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뿌리를 찾아서] 금강 발원지 전북 장수 뜬봉샘 천 리의 비단결 풀어내는 최초의 물타래
[뿌리를 찾아서] 금강 발원지 전북 장수 뜬봉샘 천 리의 비단결 풀어내는 최초의 물타래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8.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금강의 발원지 뜬봉샘.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장수] ‘비단의 강’이란 뜻을 지닌 금강. 백제시대에는 호남평야의 젖줄로서 수도를 끼고 문화의 중심지를 이루었으며, 일본에 백제 문화를 전파하는 ‘컬처로드’ 역할을 하기도 했다. 또한 의자왕 때 삼천궁녀가 낙화암 아래로 뛰어내렸던 백마강 또한 바로 금강이다. 이러한 백제의 향수를 지닌 금강의 발원지를 찾아 한 마을을 찾았다.

마을의 이름은 수분(水分)마을. 소백산맥에서 노령산맥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 내려앉은 마을이다. 마을 이름에서부터 물(水)의 의미가 들어 있는 걸로 봐서 강과 관련된 마을임을 직감한다. 더구나 이 산줄기의 이름은 수분재다. ‘물을 나눈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이 주변의 지명은 말 그대로 ‘물이 나누어지는 곳’이란 말이다.  

“뜬봉샘에서 물이 솟아 우리 마을에서 둘로 갈라져. 저 수분천을 타고 북쪽으로 흐르믄 금강이고, 교동천을 타고 남쪽으로 흐르믄 섬진강여. 옛날이는 집 지붕에 비가 오면 남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금강 물이요, 북쪽으로 떨어지믄 섬진강 물이라 했었제.”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비가 오나 가뭄이 드나 항상 일정하게 물이 차 있는 뜬봉샘.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뜬봉샘에서 흘러나온 물은 마을을 지나 금강과 섬진강의 지류로 나눠진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수분마을에서 60여 년을 산 최진묵 할아버지는 손가락으로 방향을 가리켜가며 설명을 해준다. 실제로 섬진강의 발원지라 부르는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의 ‘데미샘’은 수분리에서 북서쪽으로 팔공산을 넘으면 바로다. 그 발원지가 어디인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나 이 수분재에서 나는 물의 일부가 교동천을 타고 남원 시내를 가로지르는 요천으로 흐르면서 섬진강으로 유입되는 것은 확실하다. 말하자면 금강과 섬진강은 형제는 아니더라도 가까운 친척뻘은 되는 셈이다. 

뜬봉샘 가는 길은 마을을 가로지르는데, 샘을 찾는 사람이 많은지 ‘뜬봉샘 가는 길’이란 작은 이정표를 곳곳에 붙여놓았다. 덕분에 길은 어렵게 찾을 수 있건만, 문제는 가파른 오르막길. 좁은 길이지만 시멘트를 잘 발라놓아 차를 몰고 올라갈까 생각도 해보지만, 남의 마을 좁은 길을 가로질러 차가 들락날락거리는 것이 영 편치 않아 그냥 올라가기로 한 것이다. 그래도 길 밑으로 졸졸 흐르는 실개천인 강태등골의 소리와 새들의 울음소리 덕분에 가는 길이 심심치는 않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수분재휴게소에 금강과 섬진강의 발원지라는 비석을 세워놓았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워낙 길에 가파른 탓에 겨우 100여m를 걷고 나서 숨을 할딱거리고 있는데 이정표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수분리가 옛날에는 ‘물뿌랭이’ 마을로 불렸다는 것을 설명해놓은 이정표다. ‘뿌랭이’는 ‘뿌리’라는 말의 사투리니까 말 그대로 ‘물의 뿌리’ 마을이란 말이다. 1986년경 마을 할머니의 말을 토대로 알아낸 사실이니까, 그렇다면 옛날 수분리 사람들은 이곳이 금강의 발원지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이야 항공사진이 있기에 강의 발원지를 찾는 것이 어려운 일이 아니겠지만, 그 옛날엔 오로지 다리품을 팔면서 수많은 길을 들락날락거리면서 찾아낸 사실이리라. 그것을 알고 나니 무거운 발걸음에 조금 힘이 실린다. 

시멘트길이 끝나는 곳에선 무슨 공사를 하는지 건축자재가 여기저기 쌓여 있다. 산 아래로는 산책로인 듯한 나무 데크가 길가까지 올라와 있다. 후에 안 사실이지만 장수군은 뜬봉샘 주위를 생태공원으로 조성하는 중이란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금강이 처음으로 큰 호수를 만드는 용담호.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습지 생태원, 조류 관찰소, 자연조망대 등을 갖출 예정이라니, 산 아래 저것은 산책로의 일부분인가보다. 

