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한옥여행] 전남 구례 곡전재 하늘이 내린 명당 금환락지에서 하룻밤
[특집 한옥여행] 전남 구례 곡전재 하늘이 내린 명당 금환락지에서 하룻밤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8.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노고단에서 흘러내리는 물로 만든 연못.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구례]‘온기가 있다’는 말이 꼭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건 아닌 모양이다. 낯선 곳임이 분명한데 신기하게도 마음을 포근하게 해주는 데가 있는 걸 보니 말이다. 번드르르한 콘크리트 건물의 그것과는 차원이 다른, 사람과 집과 땅이 함께 숨을 쉬는 우리네 옛집이야말로 온기 가득한 공간이다. 전남 구례 지리산 자락의 곡전재가 바로 그런 곳이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대문 2층에 마련된 곡노에서 바라본 작은 마당.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천상의 옥녀, 금가락지를 떨어뜨리다
원래 한옥에서 자는 걸 좋아하는 터라, 주인장의 하룻밤 묵어 가라는 말에 사양 한번 하지 않고 방 하나를 냉큼 차지했다. 주인 부부는 마을에 일이 있어 자리를 비우고 졸지에 홀로 남겨져 가짜 주인 행세를 해본다. 방문을 열어놓으니 노고단에서 흘러내리는 청명한 물소리도 좋고 옅은 바람에도 서로 몸을 비비는 대숲 소리도 좋다. 여기에 마당 뒤에서 살고 있는 공작새 울음소리까지 가세하니 별천지가 따로 없다. 

우선 곡전재에 대한 얘기부터 해보자. 곡전(穀田)은 현재 곡전재를 지키고 있는 이병주 씨의 증조할아버지인 이교신의 호. 1910년경부터 박승림이라는 자와 함께 명당을 찾기 위해 10여 년 동안 지관들과 전국을 다닌 끝에 토지면 오미리(현재 곡전재 터)를 금환락지로 확정 짓고 집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사람들이 찾아준 덕에 생기를 되찾은 곡전재.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후에 이교신이 집을 인수해 지금까지 5대째 살고 있다. 처음엔 6채 53칸으로 지어졌으나 인수 당시 동행랑채와 중간채가 훼손되었다가 1998년 1월 복원했다. 이때 춘해루라는 누각과 연못도 함께 만들어 현재는 5채 51칸에 이르고 있다. 

금환락지(金環洛地)는 한자 그대로 금가락지가 떨어진 땅으로, 천상의 옥녀가 떨어뜨린 금가락지 형국이다. 남한에서는 3대 명당으로 손꼽히는 자리로 지금의 주소로 따지면 전남 구례군 오미리 곡전재와 운조루를 아우르는 주변이라고 할 수 있다. 좌청룡 우백호 산세와 마을 앞으로는 섬진강이 흐르고 마주보이는 오봉산이 이곳이 금환락지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곳은 우리나라의 내로라하는 풍수지리가들도 한 번쯤은 다녀가야 하는 귀한 터이기도 하다. 대문을 시작으로 집 주변에 높은 돌담을 둥글게 쌓은 것은 금가락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마루에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한옥에겐 사람 온기가 제일이지요
곡전재에서 고택 펜션을 시작한 건 2006년 10월의 일. 이병주 씨 역시 이곳에서 나고 자랐지만 직장 때문에 구례읍에서 살며 간간이 집에 들르곤 했단다. 그러다 곡전재가 구례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사람들이 묵어 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는데 막상 일을 시작하고 보니 이런저런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일반 건축물과 다르다보니,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오래되다 보니 작은 자연재해에도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중요문화재니, 향토문화재니 하는 타이틀을 떠나 시간이 지날수록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과 배려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도 한옥은 사람이 많이 끓어야 유지가 되는지라 펜션을 시작하고부터는 거미줄도 없어지고 잡초도 부쩍 줄었단다. 이전과 달리 종일 대문을 활짝 열어놓는 것도 그런 이유다. 누구나 와서 편히 구경하고 돌아가라는 뜻에서 간단한 안내판도 마련했다. 

대문을 시작으로 연못을 지나 대숲까지 한 바퀴 돌아 나오게끔 관람로도 만들었다. 특히 노고단에서 흘러내리는 물로 만든 연못에는 10년 넘은 건강한 잉어들이 살고 있어 아이들이 특히나 좋아한다. 여기에 다시 물길을 터 앞마당으로 작은 내가 흐르니 곡전재 하나만 두고 봐도 배산임수가 되어 그 지혜에 다시 한 번 감탄을 하게 된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춘해루에 앉아 향긋한 녹차 한잔을….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부모님과 한 방에서 하룻밤
“나한테 고맙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오히려 손님들이 나를 도와주는 셈이죠. 지금도 일주일이면 500명은 넘게 구경을 하고 가니 집에도 생기가 돌죠. 예전엔 집에 잠깐 들르면 내내 풀만 매다 갔는데, 이젠 그럴 일이 줄어들었네요.” 

이런저런 설명을 듣고 보니 귀한 터에서 하룻밤 묵어 가는 것만으로도 큰 복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택 펜션을 시작하고 아직 만 2년이 되지 않았지만 매 주말이면 6개의 방이 거의 찰 정도로 찾는 이들이 꾸준하다. 집 수리를 하면서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온 가족이 한 방에서 지낼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래서 방과 방을 터 최소 6~8명이 한데서 잘 수 있게 했다. 

“부모님과 자식, 손주들이 언제 그렇게 한 방에서 자보겠습니까? 여기 와서 부모님들은 옛날 생각 하고 자식들은 부모들이 좋아하는 모습을 보고 좀더 자주 와야겠다 하는 마음을 먹게 되면 좋은 거죠. 젊은 사람들끼리 모여 다니는 것보다 어른들이랑 같이 오는 걸 보면 그렇게 예쁠 수가 없어요.”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뒷마당에는 분위기 좋은 대숲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다. 2008년 6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또 “사람들이 집은 예쁘다고 해도 좋다라고는 말 안 하더라고요(웃음). 실제 와서 자보면 훨씬 더 좋은데 말이죠” 처음엔 한옥 펜션에 대한 일반인들의 선입견이 강하다는 걸 느꼈단다. 화장실은 수세식이냐, 방마다 샤워 시설은 되어 있나, 침대는 있나 등등 생각지도 못한 요구사항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외관과 전체적인 분위기는 최대한 유지하고 내부는 화장실이나 부엌 시설을 구비해 묵는 데 지장이 없도록 했다. 

한옥이 불편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려야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을 것 같아서였다. 서행랑, 중간채, 사랑채, 동행랑에 모두 6개의 방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중 사랑채는 황토방으로 꾸며 군불을 때며 옛날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끔 했다. 특히 사랑채에서는 곡노(대문 위에 마련된 공간으로 옛날 출입이 자유롭지 않았던 여인들이 바깥을 볼 수 있도록 한 공간)까지 올라가볼 수 있어 이것 또한 특별하고도 재미있는 경험이다.곡전재 바로 뒤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또 다른 고택 운조루(雲鳥樓)가 있다. 영조 52년(1776년) 삼수부사를 지낸 류이주가 지은 집으로 본래는 99칸이었지만 현재는 73칸만 남아 있다. 품자형(品字形)의 배치 형식을 보이고 있는 양반가로 -, ㅁ, ┬자 건물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다. 곡전재와 함께 금환락지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으므로 함께 둘러보면 좋겠다. 운조루는 숙박 손님은 받지 않고 관람만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