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지하철 여행] 전철 타고 가는 운길산 수종사 차 타고 오면 몰랐을 천하제일경이로세 ! 
[지하철 여행] 전철 타고 가는 운길산 수종사 차 타고 오면 몰랐을 천하제일경이로세 ! 
  • 최혜진 기자
  • 승인 2009.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운길산으로 가려면 운길역에서 하차해야 한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여행스케치=남양주] 남한강의 두물머리를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운길산 수종사. 절까지 길이 닦여 차로 오를 수도 있지만, 걷는 것에 비하면 경치를 즐기기에 부족하고 탁주 한잔 걸치지 못해 아쉽다. 마침 중앙선 운길산역이 개통되어 수종사에 가는 길이 쉬워졌다. 지하철 타고 뚜벅뚜벅 걸어가 만끽한 고찰의 천하제일경! 

고백하건대 나는 운전에 서툴다. 깜박이를 켜고도 언제 끼어들어야 할지 몰라 헤매는 것은 물론이고, ‘빵빵’하는 클랙슨 소리에 소스라치게 놀라는 일도 다반사다. 몹쓸 판단력에 순발력의 부재가 더해져 결국 여행지에 도착하기도 전에 어깨는 딱딱하게 뭉치고 눈은 빨갛게 충혈된다. 여행에서 쏟아야 할 에너지의 태반을 도착하기도 전에 써버리는 꼴이다. 이것도 보고 싶고, 저것도 카메라에 담고 싶은데 운전이 달가울 리가 없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중앙선 연장 개통 후 운길산 가는 길이 쉬워졌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기자로서는 치명적인 결점임에도 그런대로 잘해나갈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대중교통에 있다. 특히 실핏줄처럼 뻗어나가 도심 곳곳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지하철이 있어 어딜 가도 마음이 참 든든하다. 굳이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를 운운하지 않더라도 나는 지하철이 편하고 좋다. 주차난, 교통 체증 염려할 필요 없고, 부담 없는 가격에 운행 간격도 가깝다. 게다가 가끔 객실 안에서 사람 구경하는 재미도 있다. 각자의 일상이 뒤엉킨 지하철에선 항상 진한 사람 냄새가 난다. 그 훈훈한 냄새가 다시 세상에서 버틸 수 있는 힘을 준다. 

이렇다 보니 지하철역의 개통 소식에 가장 먼저 귀가 쫑긋해진다. 지난해 천안역에서 아산 신창역까지 장항선이 연장된 것에 이어, 올해 남양주 팔당역부터 양평 국수역에 이르는 중앙선이 연장됐다. 이번 중앙선 연장도 나에겐 또 다른 ‘영역 확보’나 다름없다. 돌멩이를 쳐서 선이 그어지면 내 땅이 되는 ‘땅 따먹기’ 놀이처럼 지하철이 뻗어나간 여행지는 마치 내 것이 되는 양 즐겁다. 

용산에서 출발하는 국수행 지하철에 올랐다. 지하철은 서울을 가르는 한강 줄기와 나란히 달린다. 지하철 창밖으로 한강을 감상하며 갈 수 있는 시간이 길다는 얘기다. 이제까지는 강남에서 강북으로, 강북에서 강남으로 다리를 건널 때 한 구간만큼만 한강을 볼 수 있었다면, 그에 비해 중앙선에서는 꽤 긴 구간 동안 한강을 감상할 수 있는 셈이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하산길 아래로 보이는 남한강의 시원한 풍경.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목적지인 운길산역까지는 1700원, 1시간 남짓이다. 가격도 거리도 부담이 없다. 모두가 같은 생각인지 국수역을 향한 지하철 안은 승객들로 꽉 찼다. 대부분 운길산역에서 내리는 등산객이다. 

수종사에 가려면 운길산역 2번 출구로 나와야 한다. 여기에서 1코스와 2코스, 둘 다 수종사를 지난다. 1코스가 포장된 길로 산행시간이 짧다면 2코스는 흙길을 밟으며 산행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수종사까지는 1코스는 20~30분 , 2코스는 50분 ~1시간 정도 소요된다. 두 길 다 욕심이 나서 오를 때엔 2코스, 내려올 때엔 1코스로 정했다. 

