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여행의 발견] 경북 군위의 숨겨진 보물을 찾아 “우야둥둥 돌이 이래 많아요” 
[여행의 발견] 경북 군위의 숨겨진 보물을 찾아 “우야둥둥 돌이 이래 많아요” 
  • 송수영 기자
  • 승인 2008.09.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차곡차곡 쌓인 돌들을 보라. 손으로 일일이 쌓은 것이라 더 정겹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군위]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진가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사람들로 북적이는 여행지에서는 느끼지 못한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자유 여행자라면 경북 군위에 한번 눈을 돌려볼 일이다. 

“아이고야 써울서 이 먼 데 오셨십니꺼?”  
‘이 누추한 집에 부끄럽게…’하며 멀리서 온 집안 손님 맞는 모양으로 경북 군위 사람들은 여행객을 맞았다. 뒤이어 터져 나오는 “여어서 뭐 볼끼라꼬…” 하는 푸념 속에는 자기 것을 잘 포장해서 내보이지 못하는 경상도 사람들의 투박함과, 또 한편으로 진심으로 재미없는 여행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순박한 걱정이 함께 녹아 있었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돌담 위로 꽃이 피어 흐드러졌다. 한참 발길을 붙잡는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그러나 사실 “ 우예 벤벤한 게 있나?” 하는 은근한 이들의 걱정도 이해가 가는 것이 경북 군위는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 곳은 아니다. 여행은 물론 심지어 군위라는 이름도 생소하다는 이가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 

아마도 이렇게 군위가 여행지에서 배제되어온 데는 우선 지리적인 요인이 클 것이다. 경북 깊숙한 내륙에 위치해 있어 오랫동안 접근이 쉽지 않았던 데다가 바로 아래 대구라는 큰 도시에 가려 있었던 면도 있었다.

이런저런 이유로 아무튼 여행지로서의 인프라는 아직 잘 개발되지 않은 상태. 그러나 성긴 그 매무새가 오히려 더 신선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군위는 특이하게도 돌과 관련된 명소가 두 군데 있다. 그곳을 중심으로 이 생소한 고장을 돌아보았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상매댁 앞에 있는 대청. 조선 초에 학사로 건립된 것이다. 이제는 마을 어르신들의 사랑방이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꼬불꼬불 낭만의 돌담길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한밤마을’은 옛 경관이 그대로 보존된 돌담이 유명하다. 문화재청 등이 전국의 돌담을 돌아보고 그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고 보존이 잘된 곳으로 평가하기도 한 곳이다.  

그러나 이곳에 이렇게 아름다운 돌담이 생긴 데에는 가슴 아픈 사연이 있다. 1930년에 큰  홍수로 팔공산 자락 한쪽이 무너져 내린 엄청난 사건이 있었단다. 그때 휩쓸려 내려온 돌이 온 마을을 뒤덮었고, 자연 엄청난 인명, 재산 피해가 뒤따랐다. 지금의 돌담은 바로 그때 마을을 덮친 돌을 처리하느라 만들어진 것이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상매댁의 유명한 암수 잣나무와 그 아래 인상적인 너럭바위.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군위의 문화관광해설사 유미옥 씨는 “생각해보이소, 그때는 지금처럼 포크레인도 없었다 아임니꺼? 이기 다 사람들 손으로 일일이 만든 기라요” 한다.

돌담의 길이가 총 1600m가량이라는데 언뜻 보아도 그 노고를 짐작할 수 있겠다. 비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아래는 큰 돌을,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돌을 얹었다. 자연재해로 경황이 없는 와중에 이를 현명하게 대처해낸 조상들의 지혜와 땀이 돌 하나하나에 켜켜이 쌓여 있다. 
  
그러나 이제는 세월에 아픔도 원망도 다 씻겨 지나가고 태평스레 이끼 낀 돌담의 낭만만이 남았다. 다만 돌담 위에 자리를 잡고 ‘세월아 네월아’ 몸집을 불려가는 호박들의 태평스러움이야 옛 모습 그대로일 터. 천금 같은 바람이 불어오자 초록의 담쟁이덩굴들이 한바탕 춤을 춰댄다. 실로 오랜만에 느껴보는 호젓함이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고택 전경.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이 마을은 오랫동안 개발의 뒤안길에 처져 있었던 덕분(?)에 돌담뿐만 아니라 오래된 가옥들도 적잖이 남아 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곳이 상매댁(上梅宅)으로, 1836년에 지어진 가옥이다. 이 고택 역시 어른 키를 넘지 않는 돌담이 아늑하게 둘러처져 있다. 안으로 들어가보니 장독대며 잔디며 손질이 잘 되어 있다. 한옥이 손이 보통 가는 것이 아닌데 깔끔한 품새가 후손들이 지금까지 짱짱하다는 얘기다.    

