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사람 사는 이야기] 꼬막 잡이 한창인 전남 벌교 여자만 갯벌에 꼬막 한번 옹골차게 여물었소잉~
[사람 사는 이야기] 꼬막 잡이 한창인 전남 벌교 여자만 갯벌에 꼬막 한번 옹골차게 여물었소잉~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자만 갯벌에 내려앉은 일몰.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벌교] 겨울에 영일만 친구는 과메기를 먹지만 벌교 건달은 꼬막을 즐긴다. 그만큼 벌교는 꼬막으로 유명한 동네다. 물이 빠지는 날, 갯벌에서는 ‘뻘스키’ 타기가 한창이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는 신기하게만 느껴지는 이 풍경은 다름 아닌 꼬막을 잡는 아낙들이 만들어내는 생생한 삶의 현장이다. 

벌교를 무대로 쓴 소설 <태백산맥>에는 꼬막 맛에 대한 비유가 나온다. 소설 속에서 염상구가 외서댁을 범하고 나서 입맛을 다시며 하는 말이 바로 ‘꼬막 맛 같다’는 말이다. 표현이 좀 그렇지만 ‘쫄깃쫄깃하고, 먹으면 먹을수록 당기는 맛’이라고 해서 ‘꼬막 맛 같다’라고 한 것인가? 염상구에 감정이입을 하고 저질스런 상상을 잘도 해댄다.  

벌교읍 대포리 갯벌. 벌교 읍내에서 조금 떨어진 이곳은 고흥 여자만의 일부다. 그런데 굳이 ‘고흥 꼬막’이라고 하지 않고 ‘벌교 꼬막’이라고 부르는 것은 영덕 대게나 울릉도 오징어를 생각하면 되겠다. 꼭 출생지가 이름 앞에 붙으라는 법은 없지 않은가. 
“아따 꿈지락거리지 말고 어여 따라오더라고.”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갯벌 자가용 널배의 별명은 뻘스키이다.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벌교 꼬막정식. 새콤달콤한 회무침을 뜨거운 밥에 얹어 비벼먹어야 제맛!.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밥그릇에 가득 부은 소주를 냅다 들이켠 김분자 할머니가 자꾸만 재촉한다. 물때에 맞춰 꼬막을 잡을 수 있는 갯벌이 드러나는 기간은 한 달에 보름 남짓. 더구나 요즘은 갯벌을 마을 양식장으로 지정해 공동작업을 하기 때문에 아무 때나 꼬막을 잡으러 가는 것이 아니란다. 때문에 간만에 물이 빠져나간 날, 아낙들은 몸이 달아 있다. 

올해 일흔 살이 되는 김분자 할머니는 장암리로 시집을 오면서부터 꼬막을 잡았단다. 열여섯에 시집을 왔으니 꼬막만 50년 넘게 캐온 셈이다. 

“이거 안 하면 머더고 사나? 이걸로 자식새끼들 다 시집 장개 보니고, 인자 우리 할아부지랑도 살아여재. 근디 묵고사는 것보담은 집에만 있음 삭신이 쑤시싸서 몬 있겄어. 이거라도 하니께 좀 나은겨.”

꼬막은 물때를 맞춰 한 달에 약 보름간만 캘 수 있다. 김 할머니는 하루 일당 4만5000원을 받으며 일을 한다. 마을 아낙들과 함께 꼬막을 캘 때면 누가 더 많이 캐는지 소리 없는 경쟁도 벌인다. 

