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Special 1 가을 산사의 단풍] 전통 사찰정원 부안 내소사 오색찬란 단풍빛 사이 고색창연 고풍빛
[Special 1 가을 산사의 단풍] 전통 사찰정원 부안 내소사 오색찬란 단풍빛 사이 고색창연 고풍빛
  • 김진용 기자
  • 승인 2006.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내소사의 전경.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여행스케치=부안] 단풍빛과 싱그러운 전나무 숲길이 어우러진 전통정원은 어딜까? 부안의 내소사가 그렇다. 사찰을 두고 전통정원이라 하면 조금 의아스러울까? 하지만 <여행스케치>의 눈에는, 뚝뚝 떨어지는 오색찬란한 단풍물 사이로 고풍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우리 전통정원임에 틀림없다.

내소사 입구의 전나무 숲길이 없었다면, 단언하건데 내소사 단풍빛이 그처럼 눈부시진 못했을 게다. 

부안 능가산의 내소사 일주문엔 짙푸른 전나무 숲길이 이어져 있다. 초록잎의 청아한 기운과 향긋하고 깊은 풀내음이 가득 내뿜어져 하늘마저 빽빽이 가린 그런 전나무길이다. 간간이 새어드는 햇빛은 그래서 더욱 따스웁고 영롱한데, 살포시 그 빛에 드러난 노란 단풍잎마저 더욱 깊고 맑아 환희에 가까울 정도다.

취한 듯 어두운 숲길 600m를 다 올라가자마자 눈이 환해진다. 이어지는 단풍나무길에는 기다렸다는 듯 단풍이 불을 뿜는다. 이 단풍이 어찌 이리도 진할까. 지나온 숲길의 어둠이 혹 이 단풍에 새색시 비단 치마를 입힌 게 아닐까. 오른 길 반대로 내려가면 이번엔 환한 단풍빛이 짙은 숲길을 더욱 싱그럽게 만들지 않을까. 대숲길 끝이 환한 빛의 애양단(愛暘檀)으로 이어진 소쇄원 풍경이 그렇듯, 어둠과 밝음은 그렇게 서로를 밝혀 주는 것 아닐까.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대웅보전 문살.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전나무 숲을 지나면 나오는 단풍나무길.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이리 들뜬 마음으로 부처님께 어찌 가나. 그렇게 천왕문까지 당도하면 천왕문 어두운 터널 건너 또다시 몸을 숨긴 붉은 단풍 머리카락이 어렴풋이 보인다. 사천왕의 험상궂은 인사를 받으며 들어서니 능가산 자락에 잠긴 포근하고도 평온한 사찰 뜨락에 닿는다.

경내는 실은 그리 넓지 않은데도 참 넉넉해 보인다. 눈높이 때문일 듯하다. 천왕문에서 봉래루 밑을 통과해 대웅보전에 이르기까지 펼쳐진 석축단이 야트막한 덕에 답답해 보이지 않는다. 세월을 짐작하기 힘든 당산목 하나가 할아버지처럼 인자하게 늘어졌다. 이른 낙엽 한두 잎이 떨어진 돌계단에서 벌어진 아이와 엄마의 밉지 않은 승강이까지. 참 이쁜 절이다.

빛과 색의 이 화려한 대비와 스펙트럼이 없었다면, 단언하건데 내소사 대웅보전의 무색무빛이 그처럼 고색창연(古色蒼然)하진 못했을 게다. 

세월에 닳고 닳아 그 흔한 단청 하나 남지 않은 옛 전각이다. 나른한 오후 하품을 해대는 앞마당 누렁이 빛깔로 맨 몸을 드러낸 기둥과 천장, 그리고 꽃살 무늬는 고풍스러운 빛 그대로다. 나무결이 내는 가장 푸근하고 깊은 빛이 저것이라 한다면 믿을 수밖에 없을 것 같다.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전나무 숲길, 단풍나무길, 그리고 낮은 뜨락을 올라가 닿은 곳. 나른한 오후다.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내소사 대웅보전 못 하나 쓰지 않고 모든 목재를 끼워맞춰 지은 건물이다.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섣불리 화려한 빛을 입혔더라면, 내소사 단풍빛에 묻혀 자칫 안 하니 못한 사족이 되어버리지 않았을까. 자연이 내는 빛은 저렇듯 언제나 그대로인 게 좋고, 인공의 빛은 저렇듯 자연에 닳고 닳아 조금씩 예스러워지는 게 멋인가 보다.

내소사 단풍은 10월말에서 11월초가 가장 화려하다지만, 요 몇 년 간의 단풍은 예전만 못하다는 게 내소사에서 만난 단골 단풍객의 말이다. “요새는 여름 다음 바로 겨울이잖아. 요 몇 일 이러다가 금방 겨울이야. 공해다 어쩌구 하며 날씨가 변한 거지. 그러니 내소사 단풍도 예전같지 않지.”

딴은 그렇기도 하겠지만, 야트막한 돌담에서 붉게 익어가는 담쟁이의 감촉을 만져보자면, 그래도 가을이 이처럼 곱게 익어가는 사찰도 드물지 않아요? 하며 항변하게 된다.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엄마와 아이가 자연 속에서 쉬어간다.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내소사 담벼락 사이에서도 단풍을 느낄 수 있다. 2006년 8월. 사진 / 김진용 기자

내소사의 조경 자체가 주는 예스러움과 아름다움이 아니더라도, 내소사 경내와 입구를 거닐다보면 우리 전통조경을 상징하는 다양한 요소를 만나게 된다. 부석사의 안양루처럼 대웅보전에 오르는 누각 겸 문의 역할을 하는 내소사 봉래루의 ‘봉래’는 신선사상을 담은 삼신산의 한 이름이다. 전통정원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름 아니던가.

전나무 숲길이 끝난 곳에 자그만 다리 하나를 건너면 좌측에 연못 하나가 숨겨져 있다. 드라마 <대장금>을 즐겨본 애청자라면 연못 주위가 낯설지 않을 거라 하는데, 드라마를 보지 못했으니 알 수 없다. 이 연못은 직사각형 형태로 지어져 역시 전통 연못의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 삐뚤삐뚤한 자연석을 수직으로 바른층쌓기해 만든 호안석축도 그렇다.

곧바로만 다니며 구경하는 걸 싫어하는 사람들은 내소사 전나무 숲 속으로 슬그머니 흘러들지도 모르겠다. 삼림 체험장이 따로 없으니 말이다. 느릿느릿 발걸음을 옮기다 숨겨진 연못을 만날 수도 있겠고, 내소사를 돌아 가벼운 등산을 하다 지장암과 청련암 암자에 오르게 될 지도 모르겠다. 어디든 자연과 전통이 어우러진 단풍과 가을 천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