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동굴계곡여행] 대금굴과 너와집, 삼척 대이리 골말 깊은 산속, 자연과 사람이 부려놓은 마술
[동굴계곡여행] 대금굴과 너와집, 삼척 대이리 골말 깊은 산속, 자연과 사람이 부려놓은 마술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대금굴은 원시시대 모습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동굴이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삼척]백두대간 마루금이 지나는 삼척 덕항산 기슭의 깊은 산골인 골말은 천연의 계곡과 동굴을 간직하고 있다. 환선굴을 비롯해 작년부터는 태고적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대금굴이 개방되어 찾는 이들이 더욱 많아졌다. 환상적인 대금굴의 모습과 함께 화전민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골말의 소박한 풍경을 소개한다.

구불구불한 길을 차로 달려 대이리 동굴지대에 다다른다. 이곳엔 우리나라 대표 동굴 환선굴과 작년부터 관광객들에게 개방된 대금굴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주차장에 차를 대고 매표소를 지나면서부터 시원한 협곡의 바람에 더위가 잠시 주춤한다. 계절에 맞춰 화려하게 핀 꽃들은 여행객들의 사진 친구다. 꽃망울 사이로 웃음 띤 얼굴들이 하나둘씩 카메라를 향해 V자를 그리고 있다. 

이곳은 ‘골말’이라 불리는 곳이다. 태백산 주능선의 하나인 덕항산에서 갈라진 촛대봉, 향로봉, 미륵봉, 양터목이 병풍처럼 드리워져 있다. 험준하기 짝이 없는 산악지대에 옥수수와 감자 등을 농사지어 먹던 화전민들의 보금자리였던 이곳은 전쟁과 가뭄, 돌림병이 들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명당이라고 한다. 정확한 이유야 전문가가 아니어서 알 수 없지만 넓은 입구를 지나 마치 주머니처럼 세 방향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 마치 어머니의 뱃속으로 들어온 기분마저 든다.  

이 첩첩산중 지하엔 수많은 석회동굴이 거미줄처럼 연결돼 있다. 대표적 동굴인 환선굴과 대금굴을 비롯해 사다리바위바람굴, 양터목세굴, 덕밭세굴, 큰재세굴 등이 모두 인근에 있다. 도시의 지하세계와는 다른 원시의 지하세계인 셈이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매표소 주변. 단체관람객이 많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명실상부한 동굴 박물관, 대금굴
멀리 보이는 촛대봉을 바라보며 길을 걷는다. 마침 단체여행 온 학생들로 골말은 인산인해를 이룬다. 한적한 분위기가 어울릴 만한 장소이건만 이렇게 왁자지껄한 소풍 분위기도 봐줄 만하다. 계곡의 골을 따라 학생들의 웃음소리가 이어진다. 

길을 따라가면 대금굴로 가는 구름다리가 나온다. 현장에서 표만 끊으면 들어갈 수 있는 환선굴에 비해 대금굴 가는 길은 한적하기만 하다. 대금굴은 인터넷 예매만 되고 관람객수를 철저하게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무 데크로 이어진 270m의 길은 어느 삼림욕 시설 못지않게 훌륭하다. 길을 따라 밑으로 흐르는 계곡물은 보기만 해도 시원해 흐르는 땀을 눈으로 식혀준다. 푸른 나무들은 피톤치드를 한껏 발산해 기분까지 상쾌하게 한다. 꼭 대금굴에 입장하지  않더라도 한번쯤은 걸으며 삼림욕을 즐겨도 좋다. 

울창한 숲길을 조금 더 오르면 대금굴로 가는 은하열차를 탈 차례다. 대금굴은 국내 최초로 모노레일을 타고 입구까지 들어갈 수 있는 동굴. 610m에 이르는 긴 레일을 타고 협곡을 향해 미끄러져 올라가는 모습이 신기하면서도 운치 있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동굴 입구를 지나자 모노레일이 거의 벽에 닿을 듯 비좁아진다. 140m를 더 지나 모노레일에서 내리니 바깥과는 다른 찬 기운이 온몸을 휘감는다. 전광판에 적힌 실내온도는 14℃, 겉옷이라도 하나 걸쳐야 할 듯하다. 

처음부터 귀를 먹먹하게 만들던 소리가 무엇이었나 확인해 보니 8m 높이의 거대한 폭포인 비룡폭포였다. 과연 이곳이 지하세계가 맞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상상 속에서만 생각하던 지하세계는 이렇게 거대한 폭포로 여행객을 맞는다. 

동굴 속으로 들어가며 커튼광장과 모래시계광장을 둘러본다. 대금굴은 동굴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종류의 종유석과 석순, 석주들을 간직하고 있어 가히 ‘동굴박물관’이라고 부를 만하다. 유난히 물이 많아 ‘물골동굴’이라고도 불리는 대금굴의 속살은 별천지에 온 듯 황홀하기만 하다. 

