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영화 드라마처럼 즐기는 바캉스] "밀양은 어떤 곳이에요?"
[영화 드라마처럼 즐기는 바캉스] "밀양은 어떤 곳이에요?"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7.07.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재악산의 천년고찰 표충사.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밀양] 바캉스 시즌이 절정을 향해 가고 있다. 아직 이렇다 할 계획을 정하지 못했더라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꼭 산으로 바다로 떠나야만 바캉스인가. 더위에 늘어진 몸과 마음에 에너지를 팍팍 넣어줄 만한 비방 하나. 스크린에서 보았던 그곳을 찾아가보자. 영화 속 그 장소로 떠나는 여행, 생각만 해도 즐겁다. 

칸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으로 세계인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영화 <밀양> 촬영지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전해주는 
<봄날은 간다>의 삼척, 드라마 <풀 하우스>의 시도를 찾아가본다. 지금 이 순간만큼 영화 속 주인공은 바로 당신이다.

“밀양은 어떤 곳이에요?” 신애가 종찬을 처음 만나 던진 말이다. “경기가 엉망이고 뭐 부산이랑 가까워서 말씨도 부산 말씨고, 인구는 뭐 마이 줄었고….”라고 한 종찬의 대답대로라면 참 따분한 곳이다. 하지만 이 대목에서 영화를 본 밀양 시민들은 섭섭함을 나타낸다. “밀양이 잘 안 알려져서 그렇지 얼마나 좋은 데가 많은데예. 우리 밀양이 억수로 밝은 곳인데, 영화에선 그래 나와서 좀 그랬지예.” 밀양에 처음 도착해 만난 택시기사 조두연 씨는 경상도 특유의 빠른 사투리로 고향 자랑에 여념이 없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아들을 잃고 망연자실한 신애에게 스며드는 한 줄기 은밀한 햇살.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영화 <밀양(密陽)>의 영문 제목은 시크릿 선샤인(Secret Sunshine). 그대로 해석하면 ‘비밀스러운 볕’이지만 본래 밀양이라는 지명은 ‘볕이 빽빽하게 모인 곳’이라는 뜻. 그 정도로 밀양은 연중 맑은 날이 많단다. 그래서 그런지 영화에는 인공적인 조명 대신 햇볕과 같은 자연스러운 빛을 찾는 데 애를 쓴 흔적이 역력하다. 내용은 지극히 어두웠지만 밀양에서만 볼 수 있는 은밀한 빛을 통해 또 다른 희망을 이야기하려 했는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이창동 감독의 작품이 그러했듯이, 영화 <밀양> 역시 멋지고 아름다운 장면보다는 솔직하고 보다 현실적인 장면이 많이 등장한다. 주요 촬영지도 세트가 아닌, 밀양 시내 일대였다. 그중에서도 신애의 피아노학원이었던 ‘준피아노’와 맞은편의 ‘은혜약국’이 있었던 가곡동이 주요 촬영지였다.

그러나 지금 준피아노와 은혜약국은 없다. 빈집을 영화 촬영하는 동안만 피아노학원으로 개조해 사용을 한 뒤 바로 철거를 했다(하지만 곧 밀양시에서는 준피아노 세트를 복원할 계획이라고). 바로 맞은편에는 약국이 아닌 손뜨개점이 있다. 촬영 기간이었던 6개월 동안 손뜨개점은 맞은편으로 이사를 가고, 잠시 약국에 자리를 내줬던 것. 신애의 집과 은혜약국이 설정상 서로 마주보아야 했기 때문이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부흥회 및 <밀양>에서의 교회신은 모두 남부교회에서 촬영되었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손뜨개점의 황혜숙 사장은 영화 이야기가 나오자 신이 나서 설명을 한다. 자세히 보니 엑스트라로 몇 차례 나왔던 인물이다. 실제 남부교회 신자이기도 한 그는 부흥희 장면을 찍기 위해 70~80여 명의 신도들을 섭외하는 위력(?)을 발휘하기도 했다고. “4개월 반 동안 장사는 제대로 못했지만 내나 우리 애들이나 평생 이런 경험 해보겠어예? 그냥 내 좋아서 뭐 필요하다는 거 있음 우리 집에서 갖다 주고 그랬지. 전도연 씨 머리카락 자르던 장면에 나온 가위랑 의자 뭐 이런 것도 다 우리 집 건데…. 사람을 돈 주고 사귀나? 저번엔 이 감독님 명예시민증 받으러 오셨을 때도 우리 집에 들르셨어예.”

