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이달의 사찰] 청풍호반 바위 위 제천 정방사 청풍아! 명월아! 바위 병풍 아래서 노닐거라
[이달의 사찰] 청풍호반 바위 위 제천 정방사 청풍아! 명월아! 바위 병풍 아래서 노닐거라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7.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바위 위 제천 정방사의 풍경.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제천] 이전에 갔던 남해 보리암의 절경을 잊을 수 없어 이번엔 제천 정방사를 들르기로 했다. 광활한 남해바다 대신 거대한 청풍호를 안고 있고 비단처럼 아름다운 금산 대신 미녀(美女)가 누워있는 듯한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금수산 능선에 살포시 내려앉은 것이 다른 점이라면 다른 점일까? 그 감동은 비슷하다. 

마침 전날 큰 눈이 내렸다. 보통 사람들은 있던 나들이 계획도 취소할 판이지만, 얼른 짐을 싸들고 제천으로 향했다. 곳곳에 눈이 쌓여있는 길을 달려 청풍호에 도착했다. 하늘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푸르고 대지는 하얀 모포를 두르고 있는 듯 고요하다. 

청풍호반을 끼고 달리다 정방사 이정표를 보고 차를 돌린다. 주차장에 차를 대고 100여m 걸어 올라가니 풍경소리가 은은하게 울리며 암자가 얼마 남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햇살이 따갑게 비쳐 눈이 한창 녹고 있기에 우선 뒷산에 올라 사진부터 찍기로 한다. 

등산로로도 꽤 널리 알려진 터라 눈이 왔다고 해서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다. 길을 따라 ‘XX 산악회’라고 적힌 리본이 친절하게 묶여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설경을 감상하러 온 등산객이 벌써 앞을 지나갔는지 발자국도 선명하다. 

발목까지 푹푹 빠지는 눈길을 조금 올라가니 광활한 청풍호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거친 숨을 몰아쉬려 입을 열었더니, ‘햐~’하는 감탄사가 나와 버린다. 전에 금산 보리암에서 보았던 그 남해 바다의 절경과 비견되는 비경이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임자에서 받은 공양. 이곳까지 올라오느라 허기진 객에게는 이보다 푸짐한 상은 없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바위틈으로는 석간수가 샘솟고 있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암자로 내려온다. 한숨 돌리려 카메라 가방을 놓고 앉아있으니 보살님 한 분이 빨갛게 잘 익은 홍시를 한 개 주신다. 
“잘 익었으니 천천히 드세요. 참, 근데 식사는 하셨어요? 식사 안하셨으면 이리로 오세요. 공양하셔야지.”
역시 사찰 인심은 후하다. 큰 그릇에 그야말로 고봉밥이 올려졌다. 김장김치, 김, 각종 산나물 무침과 그 귀하다는 송이버섯까지, 이만하면 여느 진수성찬 부럽지 않다. 일단 물 한 잔 시원하게 들이붓고 고봉밥을 잽싸게 퍼낸다. 뭐 이건 서너 번 손을 움직였을 뿐인데 금세 고봉밥이 밑바닥을 보인다. 

너무 빈한 티를 내는 것이 아닐까 해서 젓가락으로 ‘고상하게’ 밥알을 세고 있으니 고봉밥 하나가 더 나와 버렸다. 아~ 부처님, 제가 원래 이런 것은 아니었는데 나무관세음보살….

마침 주지스님은 출타중이라고 하신다. 동지가 3일 후라 바쁠 때라고 한다. 그래도 암자에 볼 것이 있으면 맘껏 보고 가라고 한다. 고봉밥 두 개의 힘이라면 어떤 것도 두렵지 않다. 

정방사는 662년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조선 후기 학자인 김창흡은 36살 때 이 곳 정방사에 들러 그 느낌을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건물의 벽과 자연의 바위가 나란히 몸을 맞대고 있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월악산과 청풍호를 자비롭게 내려다보고 잇는 해수관음상.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절은 아름다운 바위 아래에 있다. 바위는 몹시 위태롭게 우뚝 서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 샘물이 솟아난다.’

풍경을 잘 묘사한 것인지, 문장을 생각하며 풍경을 봐서 그런지 하나도 어긋남이 없다. 암자 뒤로는 거대한 한 덩이의 바위가 병풍처럼 둘러쳐 있다. 그 모습이 김창흡의 말대로 위태롭게 보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든든하고 푸근해 보이기까지 하다. 바위틈에서 쓰러질 듯이 자라나는 소나무도 신비한 느낌을 준다.

정방사의 마당에 서면 정면으로는 뾰족한 월악산이, 왼쪽으로는 구담봉이 보이고, 앞으로는 남한강이 유유히 흐른다. 충주호의 물과 땅이 맞닿은 곡선은 시간이 멈춘 듯 아름답다. 

마당에서 바라보는 석양이 절경이라 하여 저녁때까지 기다려볼 심산이지만 눈이 온 후의 개운치 못한 날씨라 걱정이 된다. 아침에 서울에서 제천으로 오기까지 방긋 웃는 해의 얼굴을 한번도 보지 못했으니 큰 기대는 하지 않아야할 듯하다. 그렇다면 내일 아침 청풍호에 드리워진 운해를 기대해 보는 수밖에 없겠다. 

석양은 결국 보지 못했다. 우중충한 하늘은 때가 되자 무심하게도 검게 변해버렸다. 잠시 동안만이라도 붉은 홍조를 띄어주기를 그렇게 바랐건만, 하늘도 무심하시지…. 

주지스님은 해가 질 때까지 모습을 보이지 않으신다. 어쩔 수 없이 정방사에 방을 하나 차지하고 하루를 묵기로 했다. 낯선 객에게 하룻밤 잠자리를 내어주는 것이 전혀 이상할 게 없다는 눈치다. 게다가 밤참이라고 누룽지도 내어주시니 감개가 무량하다. “이게 어디 제 음식인가요? 다 부처님 음식이니 그냥 드세요” 라고 말하는 보살님이 너무 고맙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암자가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 도르레 수레는 필수다.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미인봉 등산로 중간에서 내려다 본 월악산과 청풍호 전경. 2007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다음 날 아침 물안개에 대한 기대를 품고 마당에 자리를 펴고 기다렸다. 하지만 이번엔 운이 없는 것일까? 어제 저녁과는 달리 너무나 쨍쨍한 해가 산 위로 불쑥 고개를 내민다. 물안개? 물론 보지 못했다. 너무나 아쉽다. 정방사에 들르면 꼭 보고 오겠노라 다짐한 두 절경을 모두 놓치고 말았다. 

하지만 아쉬운 마음은 그리 오래 가지 않는다. 이미 정방사와 금수산은 낯선 객의 눈에 너무나 많은 절경을 드러내주었고, 마음으로 본 넉넉한 불심은 먹을거리와 세상인심에 대한 따뜻함을 확인시켜주었다. 이만하면 석양과 운해에 대한 기대 정도는 다음으로 잠시 미뤄도 좋지 않을까 싶다. 

풍경소리가 ‘땡~’하며 울리자 보살님의 목소리가 또 들린다. 
“아침 공양하러 오세요!”
어느새 낯선 객은 작은 암자의 주인인 양 요사채를 향해 뛰어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