구름이 머무는 산, 운길산은 그리 높지도 낮지도 않고, 그리 순하지도 거칠지도 않은  610m의 산이다. 지하철이 들기 전에는 전문 ‘산꾼’들만 알고 찾았다는데, 개통 이후로는 계층이 차츰 넓어졌고 찾는 이도 늘었다. 산행 초입의 경사도가 심한 편이라 처음부터 숨을 ‘헉헉’ 몰아쉰다. 산에 오르는 길에 저 아래의 남한강 줄기가 나무 사이로 보일 듯 말 듯 감질 난다. 우거진 나무만 없다면 한눈에 보일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그 덕에 공기만큼은 깨끗한 것이려니 하고 숨을 깊이 쉰다. 들이쉬고 내쉴수록 머리가 상쾌해진다. 코스를 오르는 중간에 쉬어 가는 바위에서 남한강이 ‘맛보기’로 모습을 살짝 드러낸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수종사 입구의 약수터.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열심히 산에 오르다 보니 벌써 정상에 가까워온 듯하다. 그런데, 산허리에 있다는 수종사는 어째 소식이 없다. 내려오는 등산객이 “정상까지 5분입니다” 하고 외치는데, ‘아차’ 싶어 “저, 수종사 지났어요?” 하고 묻자 ‘이걸 어쩐다’ 하는 표정이다. “한참 내려가야 하는데, 정상을 찍고 돌아 내려가던지 아니면 이 길을 돌아 내려가던지 해야겠네” 한다. 

땀은 비 오듯 흐르고 다리는 욱신거리는데 이게 웬일인가. 잠시 멍해져서 눈만 멀뚱멀뚱 뜨고 있는데 혼자 온 아가씨를 걱정하는 등산객의 관심이 모아진다. 이 길이 빠르네, 저 길이 빠르네 하던 의견이 모여 결국 올라온 길을 돌아내려가 는 길에서 수종사를 찾기로 했다. 길치인 내게 수종사 가는 길이 쉽지는 않다.  

돌아 내려가는 길은 오르는 길보다 부담이 덜하다. 보폭을 크게 해서 성큼성큼 인기척이 느껴지는 곳으로 달려갔더니 약수터다. 부랴부랴 바가지에 물을 담아 벌컥벌컥 마셨다. 연거푸 두 바가지를 들이켜고 숨을 돌리고 나니 여기가 수종사 입구란다. 어렵게 찾은 만큼 몇 곱절 더 반갑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수종사에서 즐기는 남한강의 경치.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수종사는 ‘물종이 있는 절’이라는 뜻이다. 세조가 두물머리에서 하룻밤을 묵다가 새벽 종소리에 잠을 깼고, 사람을 시켜 부근을 조사해 보았더니 바위굴 속에서 물방울이 종소리처럼 울려 퍼지고 있었다. 그래서 이름이 수종사(水鐘寺)가 됐다. 

그때 심었다는 은행나무도 550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지나 여전히 육중한 모습으로 남았다. 울룩불룩 근사한 근육을 자랑하는 은행나무도 장관이지만, 그 앞으로 펼쳐진 남한강의 풍경이 더 멋스럽다. 남한강을 한눈에 보여주는 전망대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언덕 위의 너른 광장에서도, 차 맛 좋기로 유명한 다실 ‘삼정헌’에서도 천천히 풍류를 즐길 수 있다. 

특히나 삼정헌은 인기가 그만인지라 등산객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길지 않은 기다림 끝에 다실의 명당자리가 났다. 큰 유리창 너머로 펼쳐진 북한강이 풍경에 “천하제일경”이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과연 조선의 유학자 서거정이 ‘동방사찰 중 최고의 전망을 가진 묵언(默言) 수행지’라 격찬했을 만하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차맛도 경치도 끝내주는 삼정헌 다실. 2009년 5월. 사진 / 최혜진 기자

“차 맛이 어떠냐”는 다실 보살의 물음에 “풍경이 있어 그런지 맛도 좋네요”라 답했는데, 그녀가 웃으며 말을 이어받는다. “차 맛은 어디에서 어떤 풍경을 보며 마시는지도 중요한데, 누구와 함께인지도 중요하답니다. 다음엔 좋은 사람과 함께 오세요” 한다. 홀로 올라와 조용히 차를 마시는 모습이 안쓰러워 보였나, 다음번엔 머릿속에 그려놓은 사람과 꼭 함께 오리라 다짐했다. 

이번엔 포장길인 1코스로 내려가는데, 경사가 급한 산자락에 의외로 차를 가져오는 이들이 많다. 내려오는 차도 낑낑, 올라오는 차도 낑낑 여간 힘이 든 게 아니다. 그렇게 한 번씩 차가 지나고 나면 매캐한 매연이 상쾌한 피톤치드를 몽땅 잡아먹는다. 좋은 경치를 즐기며 오르더라도 멀지 않은 길인데 참으로 아쉽다. 어쨌거나 1코스는 길 아래로 시원한 남한강 줄기가 내내 보여서 하산하는 기분이 끝내준다. 수종사도 지하철 단골 여행지로 ‘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