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서울 근교 나들이] 청와대 뒷산 북악의 재발견 서울 속 마지막 오지 ‘백사실’
[서울 근교 나들이] 청와대 뒷산 북악의 재발견 서울 속 마지막 오지 ‘백사실’
  • 이수인 기자
  • 승인 2006.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6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육각정자의 주춧돌이 세워진 연못. 2006년 6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여행스케치=서울] 대통령도 감탄했다는 아름다운 선경의 백사실. 북악산 능선에 자리하여 뜻하지 않은 역사의 부침으로 사람들에게서 멀어졌던 그곳이 사람들의 휴식공간으로 돌아왔다.

북악산 능선을 따라 조성된 서울성곽의 남쪽은 성안이 되고 북쪽은 성밖이 된다. 숲과 계곡이 어우러져 선경을 이루는 백사실은 숙정문의 서쪽으로 창의문(자하문) 밖 즉, 북악의 뒷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부암동 사무실에서 북악스카이웨이로 진입해 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옆으로 빠지는 작은 샛길이 하나 나온다. 이 길에서 다시 왼쪽 언덕 밑으로 빠지는 급경사를 내려가며 갑자기 앵두나무가 빼곡히 서있는 작은 시골마을에 서게 된다. ‘뒷골’이라고 부르는 서울도심 속의 시골마을로 18채의 가구가 밭을 일구며 살아가고 있다. 예전에는 임금님께 진상할 만큼 좋은 능금이 많이 나와 능금마을로 불리기도 했다는데, 지금은 거의 다 베어지고 그 자리에 앵두나무를 심었다. 

2006년 6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어느 세도가의 별장터 연못을 훤히 볼 수 있도록 사랑채의 주춧돌을 높이 세웠다. 2006년 6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6년 6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백사실의 각자바위. 2006년 6월. 사진 / 이수인 기자

1968년 북악산 길을 넘어 청와대를 피습한 김신조 무장공비사건 이후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데다가, 마을 일대가 다시 그린벨트로 묶이면서 도심 속의 시골로 남게 된 것. 계곡물이 흐르는 오솔길을 따라가자 커다란 너럭바위가 나온다. 교복차림의 네댓 명의 남학생들이 물속에 발을 잠그고 물장구를 치며 놀고 있다. 거기서부터 채 몇 발짝 가지 않아 갑자기 발밑으로 울창한 계곡이 펼쳐진다. 방금 전 지나 온 시골마을도 황당한데, 서울에 아직 이런 곳이 남아있었다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푸른 이끼가 잔뜩 낀 계곡 바윗길을 조심조심 내려가자 딱따구리가 군데군데 구멍을 뚫어 놓은 소나무가 서있다. 맑은 계곡물에서는 도롱뇽, 개구리, 버들치 등이 인기척이 날 때마다 후다닥 몸을 숨기기 바쁘다.

계곡 아래엔 육각정자를 세운 듯 6개의 주춧돌이 서있는 연못과 사랑채와 널찍한 안채를 두었던 것으로 보이는 집터가 남아있다. ‘오성과 한음’의 일화로 유명한 백사 이항복의 별장터라는 말도 있고, 어느 후궁의 별장터였다는 추측도 있는데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2006년 6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북악산 자락의 숙정문. 2006년 6월. 사진제공 / 문화재군청

사랑채의 높은 주춧돌 위에 올라서서 연못을 바라본다. 오래된 물푸레나무가 서있는 연못과 어우러진 계곡의 멋진 선경이라니….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운 자연 속에 머물고 싶은 것은 사람들의 한결같은 마음인가 보다. 

더운 날 시원한 곳을 찾아 멀리 갈 것도 없다. 도심 안에 숨겨진 이러한 비경 속에서 주말 한나절 여유롭게 몸과 마음을 쉬어가자. 잠시 지나가는 바람 한 자락이 그곳의 역사를 소곤거리거든 가만히 마음으로 들어보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