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Theme 금강 중류의 재발견] 중부 내륙 마지막 청정지역 옥천 시름을 씻고기어이 희망을만들어 가는 강
[Theme 금강 중류의 재발견] 중부 내륙 마지막 청정지역 옥천 시름을 씻고기어이 희망을만들어 가는 강
  • 박지영 기자
  • 승인 2006.1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독락정에서 본 금강.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여행스케치=옥천]시인 정지용의 생가와 그의 시 ‘향수’의 도시 옥천.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는 잔잔한 풍경이 눈에 그려지지만, 거대한 금강의 중류가 구불구불 휘도는 곳이기도 하다. 강마을은 후미지고 강길은 험악하지만 곳곳에 숨겨진 절경이 있어 세상만사 강물에 던져놓고 마음을 정화하는 여행길로 알맞다. 

아직까지 거친 자연이 그대로 남아있는 옥천. 금강을 끼고 있어 수질보존 지역에다 개발제한구역으로 꽁꽁 묶여 있는 탓에, 강가에 그 흔한 모텔이며 음식점이 이곳에선 다른 세상 이야기다. 

삭막하리만치 철저하게 보존된 금강과 깎고 다듬은 흔적이 없는 주변 환경까지, 투명한 아기의 눈을 보면 그러하듯 금강 앞에 서면 자연스레 긴장이 풀어진다. 너른 들판이 펼쳐진 옥천은 전형적인 농업지역에 속하지만 금강이 흐르는 지역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산자수명(山紫水明)이라는 표현이 딱 들어맞는다. 

금강휴게소가 있는 조령리에서부터 금강을 따르는 옥천여행을 시작한다. 강마을인 조령리는 원래 전기조차 들어오지 않던 오지마을이었다.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아랫쇠대마을에서 만난 까치떼.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지금은 폐교된 청마 초등학교의 이승복 동상과 청마리제신탑.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지난 1970년 당시 이곳에 경부고속국도를 놓는 공사와 함께 금강휴게소를 짓는 공사를 시작했지만, 산세가 워낙 험준해 휴게소에 사용할 전기를 끌어 올 수가 없었다. 그래서 휴게소 옆에 소수력발전설비를 설치하였고, 휴게소에 사용하고 남은 전기를 조령리를 포함한 인근 마을에 공급하기 시작했다.

금강을 따르는 마을 중 전기와 교통의 혜택을 가장 먼저 받은 조령리는 그 때문인지 마을안에 금강에서 가장 많이 잡힌다는 쏘가리탕 전문 음식점이 몇 군데 있다. 

조령리 맞은편에는 상·하행 차량이 쉴 수 있는 금강휴게소가 있다. 옥천 주민들의 데이트 장소이며 경부고속국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일부러 들르는 휴게소이다. 피라미를 튀겨 양념을 얹어낸 옥천의 토속음식 도리뱅뱅이도 맛볼 수 있고, 야외의 나무데크는 물론 화장실에서도 유유히 흐르는 이채로운 금강의 풍경을 만난다.

금강휴게소에서 피로를 씻어내고 금강나들목으로 나와서 고속국도 다리 밑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 삼거리에서 우회전하면 예전 고속국도가 나온다. 이곳에 서면 금강과 주변의 산이 한눈에 조망되는데 올해 마라톤 대회가 이 도로에서 개최되어 전국에서 모인 참가자들이 극찬을 했단다. 첫 번째로 나오는 옥천의 하늘아래 첫 동네인 우산리 높은 벌 마을은 지대가 높아서 옥천의 숲길을 따라 아득히 멀어져 가는 금강의 풍광을 볼 수 있다.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합금리에 있는 양식 레스토랑 엘도라도.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옛이야기 지줄대는 금강이 휘돌아 나가고 황소가 게으른 울음을 우는 평화로운 풍경.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고당리를 거쳐 금강의 제 1지류인 보청천을 지나자 수석인들이 즐겨 찾는다는 합금리(윗쇠대 마을)가 나온다. 예전에는 마을 앞 금강변에서 사금이 많이 나와 붙여진 이름인데 상금마을을 웃쇠대, 하금마을을 아랫쇠대라 부른다. 소를 많이 기르며 살았던 사실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미의 ‘쇠대’. 지금도 그런 장면을 볼 수 있을까? 

돌이 많은 합금리 강변에 발을 딛자 물을 먹고 있던 한 무리의 까치떼가 인기척에 놀라 높이 날아간다. 까치가 떼지어 있는 건 처음 본다.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새해 복 떼지어 받으세요!

합금리와 여울목 반대편의 청마리 사이에는 두 마을을 잇는 잠수교가 놓여 있다. 금강 수면보다 조금 높은 듯한 잠수교는 비 많은 여름철이면 물에 잠겨 마을 사람들이 동동 발을 굴러야 했다. 청마리에는 옥천청마리제신탑이 수문신과 풍수상의 액을 막는다는 의미로 서있고 해마다 지금까지 제를 지내고 있다.

청마리를 건너다 보면서 강길을 걸으면 아랫쇠대 마을이 나타난다. 혹시나 했는데 정말로 강가에서 소가 여유롭게 풀을 뜯고 있다. 강물에 비친 기암괴석과 물을 먹고 있는 까치떼, 자유롭게 옮겨 다니며 풀을 뜯는 황소….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정지용 시인은 이런 장면을 보고 ‘향수’의 시상을 떠올리지 않았을까? 요즘은 소를 이용하여 밭일을 하지 않아 대부분 외양간에만 가둬두는데 느릿느릿한 소의 모습과 소가 자유롭게 풀을 뜯을 수 있도록 줄을 길게 매어둔 주인의 배려가 느껴져 마음이 푸근해진다.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합금리 여울목 건너 보이는 청마리 나루터.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안남면에서 장계관광지까지는 드라이브의 진수를 맛보는 코스. 2006년 11월. 사진 / 박지영 기자

아랫쇠대 마을앞길부터 비포장길이라 차체가 낮은 차량은 통과하기가 힘들다. 버스 종점인 이곳부터는 오지로 들어서는 길이다. 지금껏 완만하게 흘렀던 금강은 어디로 가고, 급한 경사를 이루는 산들과 박자를 맞추려는 듯 허리가 부러질 듯 현영도 울고갈 듯 S라인을 그리며 급하게 금강이 흐른다.

비포장 길을 따라 느릿느릿 30여 분을 걷자 낮은 편 언덕자락에 넉넉한 모래사장이 보이고 마지막 오지마을인 가덕리가 나타난다. 청마리의 잠수교와 똑같이 낮은 다리가 놓여있고 옆에는 이제 막 공사가 끝나가고 있는 높고 우람한 가덕교가 서있었다.

마을로는 마지막 오지이지만 이곳은 금강 중상류지점이다. 여기서 급하게 흘러 안남천과 합류한 물줄기가 장계관광지 부근에서 대청호로 유입된다. 급히 휘도는 물길마다 모래톱이 드러나 텐트 치고 야영하기 딱 좋을 만한 공간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