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Part 1 토박이 추천 ②] 토박이 황병란 씨가 추천하는 경주의 숨은 보물, 천년고찰 기림사
[Part 1 토박이 추천 ②] 토박이 황병란 씨가 추천하는 경주의 숨은 보물, 천년고찰 기림사
  • 최혜진 기자
  • 승인 2010.05.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천년고찰 기림사. 사진 / 최혜진 기자

[여행스케치 = 경주] 신라 천년의 영화를 누린 도읍지답게 도시 곳곳에 유적지가 반짝이는 경주. 그런 경주를 부처님 손바닥 들여다보듯 훤히 꿰고 있는 토박이에게 넌지시 물어보았다. 익히 알려진 수학 여행지 말고 어디 조용히 쉬다 올 만한 곳 없냐고…. 그의 명쾌한 해답은 ‘경주 기림사’였다. 

시가지 한복판을 지나 기림사로 향하는 길, 경주 토박이 황병란 씨가 유적지마다 새겨놓은 추억을 술술 풀어내기 시작한다. 

“그 시절엔 경주에 산다카믄 성곽 안에 사나, 밖에 사나 그리 물었그든예. 구시청 앞에 저짝 골목길로 드가믄 성곽 안쪽이라예, 성곽 안에 살던 아들은 성곽 밖으로 놀러 다니는 게 일이었지예. 성곽 밖은 동서남북으로 천이 흘러가 어디로 가도 유적지가 널렸거든예. 북천이 탈해왕릉 있는 데고, 남천은 경주 최부잣집 있는 데고…. 틈만 나면 친구들이랑 그짝으로 몰리 가 시간을 보냈지예.” 

기림사 일주문. 사진 / 최혜진 기자

외지인에게 학창시절 수학여행의 기억으로 남아 있는 경주가 토박이에겐 집 앞 놀이터처럼 자연스럽게 드나들던 공간이었다니 새삼 달리 보인다. 그런 경주의 유적지들이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사랑받게 된 것은 경주 시민으로서 뿌듯한 일이지만, 한편으론 관광지화되면서 훌쩍 변한 모습이 못내 아쉬운 것도 사실이란다. 곳곳에 자랑할 만한 명소가 널려 있는 경주에서 유독 기림사를 추천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기림사는 항상 변함없이 한적해서 언제고 마음 편히 쉬었다 갈 수 있는 절이라예. 유유자적하게 시간을 보내기에도 참 좋지예. 한번 가보면 왜 좋다카는지 아실 끼라예.”

함월산 자락의 구불구불한 길을 돌아들어 어느덧 기림사 입구에 닿았다. 일주문을 지나 숲길에 접어들자 황씨는 “여기서부턴 속세를 떠난 길이니 잡념은 모두 잊으세요” 한다. 그녀의 말대로 머릿속을 깨끗이 비우고 자분자분 흙길을 밟는다. 

오솔길 주변으로 키가 훤칠한 나무들이 피톤치드를 한껏 뿜어내고 있다. 고요한 공기 속으로 간간이 새소리가 울려 퍼지고, 산봉우리엔 물안개가 스멀스멀 피어올라 그야말로 한 폭의 산수화 속을 걷고 있는 듯하다. 

대적광전 문살 가득 단아한 소슬꽃무늬가 아로새겨져 있다. 사진 / 최혜진 기자
대적광전 남쪽에 자리한 진남루. 임진왜란 중에 승병의 지휘소로 사용되었다. 사진 / 최혜진 기자

함월산이 연꽃처럼 둥글게 감싸고 있는 기림사는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에 창건되었는데, 당시엔 임정사(林井寺)로 불렸다. 이후 석가모니가 머물던 기원정사의 숲인 ‘기림(祈林)’을 따서 이름을 바꾼 것이나, 문무대왕을 이곳에서 화장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종교적으로나 국가적으로 꽤나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사찰이었음이 분명하다. 한때 불국사를 말사로 거느릴 정도로 대사찰의 반열에 올랐던 기림사이지만, 점차 사세가 역전되면서 결국 덩치를 키운 불국사의 말사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불국사란 거대한 그늘에 가려져 아는 사람만 찾는 조용한 천년고찰로 남게 된 것이다.

