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마을을 찾아 ②] 혼자보기 아깝다! 파주 해마루촌 웰컴 투 DMZ 
[특집 마을을 찾아 ②] 혼자보기 아깝다! 파주 해마루촌 웰컴 투 DMZ 
  • 서태경 기자
  • 승인 2008.02.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파주 해마루촌으로 들어가는 길.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여행스케치=파주] 특수지역인데다 아무나 들어갈 수 없어 궁금증만 더해지는 곳 DMZ. 그러나 무조건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최근 일반인들에게 개방을 하기 시작한 파주 동파리의 해마루촌만 해도 그렇다. 지역 특성상 생태·안보·농촌·역사 체험이 모두 가능한 마을로 태어난 DMZ 속 해 뜨는 언덕 ‘해마루촌’. 그곳에서 보낸 특별한 하루. 

DMZ라는 소리만 들으면 괜히 긴장이 된다. 아마 가고 싶다고 갈 수도, 또 아무나 들어갈 수도 없는 곳이라는 인식 탓일 게다. 하지만 가끔 TV를 통해 보아온 DMZ는 그림의 떡을 넘어 무슨 수를 써서라도 한번 가보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이다. 그래서 해마루촌 앞에 붙은 DMZ라는 글자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해마루촌 전경.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해마루촌은 원래 장단군에 속했지만 분단 후 파주에 편입되어 지금은 파주시 진동면 동파리로 주소지가 바뀌었다. 과거의 아픔이야 말해 무엇할까. 휴전선과 가까운 탓에 한국전쟁 당시 가장 먼저 초토화되었고 이곳 주민들은 고향을 지천에 두고도 갈 수 없는 기막힌 신세가 되어버렸다. 1973년부터 출입영농을 허가하기 시작했지만 당시 이 동네서 살던 사람들 대부분이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고, 또 다른 실향민, 정확히 말해 ‘소개민(疏開民)’이라는 이름으로 50여 년을 살아가고 있다. 

1952년 파주 일대에 살던 주민들에게 일주일만 나가 있으면 곧 들어와 살게 해주겠다던 정부의 약속은 2001년이 되어서야 일부 지켜지게 되었다. 고향에 가 살게 해달라는 1세대 소개민들의 간곡한 탄원으로 1998년 국방부는 엄격한 심사를 거쳐 단 60가구의 입주만을 허가한 것. 2000년 말 마을 부지가 조성되어 2001년 5월 첫 입주를 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51가구 140여 명이 모여 살고 있다. 모두 장단군이 원적인 사람들이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전쟁 당시 인민군이 최초로 남침한 길.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조 위원장이 옛 고려장 흔적을 설명해주고 있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전진교를 사이에 두고 새로운 세상으로
군사분계선과 가까운 까닭에 해마루촌이 가까워질수록 군인들이 눈에 많이 띈다. 특히 혹한기 훈련이라고 해 다른 지역의 부대가 훈련을 위해 이곳을 많이 찾는다는데 죄지은 것도 없는데 왜 이리 긴장이 되는지…. 얼마 지나지 않아 민간인은 달랑 나 하나뿐인 삼엄한 경계 속으로 들어와버렸다. 

전진교 앞이 민간인으로서는 최대로 접근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미리 약속한 마을위원장을 만나 신분증을 맡기고 따라 들어갔다. 이렇게 떨리는 여행은 처음이다. 정말 저 안에 마을이 있기는 한 걸까. 이 생각 저 생각을 하며 앞 차를 쫓아가다보니 해마루촌이라는 표석이 보이고 이내 옹기종기 들어앉은 예쁜 집들이 눈에 띈다. ‘웰컴 투 해마루촌’.

팜스테이 마을로 선정이 되었지만 아무래도 비무장지대 안에 자리하다보니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른다는 것이 조봉연 위원장의 설명이다. “정부에선 농촌체험마을로 선정을 해주었지만 여기 군부대에선 보안을 위해 까다롭게 하다 보니 훌륭한 자원을 두고도 활성화하기가 어렵다”는 것. 실제 이곳은 50여 년간 인적이 끊겼던 곳이라 희귀식물과 곤충, 어류, 조류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이를 제대로만 활용하면 큰 효과를 낼 수 있는데 현실이 그렇지 않은 것이 못내 아쉽단다.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덕진산성에서 바라본 임진강. 2008년 3월. 사진 / 서태경 기자

문화재급 유적이 수두룩한 생태 보고
생태계가 오롯이 보존된 것은 여느 비무장지대의 공통점이지만 해마루촌은 문화재급 유적이라는 보다 특별한 콘텐츠를 갖고 있다.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과 가까운데다 임진강을 중심으로 무역 또한 활발했던 까닭에 자연스레 많은 사람이 모여들었다. 유적지가 많은 것도 어찌 보면 당연한 일. 구석기 유적 20여 군데를 비롯해 허준 선생 묘, 마애사면석불, 고려벽화묘, 고구려 덕진산성, 고려장 흔적지 등 알려지지 않은 초특급 유적이 수두룩하다.

사실 농촌이나 생태관광보다도 더 욕심나는 것이 바로 이 유적지 탐방이다. 하지만 개인이 찾아가기는 어렵다. 혼자서는 비무장지대를 다닐 수도 없을뿐더러 어디에 유적들이 있는지는 마을 관계자만이 알고 있기 때문. 함께 가이드 동행하는 형태로 주변을 둘러볼 수 있는데 슬쩍 보더라도 5~6시간은 훌쩍 지나버릴 정도로 광범위하다. 또 지역이 지역이다 보니 연구나 발굴도 뒤늦게 이루어졌고 아직은 조사해야 할 것들이 더 많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곳은 남한에는 거의 전무하다고 알려진 고구려 유적인 덕진산성. 고구려 시대에 쌓은 성을 신라, 조선에 이르기까지 복원·이용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6·25 때 군인들이 만든 토치카 등의 흔적도 찾아볼 수 있다. 위에서 내려다보이는 임진강과 초평도가 말을 잃게 할 정도로 압권이다. 한때는 장갑차가 지나다녔을 정도로 얼음이 꽝꽝 얼었다는 여울목이나 지금은 미루나무와 갈대로 우거진 초평도를 보고 있자니 그저가슴이 먹먹해진다. 

얼음이 깨지려는 건지, 얼음판 밑으로 흐르는 물소리도 혼자 듣기 아깝다. 처음엔 기차소리인 줄 알았는데, 그럴 리 없다. 난생처음 듣는 희한한 소리에 짧은 감탄사만 내뱉는 부족한 내 표현력을 탓하는 수밖에. 초평도를 좀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곳이 이장포구다. 이장포구는 마포에서 뜬 배가 고랑포나루터로 가기 전 쉬었다 가던 곳으로 주변엔 자연스레 저잣거리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그런 흔적조차도 남지 않았을 정도로 허허롭기만 하다.

쉽게 가지 못하는 곳을 밟아봤다는 쾌감 때문일까, 아니면 역사 속 한순간을 걸어본 까닭일까. DMZ에서의 하루, 비록 그 시작은 삼엄했지만 예상치 못했던 매력에 흠뻑 빠져 마음은 이미 무장해제되어 있었다. 다만 아까운 점은 생태계는 말할 것도 없고 비무장지대 안에 들어서 있는 그 많은 유적들이다. 대부분이 도굴꾼들에 의해 알려졌을 정도로 아직은 제대로 된 연구도, 조사도 이루어지지 않아 아쉬움을 더한다. 해 뜨는 언덕 해마루촌에 진짜 환한 햇살이 비추는 그런 날을 기대해본다.

Tag
#파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