고택도 고택이지만 다른 곳과 달리 이 집 여기저기엔 올망졸망 돌이 많다. 원추리 피어 있는 장독대 아래엔 작고 아담한 수십 개의 돌탑이, 댓돌 곁엔 보름달처럼 튼실한 둥근 돌덩이가 자리하고 있다. 무엇보다 오래된 암수 잣나무 아래쪽에 있는 커다란 너럭바위는 웬만한 정자보다 풍취가 좋다. “이기 좀 보래요. 엄청나게 크다 아입니꺼? 이깃들이 다 그때 내리온 것들인데, 우짤 수 없이 그냥 놔둔기라예”라는 유미옥 씨. 말하자면 이 돌도 다 ‘굴러들어온’ 돌인 것이다. 

“이기(이곳)를 육지의 제주도라 카는데, 인자 그 이유를 알겠지요?” 하는 사람들의 말에 고개를 몇 번이고 끄덕이고 말았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바위산에 뚫려 있는 자연 동굴. 저 안에 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다.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석굴암이 군위에 있다? 없다?      
‘석굴암은 경주에나 있는 거지…’가 대부분의 상식이다. 그러나 사실 명성이 떨어지지만 군위에 있는 것도 분명 석굴암이다. 그것도 경주 석굴암보다 약 1세기는 앞서 만들어진 것이니 분명 심상치 않은 것임에 틀림없다. 

정식 명칭은 ‘군위삼존석굴’이다. 한때 ‘제2석굴암’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지금도 곳곳에 이 명칭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곳이 석굴암의 모태가 되었는데 반대로 자칫 경주 석굴암보다 더 후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오해를 사기 쉬워 군에서는 새로운 명칭 알리기에 노력하고 있다. 현재 국보 109호로 지정되어 있다. 

석불이 모셔져 있는 곳은 팔공산의 엄청난 바위산 자락이다. 경주 석굴암처럼 굽이굽이 들어가 신비감을 자아내는 것은 분명 아니지만, 아찔하게 깎아지르는 절벽 중간에 돌연 자연 석굴이 뚫려 있으니 이 또한 예사 모양새는 아니다. 지관들의 말에 의하면 팔공산 비로봉 중심을 바라보는 자리이고 기가 모이는 곳이라는데, 우리 같은 범인의 눈에야 어찌 그것을 알 수가 있나.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돌을 벽돌처럼 만들어 쌓아올린 모전석탑. 2008년 9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원래 이곳은 절벽 위까지 수풀이 우거져서 완전히 석불이 가려 있었단다. 그러다  1927년, 한밤마을에 사는 최두환 씨가 꿈에 선몽을 보고 절벽에 밧줄을 매달아 홀로 풀을 쳐냈더니 거기에 석불이 모셔져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우리 유물 관리가 그렇듯 발굴 후에도 특별한 관리 없이 방치해 두다가 1960년대 박정희 대통령이 이곳을 찾은 이후에 국보로 지정 받아 비로소 난간 등을 설치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봉안되어 있는 삼존불상은 신라 소지왕 15년(493년)으로 추정되며, 장신구나 사리의 주름 등이 섬세하고 부드럽다. 현재는 난간 위로 올라가서 볼 수 없게 막아두었지만, 예전엔 부처님의 무릎을 만지며 소원을 빌었던 탓에 그 자리만 유달리 변색이 되었다. 저 돌의 색이 노랗게 될 정도로 무슨 소원들을 간절히 빌었던 것일까? 석불은 그저 인자한 미소로 지친 중생을 위로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면 이미 충분할 터…. 

삼존석불 앞에는 모전석탑이 있다. 돌을 깎아서 만든 기존의 석탑과 달리 벽돌처럼 만든 돌로 쌓아올린 것이다. 경주 분황사 석탑 외에 이곳이 유일하다는데, 이래저래 돌이 참 각별하다.

Tag
#군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