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전통민속마을] 대구 비슬산 음리마을 사찰주(酒)의 전통을 간직한 사하촌
[전통민속마을] 대구 비슬산 음리마을 사찰주(酒)의 전통을 간직한 사하촌
  • 이수인 기자
  • 승인 2007.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옴리마을 하향주에는 인동초, 약쑥, 들국화 등 비슬산에서 채취한 양초가 들어간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여행스케치=대구] 한때 100개의 사찰이 있었다는 비슬산 아랫동네의 사하촌(寺下村) 음리마을. 마을 주민들은 예부터 사찰 소유의 토지를 경작하며 불교를 정신적인 모태로 삼았다. 특히 사찰에서 필요로 했던 약주(藥酒)를 빚으며 누룩마을로 자라난 유래를 지니고 있다. 

대구 달성군 유가면 소재지의 동쪽으로 펼쳐진 비슬산은 산 정상의 바위가 거문고를 타는 신선의 모습을 한 신비로운 산이다. 1,083m의 최고봉인 대견봉을 비롯해 준봉들에는 유가사를 비롯하여 도성암, 소재사 등 한때 100개의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온다. 

비슬산 유가사를 오르는 길목, 음리마을은 누룩동네로 예로부터 물 좋고, 쌀 좋기로 유명했다. 특히 유가사의 위쪽에서 음리마을로 흘러드는 찬 계곡물로 재배한 쌀은 늘 ‘한금’을 더 받을 정도로 품질이 좋았다 하니 술을 빚기 또한 좋았을 것이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비슬산의 계곡물로 재배한 유가 찹쌀로 고두밥을 지어 식히고 있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박환희씨가 잘 풀어낸 누룩에 고두밥을 섞어 밑술을 만들고 있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예전에는 유가사를 드나드는 주민들을 중심으로 누룩계도 있었다지만 이젠 서너 집에서 노인네들이 소일삼아 누룩을 디뎌 장에 내다 팔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술맛을 좌우하는 누룩이 좋아 대구 근교에서 술빚는 이라면 음리 누룩을 쓰지 않은 이가 없을 정도라고 한다.

자신이 마실 술은 직접 담그는 전통이 남아 있어 동동주 정도의 술을 빚는 일은 이 마을에선 흔하다. 그러나 번거롭게 술을 담글 필요가 없는 편리의 시대에 사는 이유도 있지만 예부터 내려오던 전통주에 대한 맥이 끊긴 탓에 이젠 음리마을에서도 술을 빚는 집이 그리 많지 않다. 

가정에서 술을 빚는 것을 금했던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에는 가난때문에 쌀로 술 빚는 것을 엄금했기 때문이다. 그런 와중에도 사찰주에서 가양주(家釀酒)로 그 맥을 이어오는 집이 있다. 바로 밀양 박씨 가문에서 시어머니에서 며느리에게로 전수되어온 하향주가 그것이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대구 무형문화재 제1호 하향주의 기능보유자인 김필순 할머니.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예전에는 하향주를 빚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는 도성암.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원래 유가사의 사찰주였던 하향주는 오랫동안 절의 살림을 도와온 박씨 집안의 여자들을 통해 그 제조법이 전해오다가 어느 순간 집안의 전통이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재 대구 무형문화재 제11호 하향주의 기능보유자인 김필순씨(89)에게서 술 빚는 법을 전수받아 그 맥을 잇는 이가 아들 박환희씨(57)다. 유가사의 말사인 도성암에 함께 오른 박씨는 도성암과 하향주와의 특별한 인연을 꺼내놓는다.

박씨의 할아버지는 한때 유가사로 출가했다 환속한 ‘속환이’였다. 그래서 친분이 깊던 유가사의 스님들이 자주 박씨의 집을 찾아와 하향주를 마시고 가곤 했다. 일제의 주세법은 가양주를 금했지만 박씨의 집에선 비공식적으로 술제조가 허락되었다. 유가사의 스님들이 이 일대의 대지주였던 탓에 군이나 면의 관리들도 이 집에서 술 담그는 것을 예외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찰에서 술을 빚는다는 것을 납득하기 어렵다. 수행자가 술을 마시는 것은 곧 파계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약주’ 혹은 ‘곡차’라는 우회적인 표현으로 솔·국화·갖은 약초 등을 원료로 빚은 술을 장복하며 수행중 허약해진 기를 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는 것을 보면 하향주는 망령스럽게 마시는 술이 아닌 스님들의 건강음료였던 모양이다. 실제로 ‘약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술을 약으로 쓴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만 봐도 약용으로서의 음주가 허용됐음을 알 수 있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하향주. 상품으로 만들긴 하지만 워낙 담그는 양이 적어 직접 찾아오는 이들에게만 내줄 정도란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하산주? 마을 사람들이 직접 빚은 동동주를 하산길에 마시라며 그렇게 이름 붙여 판단다. 2007년 1월. 사진 / 이수인 기자

불교를 국교로 삼았던 고려시대에는 사찰에서 술을 빚어 마셨다는 여러 기록이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숭유억불정책으로 사찰의 경제생활이 크게 위축되자 승려들은 탁발 외에도 직접 누룩 등을 만들어 팔았다고 한다. 구전으로만 전해오는 유가사의 누룩계 또한 사찰과 밀접하게 살아온 음리주민들이 사찰의 재원마련을 위한 한 방편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하향주는 쌀과 누룩 외엔 어떤 향도 가미하지 않음에도 감미로운 향이 느껴진다. 아련하게 연꽃향이 스민다고 해서 연꽃 ‘하’(荷)를 써서 하향주라 부른다. 또, 100일 동안 발효, 숙성시킨 약주라고 해서 백일주라고도 한다. 빛깔은 은은한 연녹차색을 띠는데, 신맛과 단맛, 떫은 맛, 쓴맛과 구수한 맛 등 민속주 특유의 다섯 가지 맛이 어우러지고 연꽃 향이 뒷맛으로 남아 입안에 은은히 감돈다고 한다. 도수 또한 17도라니 약주치곤 꽤 높다. 

유가사 풍경소리를 뒤로 하고 허위허위 비슬산을 하산하는 길. 연꽃향에 취한 것일까, 아니면 도성암의 어느 서까래 밑에 보관해 놓은 누룩향에 취한 것일까, 발길이 붕붕 뜨는 듯 술에 취한 것만 같다. 술은 아직 마시지도 않았건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