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특집 꼭 가봐야 할 가을 길] 제주도 오름 트레킹 촘말로 아름다운 오름 “왕 놀멍 놀멍 보고 갑서”(와서 천천히 보고 가세요)
[특집 꼭 가봐야 할 가을 길] 제주도 오름 트레킹 촘말로 아름다운 오름 “왕 놀멍 놀멍 보고 갑서”(와서 천천히 보고 가세요)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름의 풍경.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제주] 제주도에선 어느 곳을 가든지 기묘한 모양을 하고 있는 기생화산인 오름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오름들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섬 전체에 368개가 산재하고 있다. 최근 이 오름들이 트레킹 코스로 개발되어 사람들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그 중 가장 가볼만한 오름들을 직접 올라봤다. 

섬 전체 면적에 비해 360여 개나 되는 오름은 세계에서도 인정하는 기록이다. 그만큼 제주도에서는 별 어려움 없이 오름들을 찾을 수 있고 각 오름들을 연결하면서 걷기가 수월하다. 더구나 제주시를 중심으로 동부 지역 및 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산업도로와 지역 순환도로들이 생기면서 많은 시간과 노력 없이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아부오름 주위에서 풀을 뜯는 한우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름은 저마다 크기나 형태가 달라 제주만의 자연미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곳에 따라서는 신비한 전설과 태초의 원시림을 자랑한다. 오름은 제주인들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 예로부터 제주의 선조들은 오름에 소, 말 등을 방목했고, 오름을 통해 위치나 방향을 알아냈다. 또한 삶을 마감하고서도 오름을 중심으로 묘를 써 오름은 산 자에게도, 죽은 자에게도 고향 역할을 했다. 오름 허리에서 소나 말, 양떼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는 모습은 여느 외국의 풍경 못지않다. 어느 곳이나 억새와 갈대가 한들거리는 가을 풍경 또한 절경이다. 

제주도에서 오름을 집중적으로 볼 수 있는 곳은 동부 지역이다. 그 중 중산간도로를 거점으로 사방의 길가에 여러 오름이 모여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곳에는 아부오름, 다랑쉬오름(월랑봉), 거문오름, 용눈이오름, 높은오름 등이 줄줄이 늘어서 있다. 

아부오름으로 발길을 옮긴다. 제주도의 오름은 대부분 올라가는 길이나 입구가 불분명하다. 제주도 토박이라 할지라도 정확한 길을 알고 있는 이가 드물 정도다. 이름이 있는 거문오름, 다랑쉬오름, 물찻오름 정도라면 모를까, 웬만한 오름은 그 입구부터 찾기 어렵다. 다행히 아부오름은 도로 중간에 표지석이 세워져 있고, 철조망이 둘러처져 있지만 사람들이 충분히 드나든 흔적이 있어 비교적 수월하게 들어갈 수 있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아부오름 표지석.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적당한 곳에 차를 세워놓고 철조망을 넘는다. 분명 이보다 더 좋은 길이 있으련만 제주도 사람들이 이 길을 알려주니 별 도리가 없다. 아부란 말은 ‘앞’이란 의미이다. 표지석에도 ‘앞오름’이라 적혀 있으니 외지인들은 아부오름을 앞에 두고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부오름은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해발은 300여m이지만 비고(땅에서 봉우리까지의 높이)가 51m 정도라 약 10분 정도면 정상에 이른다. 물론 시간이 짧은 만큼 경사는 심한 편이다. 게다가 정식으로 난 길이 아니라 사람들이 자주 오르내리면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길이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 

숨을 깔딱거리며 정상에 이른다. 땀을 닦아내고 별 생각 없이 분화구를 내려다 보는데, 그만 소리를 내지르고 만다. 평범한 뒷동산처럼 보였던 오름의 정상엔 거대한 굼부리(분화구)가 있다. “아, 이것이 오름이구나” 절로 탄식을 내뱉는다. 

굼부리의 깊이가 78m. 바깥의 땅보다 깊이 꺼져 있는 셈이다. 그 굼부리의 가운데엔 삼나무가 심어져 있는데,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은 아니고 영화 <이재수의 난> 촬영 당시 심어놓은 것이라 한다. 말하자면 일종의 세트장 같은 것인데, 인공적으로 심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굼부리를 심심하지 않게 해주어 오히려 잘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름으로 가는 길에 피어 있는 도라지꽃.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아부오름의 굼부리에는 영화 촬영에 쓰인 삼나무들이 심어져 있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거대한 굼부리는 마치 축구장을 연상시킬 만큼 넓다. 내려가 보고픈 마음이 굴뚝같지만 경사가 워낙 심하고 위험해 보여서 그만 둔다. 그리고 자연 훼손 때문에 굼부리 밑으로 내려가는 것은 관리하는 곳에서도 금지하고 있기도 하다. 