“몰러, 겉으론 말 안 혀도 나중에 내가 덜 잡았으면 그거시 그리 속이 상해부러. 다른 이들도 똑같혀. 그려서 일할 때 보믄 참 독하게 혀. 서로 안 질라고.”    
퉁명스럽게 말씀을 하면서도 꼬막 잡는 시범(?)은 제대로 보여주려는 듯 2m쯤 되는 나무 널배를 갯벌에 휙 던진다.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나무로 만든 널배는 갯벌에서 가장 중요한 이동수단이다.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꼬막 상가에서 살 수 있는 꼬막.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또또이 잘 보더라고.”
김 할머니는 왼손으로 널배 앞에 고정된 줄을 잡고 왼무릎을 널배 하단부에 괸 채로 오른무릎으로 뻘을 박찬다. 그러자 널배가 미끄러지듯 갯벌을 달린다. 가까운 곳에 널배를 멈춘 다음 머리빗처럼 생긴 어구를 뻘 속 깊숙이 박아 들어 올리자 한 바가지도 넘는 꼬막이 건져 올려진다.

“봤능가? 이렇게 잡는 것이요. 채취기 이걸 널배에 달고 뻘을 쓸어서 꼬막을 잡는 거인디, 옛날엔 이것도 없이 다 손으로 캤었어. 몸이 남아나질 않지. 시집와서 시집살이보담 시른 거이 갯벌 나오는 것이었제. 근디 꼬막도 손으로 잡는 게 좋긴혀. 손이 닿으면 입을 요게 닫아서 뻘을 안 묵으니께.”

숙련된 솜씨로 시범을 마친 박 할머니는 여기는 자리가 안 좋으니 다른 곳으로 옮길 거라며 어찌 따라올 테면 따라오라는 말씀을 하신다. 하지만 어찌 오늘 처음 널배를 구경해본 ‘초짜갯꾼’이 50년 무사고 경력의 베스트 드라이버를 따라가리오. 1m씩 가는데도 미끄러지고 방향도 제멋대로인데 괜히 짐만 될 것 같아 ‘그냥 가시라’ 말한다. 김 할머니는 귀찮은 녀석 잘 떨어졌다는 듯 널배에 몸을 싣고 나는 절대 갈 수 없는 ‘미지의 갯벌’로 유유히 사라진다.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머리에 이고 지고 가는 저건 혹시 새참?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빗처럼 생긴 채취기를 달고 뻘바닥을 훑으면 한 바가지 분량의 꼬막이 건져진다. 2008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고개를 들어 갯벌을 한번 스윽 둘러보니 까만 점들이 호숫가의 오리마냥 둥실둥실 떠다닌다. 갯벌에 서 있다 뿐이지 갯꾼들을 따라다니며 이것저것 물어볼 수도 없을 것 같아 갯벌 밖으로 나와버린다.

‘촤르르르~’ 갯벌에서 캐낸 꼬막을 바구니에 옮겨 담는 소리에 사방이 시끌벅적하다. 한쪽에 놔둔 1.5ℓ소주병은 갯꾼들이 오고갈 때마다 금방 비워진다. 농촌에서 자란 나로선 너무나 익숙한 풍경이다. 술 마시고 일을 하면 위험하다고 하지만 농민이나 갯꾼이나 술기운이 아니면 그 힘든 일을 버텨내기 힘든 것이다. 땅이나 바다나 자연을 밭으로 해 생계를 유지하는 일은 역시나 힘들고 고된 노동이다. 한쪽에선 방금 막 잡은 꼬막으로 꼬막전을 정성스레 부쳐내고 있다. 

“우리야 밥처럼 먹는 거이 꼬막이니께, 서울서 온 양반이나 그저 마이 드시게.”
벌교 읍내에 다녀오느라 이제야 널배 탈 준비를 하고 있는 이순목 할머니가 아들 챙기듯 한 마디 던지신다. 손가락으로 집은 꼬막전을 텁텁하고 마른 입이 잘도 받아 먹는다. 톡 터지는 꼬막에서 짭짤한 바다 냄새가 난다. 그저 바닷물에서 난 꼬막이라 그런 듯했으나 갯벌을 바라보니 꼭 그것 때문만은 아니리란 생각도 든다. 열심히 널배를 타로 갯벌을 차며 꼬막을 잡는 저네들의 땀이 이 짭짤하고도 기막힌 맛을 내는 건 아닐는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