성하다. 자리를 옮기지 않고 한 군데에서만 호미질을 해도 캐내는 조개 수가 장난이 아니다. 마을에서 주민들의 조개 채취에 제한을 두고, 일정 크기 이상이 되지 않으면 다시 놓아주는 등 관리를 철저히 하기 때문이란다. 바구니에 점점 쌓여가는 우럭이 흐뭇할 즈음 갯벌 위로 바닷물이 조금씩 밀려들어 오기 시작한다. 갯벌을 나와 다랑논으로 발길을 옮긴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유포마을 포구의 야경. 작은 어선들이 정박 중이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다랑논 끝에 걸린 바다 
봄 햇살이 가득한 마을의 정취는 객의 혼을 쏙 빼놓는다. 다랑논이 겹겹이 이어져 내려오다가 바다와 마주한다. 다랑논으로 유명한 가천의 ‘다랭이 마을’에 비하면 경사가 완만한 편인데, 그 덕분에 갯벌까지 품을 수 있었다는 것이 어촌계장의 설명이다. 광활한 초록 융단 끝에 걸린 푸른 파도는 남해가 품은 귀한 풍경이다. 

지금 다랑논은 파릇파릇한 기운으로 가득하다. 대부분 겨우내 쪽이 단단하게 채워진 마늘 밭이다. 매년 가을에 남해 말로 ‘벼락(벼)’을 거두고 나면, 그 자리에 마늘을 심어 5월께 수확한다. 마늘을 수확하기 전까지는 잡초를 뽑고 마늘을 수확하고 나면 모내기 준비를 위해 논을 갈아두는 것이 봄 농사다. 아직 수확은 조금 이른 감이 있어 마침 밭일을 나온 할아버지, 할머니를 따라 듬성듬성 난 잡초를 뽑았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원현호 어촌계장이 멍텅구리 낚시로 붕장어를 낚아 올렸다. 2009년 4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산도 있고 바다도 있어 좋지요?” 하고 할아버지께 물었더니 미소를 지으며 답한다. “좋지예. 물고기 먹고 싶으면 물고기 잡으면 되고, 조개 먹고 싶으면 조개 캐면 되고, 시금치 먹고 싶으면 시금치 캐면 된다 아입니꺼.” 그야말로 ‘생각대로 하면 되는~’ 반농반어촌의 삶이 피부로 느껴진다. 

유포마을의 체험거리는 계절별로 다양하다. 봄에는 시금치 수확, 마늘 수확, 논 매기, 쏙 잡이, 우럭 캐기, 여름에는 채소 가꾸기, 콩 타작, 뗏목 타기, 가을에는 전어구이, 갯벌체험, 겨울에는 조류 관찰, 굴구이, 동초 캐기 등 농촌과 어촌 자원을 가지고 있는 만큼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필요에 따라 다른 마을과 연계해 프로그램을 더욱 알차게 구성하기도 한다. 축복받은 자연 환경에 주민들의 화합이 더해져 유포마을은 단기간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전국 우수 어촌체험마을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어느새 날이 어둑어둑해졌다. 가로등 불빛이 일렁이는 파도 위에 드문드문 수놓이면서 근사한 야경이 만들어진다. 멍텅구리 낚시를 하기 위해 작은 어선에 몸을 싣는다. 

밤에 해야 제격인 멍텅구리 낚시는 바늘이 필요 없는 독특한 낚시다. 먹이를 명주실에 꿰어 둘둘 말아 낚싯줄 끝에 달아놓으면 욕심 많은 붕장어가 미끼를 덥썩 물고 놓지 않아 ‘멍텅구리 낚시’라 한다. 붕장어는 갯벌의 쏙을 잡아 먹고 살기 때문에 얕은 바다에 서식한다. 마을 인근의 바다에 배를 멈추고 고요한 바다에서 붕장어의 입질을 기다려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