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시간여행] 가을이 깊어가는 외암민속마을 5.3km 옛 돌담길의 낭만
[시간여행] 가을이 깊어가는 외암민속마을 5.3km 옛 돌담길의 낭만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7.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외암민속마을 돌담길.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아산] 우리나라에서 전봇대, 전깃줄이 없는 유일한 곳이 있으니 충남 아산의 외암마을이다. 조선시대 마을의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이곳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전깃줄을 모두 땅 속으로 매설한 것이다. 그래서 더욱 말끔한 가을 하늘을 만날 수 있는 충청도 선비마을을 찾아보았다. 

사실 요즘엔 외국에 나가도 낯선 풍경은 그리 많지 않다. 하늘을 뚫을 듯한 마천루는 이미 익숙한 도시 풍경이고, 웬만한 편의시설은 우리도 못지않기 때문이다. 그랬는데 외암민속마을 안에 세워진 ‘참판댁’이란 이정표 앞에서 갑작스레 생경함이 밀려와 발걸음을 주저주저하였다. 눈앞에 보이는 ‘참판댁’이라는 단어가 갑자기 너무나 생생하다. 채 100년도 되지 않은 시간 전, 어머니 뱃속의 기억처럼 먼 심연으로 가라앉아 있던 우리 선조들의 삶이 한순간에 피부에 전달되어온 것일 게다. 그것은 분명 TV 사극 속에서 탤런트 임현식 씨의 입을 통해 ‘참판 나리~’라는 말을 들을 때와는  또 다른 느낌이다.

최근 3~4년 사이 이곳 외암마을도 많이 알려져 주중에는 체험학습을 하는 꼬마 유치원생들이, 주말에는 관광버스를 타고 구경 오는 손님들이 줄을 잇는다. 호젓함이 사라지는 것이 못내 아쉽지만 이 좋은 것을 어찌 나만 보자 욕심낼까.  

이곳이 용인의 민속촌과 달리 인기를 끄는 데는 과거의 마을 모습이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어 있기 때문이고, 또한 실제로 많은 주민들이 살고 있어 사람의 온기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한복 대신 점퍼에 작업복 바지 차림이지만 이곳 주민들은 그 예전 조상들이 그랬을 듯한 모습으로 여전히 기와집 혹은 초가집 아래서 일상을 채우고 계절을 난다. 어둑한 저녁 굴뚝으로 나무 때는 연기가 솔솔 피어오르는 모습도 오랜만에 이곳에서만 만날 수 있는 풍경일 게다.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건재고택 앞길이 최고의 돌담길로 손꼽힌다.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마을을 지키는 장승이다. 일단 이들과 눈을 맞추어 방문 신고식을 하고 작은 다리를 건너 마을 안으로 들어간다. 작기는 해도 마을을 둘러싸고 실개천이 흘러 돌아나가는데 그 때문인지 마을 정경이 한결 푸근하고 안정감 있다.

그런데 알고 보면 이 물길에 특별한 연유가 있다. 마을 뒤에 위치한 주산(主山)인 설화산이 불의 기운을 품고 있다 하여 옛사람들이 ‘화’의 상극인 물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산 계곡에서 흐르는 물길을 인위적으로 터서 마을 안을 통과하게 했다. 이 물로 생활용수를 하고 마당에 연못도 만들고 일부는 마을을 휘감아 도는 내를 만들어 여름에는 아이들이 멱을 감았다. 충남 아산시에서 펴낸 자료집 <외암민속마을>에는 이를 두고 “‘화’를 제압한다는 것은 그 근본 개념이 자연과 인간과의 상호조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 말한다.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고즈넉한 기와지붕.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외암민속마을의 규모는 약 1만8800㎡(6만2000평), 이 안에 현재 65가구 180명 정도가 살고 있다. 본디 이 마을의 주인은 평택 진씨였으나 평택 진씨 참봉 진한평이 이사종을 사위로 맞은 후 마을이 번성하게 되어 예안 이씨의 집성마을로 더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안타깝게도 진참봉은 후손이 끊겨 오늘날 예안 이씨와 의령 남씨, 파평 윤씨가 외손봉사를 한다. 그러나 옛날부터 팔도에 소문난 거부(巨富)의 그 위세가 여전하여 오늘날에도 진참봉 제사를 지내기 위한 농토가 12마지기나 된다고 한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의암마을을 찾은 날 갑작스레 태풍경보가 나는 바람에 마을엔 외지인의 그림자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다. 심지어 마을 사람들도 나다니지 않으니 홀로 타임머신을 타고 조선시대로 돌아온 것이 아닐까 하는 착각에 빠질 정도다. 위압감이 없는 순박하기만 한 초가집, 담장 너머로 보이는 날렵한 기와, 야물게 익어가는 붉은 단감, 담장 밑에 맨드라미가 일체의 소음도 없는 적막 속에 조용히 어우러져 있다.