듣던 대로 기림사의 첫인상은 웅장함보다는 수수함에 가깝다. 단청을 입히지 않은 탓일까, 기림사의 본전인 대적광전은 오랜 세월이 깃든 나뭇결에서 은은한 아름다움이 묻어난다. 황씨가 “이곳에선 색의 화려함보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찾아야지예. 소슬꽃살문이 정말 예쁘거든예”하고 일러준다. 정말로 가까이 들여다보니 문살 속에 아기자기한 꽃들이 정교하게 조각되어 자칫 밋밋할 수 있는 목조 건물에 생기를 불어넣고 있다. 

수령 500년이 넘은 보리수와 나지막한 삼층석탑이 어우러진 기림사. 사진 / 최혜진 기자

대적광전과 수직을 이루는 지점엔 응진전이 있는데, 응진전 앞엔 나지막한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석탑에 층층이 내려앉은 초록색 이끼가 진득하게 버텨온 세월을 말해주는 듯하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석탑이 놓인 지금의 자리와 옛날에 샘이 솟았던 자리가 일치한다는 점이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기림사엔 다섯 가지 샘물이 났다고 해요. 그게 바로 유명한 ‘기림사 오종수(五種水)’이지요. 그중에서 장군수가 본래 이곳에 있었다고 합니다. 아마도 임진왜란 때 우리 군의 사기가 오르는 게 두려웠던 왜군들이 장군수를 막으려고 석탑을 이곳으로 옮긴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석탑이 사찰을 대표하기엔 크기가 작고 더구나 응진전 바로 앞으로 바짝 당겨져 있어 누구라도 의아하게 생각할 법한데, 신라문화재 해설사 손수협 씨가 그 이유를 소상히 알려준다. 고개를 끄덕이며 응진전 뒤편으로 난 돌계단을 따라 삼천불전 권역으로 오른다. 그곳에 기림사 오정수 중 하나인 화정수가 솟는 자리가 있다.  

기림사가 숨겨둔 비경, 용연폭포. 사진 / 최혜진 기자

화정수가 솟는다는 화정당 뒤편으로 가기 위해 삼천불전을 지나야 하는데 대적광전과는 확연히 다른 화려한 분위기에 흠칫 놀랐다. 대적광전이 수수한 하얀 삼베와 같다면, 삼천불전은 오색빛깔 비단처럼 화려한 멋이 넘친다. 두 권역의 건축물이 지어진 시점이 다르고 용도도 다르지만(삼천불전 권역은 템플스테이 등의 용도로 근래에 지어진 건물이 많다), 이처럼 같은 사찰에서 전혀 다른 분위기를 감상할 수 있는 것도 기림사 관람의 묘미다. 더불어 화정수의 물맛 또한 그 오랜 역사와 이름에 값할 만하니 꼭 한번 마셔보길…. 

기와를 쌓아 만든 흙담을 따라 걸어가며 매월당 김시습의 사당, 늠름하게 서 있는 범종, 허공을 휘어잡을 듯 가지를 뻗은 향나무까지 사찰 구석구석에 눈길을 주는 사이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느낀다. 사찰을 모두 둘러보았을 즈음에 황씨가 꼭 가봐야 할 곳이 한 군데 더 있다며 ‘비밀의 장소’를 귀띔해준다. 

본래 매월당 김시습의 사당은 <금오신화>를 집필했던 남산에 있었으나 1878년에 기림사로 옮겨 세웠다. 사진 / 최혜진 기자

“저짝 사찰 옆길로 쭉 걸어가면 기가 막힌 폭포가 하나 있거든예. 기림폭포라 하기도 하고 용연폭포라 하기도 하는데, 여그 사람들은 용연폭포라 더 많이 부르지예.” 
그녀가 이끄는 대로 기림사 일주문을 나와 숲길을 따라간다. 신라 신문왕이 기림사 서쪽 시냇가에서 옥대의 장식을 떼어 넣었더니 용이 승천했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것을 보면 용연폭포 또한 기림사와 따로 떼어놓을 수 없었던 곳이 분명하다. 그런 생각을 하며 유유히 흘러가는 계곡을 끼고 40분 남짓 걸었을까. 이윽고 병풍처럼 펼쳐진 기암괴석 사이로 물줄기가 거칠 것 없이 쏟아지는 용연폭포와 마주한다. ‘쏴’하는 소리와 함께 장쾌하게 내리꽂히는 물줄기의 에너지가 오롯이 몸속으로 들어오는 듯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