모래시계광장은 대금굴에서 가장 진귀한 석순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여의봉’이라 불리는 석순은 그야말로 ‘가늘고 긴’ 인생을 살고 있다. 높이가 3.5m가 되지만 평균 지름이 5㎝에 불과해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툭하고 끊어질 듯하다. 생명의 문을 지나 용소에 이르면 고요한 물줄기가 소리 없이 발밑으로 흐른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환상적인 조명과 어우러지는 대금굴의 아름다운 모습.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저 용소의 깊이는 무려 9m나 됩니다. 거대한 지하 호수인 셈이지요. 보시다시피 물이 너무 깨끗해서 바닥까지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랍니다.”

안내원의 소개대로 바닥까지 훤히 보이는 호수건만 낮은 기온에 시퍼런 물속을 생각하니 등골이 오싹해진다. 

용소를 지나 백두산 천지를 닮은 천지연에 이르면 대금굴 관람은 끝난다. 하지만 동굴은 끝나지 않는다. 언젠가는 탐사를 통해 더 연장이 되겠지만 현재는 천지연이 종점이다. 학자들은 이곳을 이어가면 환선굴과 만날 것이라고들 이야기하는데 언젠가는 하나의 동굴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화전민의 삶을 둘러보다
대금굴을 나와 환선굴로 향한다. 환선굴도 내년 말 즈음엔 모노레일을 타고 동굴 입구까지 갈 수 있게 만들 계획이라는데, 그때까진 만만치 않은 등산 아닌 등산을 해야 할 것 같다. 그래도 오르는 길에 꽃도 많고 볼거리가 많아 그렇게 힘들지만은 않다. 

오른쪽으로 작은 움막 같은 것이 눈에 뜨인다. 
“저거요? 통방아래요. 옛날 방앗간이라 하던데….”

수학여행 온 한 초등학생이 선생님에게 들었는지 어쨌는지 넌지시 말해준다. 그러고 보니 앞부분에 있는 통나무에 물이 가득차자 ‘쿵’하고 나무가 내려앉았다가 물이 빠지면 다시 올라온다. 아마 반대편에선 그 힘으로 방아를 찧게 될 것이다. 일단 사람이 밟지 않아도 되니 편리할 것이고, 크기가 크니 힘도 셀 것이다. 하지만 물이 차는 시간이 너무 더디다. 저래 가지고 하루에 얼마나 일을 할 수 있을지…. 하지만 안내판의 설명에 의하면 하루에 벼 두 가마를 찧었다니 제법 밥값은 했었나 보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화전민들의 방앗간이었던 통방아. 사람이 없어도 알아서 일만 잘하던 농사꾼이었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골말에서 가장 흥미로운 볼거리는 200~300년도 훨씬 넘게 자리를 지키고 있는 굴피집과 너와집이다. 더구나 이 집들엔 아직도 사람이 살고 있어 더욱 놀랍다. 굴피집은 겉으로 보기엔 굴피(참나무 껍질)로 엮은 지붕으로 비가 다 새고 바람도 못 막을 것처럼 허술해 보인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200여 년을 거뜬히 버텨온 집이다. 

맑은 날 조금씩 틈이 벌어져 있던 굴피 지붕은 습기를 머금으면 부풀어 올라 물 샐 틈 없는 완벽한 지붕이 되고, 겨울엔 눈이 덮이면서 그 무게에 눌려 틈이 없어진다. 조상들의 지혜가 그저 감탄스럽기만 하다. 굴피집 바로 위쪽 언덕에 자리한 너와집은 보수가 한창이다. 그래도 혹시나 해서 들어가 보니 집주인 할머니가 나타나신다. 

“거서 있지 말고 들어와 구경해여.”
여행객들이 하도 들락날락 해서인지 별 거부감 없이 자신의 세간을 보여준다. 아직도 모락모락 김을 내며 밥을 지을 수 있을 것 같은 가마솥이 더없이 정겹다.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대금굴 정류소 부근의 물레방아와 굴피집. 2008년 6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이것이 코클이라고, 귀한 거 보는 거래요.”
과연 방 한쪽엔 흙으로 만든 벽난로 같은 것이 있다. 밤에 불을 지펴서 방을 밝히고 난방의 용도로도 쓰이던, 말하자면 벽난로와 같은 구실을 했던 거란다. 지금이야 여기도 전기가 들어와 이제는 쓰이지 않는 옛 물건이 되어버렸지만, 전기도 석유도 없던 시절엔 획기적인 생활용품이 아니었을까 싶다. 

화전민의 삶이 고스란히 간직되어 있는 굴피집과 너와집을 둘러보며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온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어느 것 하나 세련되고 편리한 것은 없지만 이유 모를 푸근함이 느껴진다. 처음 골말에 들어왔을 때의 그 느낌처럼 말이다.그나저나 너와집에서 나와 환선굴에 오르는 길이 만만치 않다. 조금 더 길이 가파라졌을 뿐인데 벌써부터 숨이 꼴딱꼴딱 넘어간다. 그래도 시원한 동굴 바람이 자꾸만 생각나 꾸역꾸역 길을 오른다. 조금만 기다려라, 환선굴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