슬쩍 열린 참판댁 대문 안도 기웃거려보고, 낮은 돌담 위에서 ‘세상에 뭔 걱정 있슈~’하는 얼굴로 태평하게 익어가는 노란 박도 구경한다. 그러다 커다란 우산을 쓰고 옆집으로 마실을 가는 동네 아주머니를 보고 반가운 마음에 말이라도 걸어볼까 했더니 아주머니 눈에 ‘억수같이 비가 오는데 뭔 귀경(혹은 청승)이여~’하는 걱정이 역력한지라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고 말았다. 

외암마을 여행의 최고 하이라이트는 끝없이 이어지는 야트막한 돌담길을 걷는 일이다. 외암마을이 유명해지기 전 알음알음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이 찾았던 이유도 이 돌담길의 매력 때문이었다. 봄이면 개나리가 담장을 수놓고 여름이면 푸르른 녹음이, 가을엔 단풍이, 겨울에는 흰 눈이 소복이 쌓인다. 이곳의 문화해설사 양재영 씨는 이 돌담길을 두고 “어느 시기를 꼽을 수 없을 정도로 사시사철 아름답다”며 감탄사를 연발한다.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마을 내 여진네 민박집. 오래된 재봉틀과 큼지막한 호박이 반갑다.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100년 전과 다름없이 풍성한 가을 들판. 2007년 10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예로부터 이 지역은 돌이 많고, 양반이 많고, 공부 많이 한 사람이 많으니 자연 말 잘하는 사람이 많다고 하여 외암마을의 삼다(三多)가 전해져 내려온다. 마을을 일굴 때 땅 밑의 많은 돌을 뽑아 담으로 만들었는데 이것이 지금은 이 마을 최고의 명물이 된 것이다. 

웬만한 성인이라면 담 너머 집 안의 모습을 슬쩍슬쩍 엿볼 수 있는 높이다. 그러고 보면 한옥이 그렇고 한지가 그렇다. 서양은 물론 심지어 중국이나 일본도 폐쇄적인 가옥 구조인 데 반해 오히려 자연 속에 어우러져 그 정취를 함께 나누는 것이 우리의 미학이다. 슬쩍슬쩍 발뒤꿈치를 들어 집 안을 엿보는(!) 재미가 만만치 않다. 그 옛날엔 이 담장 너머로 도련님 글 읽는 소리가 낭낭히 들렸을 것이고, 집 안 정원을 산책하는 대감님 갓이 언뜻언뜻 스쳤을 것이고, 가끔은 청춘남녀의 연서(戀書)가 돌에 묶여 오갔을지도 모르겠다.

사람과 사연은 사라졌지만 무심한 돌담은 여전히 남아 어렴풋한 세월의 흔적을 전한다. 그 담이 무려 5.3km에 이른다. 모처럼 낮은 담을 두고 끝없이 상상과 현실이 공간을 넘나들고, 시간을 초월한다. 올가을 운치 있는 어딘가를 무작정 걷고 싶다면 단연 외암마을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