영화는 어떻게 봤냐는 질문에 “아이구, 다들 자기 얼굴 언제 나오나 그거 찾느라 정신 없었지예(웃음). 우리끼리 영화 보는 수준 좀 높이자고 농담도 하면서….” 밀양 시민들에게 영화 <밀양>은 그저 즐거운 추억인 듯하다. 영화 때문에 찾아오는 방문객들이 귀찮을 법도 한데, 내색도 전혀 없는 걸 보니 정말 추억이 된 게 맞는 것 같다.

다소 엉뚱하면서도 순진한 카센터 주인 김종찬. 처음엔 낯선 서울 여자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작해 결국엔 그녀 주위를 그림자처럼 맴도는 남자다. 그의 공간은 ‘카센터’다. 다방 레지에게 시시껄렁한 농담을 던지고, 신애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던 일상의 공간이다. 시청 앞에 자리한 서광카센터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그런 곳이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신애의 마음을 얻기 위해 교회에 나가게 된 종찬. 장면은 남부교회 앞이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종찬의 카센터로 등장한 서광카센터.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이 감독이 2년 전부터 촬영지로 점찍었던 곳. “처음엔 좀 황당했지예. 감독이랑 조감독이라면서 몇 명이 와카지고 시나리오를 보여주데예. 이창동 감독이 누군지 그때는 몰랐지예. 처음엔 싫다고 했는데, 일요일에만 촬영한다고 해서 그냥 내줬지예.” 배우 전도연은 어땠냐는 질문에 옆 사람들이 말을 거든다. “밀양 사람들이 박수에 인색한 편이라예. 몸이 아담하고, 또 모자 쓰고 다니면 연예인인지도 몰라서 그냥 뭐 덤덤했지.” 

영화가 국제대회에서 수상을 하면서 서광카센터 일대는 ‘송강호 거리’로 지정이 되었다. 종찬은 신애와 좀 더 가까워지기 위해 그녀가 다니는 교회에 나가게 된다. 주차 봉사는 물론, 밀양역 앞 전교에도 나섰다. 부흥회를 비롯한 교회가 나오는 장면은 남부교회에서 이루어졌다. 예배당 안에 들어가 볼 수 있는데 스크린에서 봤던 것보다는 규모가 크게 느껴진다. 90년의 역사가 있는 교회로, 세종고등학교 뒤편에 자리한다.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밀양의 명소는 영남루가 전부다. 그것도 신애의 생일파티가 열린 카페 창 너머로 보이는 정도다. 밀양 시내에 자리해 시민들의 휴식처 노릇을 톡톡히 하는 영남루는 신라 경덕왕(742~765) 때에 있었던 영남사의 부속 누각에서 유래된 것이다. 진주 촉석루와 평양의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으로 통한다. 영남루를 이야기하면서 아랑 낭자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향교 바로 아래 자리하고 있는 고가.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표충사 경내는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2007년 7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장화홍련전>의 모티브가 된 ‘아랑의 전설’이 서린 곳이 바로 영남루 일대다. 조선 명종 고을 부사의 딸이었던 윤정옥이 유모의 꾐에 빠져 영남루로 달 구경을 나왔다 정조를 강요당하자 결국 자결을 한다는 내용이다. 그런 연유로 이곳에서 데이트를 한 남녀는 아랑의 질투로 헤어지게 된다는 얘기가 전해진다고. 

교동에는 손씨 고가가 있다. 경남 제일의 부잣집으로 살림이 한창 번창했을 때에는 순수 농토만 270만 평에 달할 정도였다고. 사랑채와 안채가 철저하게 분리된 전형적인 유교 질서가 반영된 곳이다. 

재약산 기슭에 자리한 표충사는 밀양을 대표하는 천년고찰이다. 시내에서 약 30분가량 거리에 있어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다. 대광전 맞은편에 자리한 우화루는 개방이 되어 있어 사찰을 찾은 이들에게 쉼터가 되어주기도 한다.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 동지 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 소절 정도는 읊조릴 줄 아는 밀양아리랑. 어깨가 절로 들썩이는 밀양아리랑에는 특유의 낙천성과 경쾌함이 배어 있다. 실제 밀양에서 만난 사람들은 친절했고 재미있었다. 누가 경상도 남자들을 무뚝뚝하다고 했던가. 좋은 데가 많다며 여기도 가보고 저기도 가보라며 설명해주는 그네들은 분명 억수로 밝은 사람들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