“앗, 소똥!”
사진을 찍는데 열중하며 발길을 옮기다 발바닥이 미끌미끌하여 내려다보니 소똥이렷다. ‘아니 신성한 곳에 웬 소똥’이라고 생각하려니 오름 곳곳에 소들이 유유히 풀을 뜯으며 뭐 대단한 거 밟았냐는 둥 나를 쳐다보고 있다. 사실 아부오름은 한 목장의 사유지여서 오름 곳곳에서 한우들이 방목되고 있다. 그 목가적 정취가 색다른 느낌을 준다. 비록 똥은 밟았지만 말이다. 

다음엔 어느 오름을 오를까 생각하다 마침 오름에 올라온 이를 만나 저기 보이는 오름들은 어디인지를 물어본다. 

“어디 봅시다. 저 뒤쪽이 영주산이니까, 저기가 높은오름이고 그 뒤쪽이 월랑봉인가? 아니다. 저기가 어딘가? 영주산 앞은 백약이고…, 가만있어 봅시다. 아이고 나도 헷갈리네요.”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다랑쉬오름 표지석.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제주에서는 말을 방목해서 키우는 곳이 많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제주도에서 관광택시 가이드를 하고 있다는 분도 어찌나 오름이 많은지 정확한 방향을 모를 지경이다. 실제로 사방에 비슷하게 생긴 오름들이 흩뿌려져 있어 어디가 어딘지 잘 구분이 되지 않는다. 그래도 다랑쉬오름은 꼭 올라보란다. 동부 쪽에서는 가장 높고 큰 오름이라 하니 찾기는 쉬울 듯하다. 

다랑쉬오름은 입구가 정말 잘되어 있다. 주차장도 ‘완비’되어 있고 표지석이나 설명판도 잘 되어 있다. 가장 마음에 드는 건 오르는 길이 잘 정비되어 있다는 것인데, 처음에는 나무계단으로, 나중에는 고무를 덧댄 등산로처럼 이어져 트레킹 코스로 손색이 없다. 다랑쉬오름은 비고 227m로 꾸준히 걸으면 정상까지 40분 정도 걸린다. 경사는 가파르지만 길을 완만하게 지그재그로 만들어놓아 그렇게 위험하거나 힘들지는 않다. 

동부 쪽에서는 가장 높은 오름이다보니 높이가 더해갈수록 주변 경관이 장관으로 변해간다. 길을 오르는 내내 오른쪽으로 보이는 ‘아끈(작은) 다랑쉬오름’의 모습이 점점 둥근 모습으로 변하며 이윽고 그 분화구까지 내보일 때면 발길을 멈추지 않을 수 없다. 저 멀리 안개 사이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성산 일출봉과 우도다.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의 능선은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고, 길 곳곳에 피어 있는 이름 모를 야생화들은 등산하는 재미를 쏠쏠하게 해준다.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다랑쉬오름에서 본 작은 다랑쉬오름. 2008년 9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드디어 정상에 오른다. 오르는 길이 그리 힘들지는 않건만 온몸은 벌써 땀으로 한 번 젖었다가 선선한 바람에 식어 허연 소금으로 변해버렸다. 그리고 발견하는 거대한 굼부리. 아부오름의 거대함이 아기자기함으로 바뀌는 순간이다.  

다랑쉬오름의 굼부리 깊이는 115m로 백록담과 맞먹고, 둘레는 1.5km에 이른다. 다 올라왔다는 안도감이 사라지기도 전에 엄청난 둘레를 한 바퀴 돌 생각에 다리에 힘이 빠질 지경이다. 하지만 굼부리는 햇빛의 방향에 따라, 또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천양각색의 모습을 보이기에 포기할 수 없다. 

다랑쉬오름 주변 지역은 제주4·3사건 때 유격대원들이 활동한 요충지였다. 제주사람들에겐 그 무엇보다 아픈 사건이었으니 다랑쉬오름의 아름다움에는 제주민들의 영욕의 세월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셈이다. 

오름의 둘레를 둘러보는 데는 약 30분 정도가 걸린다. 굼부리 안에서는 구름 사이를 비집고 나온 햇빛이 이리저리 옮겨 다니고, 능선을 따라 부는 시원한 바람은 내 몸을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