뜬봉샘으로 가는 갈림길에 이르자 짝 잃은 장승이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부터는 흙길이 이어지는데, 낮인데도 불구하고 울창한 나무 덕분에 어두컴컴할 정도다. 이곳 역시 곳곳에 건축자재들이 쌓여 있으니 조만간 편한 나무 데크를 밟고 뜬봉샘까지 오르는 날이 멀지 않은 듯하다. 

그렇게 조금을 오르니 드디어 뜬봉샘과 마주하게 된다. 하지만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소박하다면 소박한 것이고 휑하다면 휑한 샘과 그 주변의 모습에 약간 허탈해진다. 보는 그대로 말하자면, 약간 터가 넓은 약수터 정도? 지름 2m, 깊이 1m 남짓,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큰 강의 발원지치고는 첫 인상은 소박하기 그지없다. 게다가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처럼 샘물이 많지도 않고 주변 풍광에서 신성함이 엿보이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동네 뒷산 약수터처럼 부담이 없고 친숙한 모습에 오히려 마음이 편해진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용담댐을 지난 금강은 기암절벽들과 함께 굽이굽이 흐를 준비를 한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날이 가물어 물이 부족할 텐데도 마르지 않고 적당히 고여 있다. 돌 틈 사이로는 물이 계속 올라오는 듯 물방울이 뽀글뽀글 솟는다. 샘물의 양이많진 않지만 가물거나 큰 비가 오거나 늘 일정한 양의 물이 솟는다. 원래는 물을 떠 마셔도 되는 듯 작은 바가지 하나가 놓여 있지만 물이 흐르는 상태가 아니라서 맛보기는 그만두기로 한다. 대신 마을 아래에 수분재에서 솟는 약수가 있다고 하니 그 물맛으로 대신하련다.

여느 강의 발원지에 전설이 있듯, 뜬봉샘에도 그러한 이야기가 있다. 전국 명산을 다니며 새 왕조를 얻기 위해 기도하던 이성계가 장수 신무산에서 백일기도를 올리던 중에 산 중턱에서 봉황이 날고 무지개가 피어 그곳에 가보니 샘이 솟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봉황이 떴다고 해서 ‘뜬봉’이라 한 것. 

이 또한 실존 인물이 등장할 뿐 역사적으로 진실성이 보장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조선왕조의 건설과 함께 샘의 이름이 붙여진 셈이니 제법 그럴 듯한 이야기다. 게다가 용이 몸을 뒤틀며 승천한 흔적이 물길이 되었다는 검룡소나 노랭이 황 부자의 커다란 기와집이 졸지에 연못물에 잠겨 사라졌다는 낙동강의 발원지인 태백 황지의 전설 등 지극히 ‘판타지’한 이야기는 아니니 그 전설조차도 어찌 보면 소박하다.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본격적으로 금강의 절경이 시작되는 섬바위. 2008년 10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뜬봉샘에서 흐르는 물은 마을을 가로지른다. 수분마을 주민들은 금강의 최상류에서 그것을 먹고사는 것이다. 이렇게 흐르는 물은 수분천을 따라 장수를 거쳐 용담호에서 처음으로 커다란 호수를 이룬다.  
용담댐까지 내달려 금강이 자라는 모습을 확인한다. 이제까지 아스팔트 길과 함께 만났다 헤어지다를 반복하더니 어느새 부쩍 커버린 금강의 모습을 확인하고는 짧은 탄식을 뱉어낸다. 

용담댐을 넘은 금강은 기암절벽 아래로 전형적인 감입곡류천의 모습을 보이며 무주와 영동을 지나며 무주구천동과 양산팔경의 절경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북으로 흐르며 신선이 노닐 것 같은 풍광을 만들어내던 금강은 대청호에서 다시 큰 물길을 만들고, 비로소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옛 백제의 영광을 추억하며 바다를 향해 내달린다.    

공주와 부여를 지나는 사이 금강은 시인 묵객들의 감탄을 자아내며 독락정, 한림정 등 8개의 정자를 만들고, 하류인 군산에서는 철새들의 보금자리로 그 역할을 다 한다.  
사람의 일생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볼 수 없듯, 금강의 모습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곳곳에서 생명의 거름이 되고 풍류를 즐기게 해주는 그 따뜻하고 강직한 모습만큼은 항상 변함이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