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우리 이웃들의 겨울나기] 아직도 옛 모습, 곡성 오일장 할매들은 고대론디 이사 헌다고 별간 있간디? 
[우리 이웃들의 겨울나기] 아직도 옛 모습, 곡성 오일장 할매들은 고대론디 이사 헌다고 별간 있간디?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9.01.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일장의 옛 모습을 간직한 곡성장의 모습.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곡성] 곡성장은 유일하게 오일장의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장이다. 70여 채나 되는 시멘트 장옥을 봐도, 아무렇게나 좌판을 펼친 늙은 상인들을 봐도 옛 모습 그대로다. 하지만 이 모습도 이제 곧 새 장터 자리 공사가 마무리되면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늙어빠진 할매들을 머덜라고 찍어 싼데야?”
카메라를 들이대자 이봉선, 박남순 두 할머니가 동시다발적으로 손사래를 친다. 하지만 손만 허공에서 왔다갔다 할 뿐, 얼굴에는 주름 가득한 수줍은 웃음이 피어나는 걸로 보아 객지인의 관심이 마냥 싫지는 않은가보다. 

“여기 오일장 이사 가기 전에 인물 좋은 할머니들만 모아서 사진 찍어놓을라고 그래요.”
“아, 그러요? 그람 나도 같이 좀 찍어줄 티요? 나도 여그 장서는 인물인디?” 

두 할머니를 한참 달래고 있는데, 오지랖 넓게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남의 좌판 참견을 하던 정길순 할머니가 끼어든다. 정 할머니가 끼자 손사래를 치던 두 할머니들도 한결 마음이 놓이는 모양인지 “그라믄 어찌 앉아서 찍능가, 서서 찍능가?” 하며 폼을 잡으신다.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아따 손 좀 흔들어보랑께” 두 할머니의 포즈를 코치하는 정길순 할머니.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70여 채의 오래된 슬레이트 장옥이 오밀조밀 모여 있는 곡성장 중에서도 채소전은 가장 사람이 많고 물건도 많은 곳이다. 여느 장처럼 어물전도 있고, 잡화전도 있지만 장터의 가장 중심부에 난전을 펼치고 장사를 하는 채소전은 곡성장의 ‘광장’이나 다름없다.
 
다른 곳처럼 자리를 구분하는 표시도, 건물도 없는 곳에 그저 신문지나 비료부대 하나를 깔고 아침에 이고 온 채소들을 펼쳐놓으면 그게 바로 가게가 된다. 물건을 팔며 생계를 이어가는 전문 상인들보다는 그저 ‘몸을 안 움직이면 병이 나는’ 할머니들이 대부분이라 채소들은 거의 직접 밭이며 산에서 뜯어 온 것들이다. 이렇다 보니 수입산보다는 할머니들의 집 텃밭에서 나는 ‘유기농’ 채소와 곡물이 대부분이다. 장사도 ‘살 테면 사고 안 살 테면 구경이나 하고 가라’는 식이다.   

“나가 우리 자식들 어릴 때부터 장사를 했으니께 수십 년 되얏제. 여그는 오는 사람들만 오니께 인자는 뉘 집 영감님 방구 냄새까정 다 알어.” 

자기 좌판은 그냥 펼쳐놓은 채 곡성장터 이곳저곳 ‘순찰’하는 마당발 정 할머니는 곡성장의 명물이다. 성격이 쾌활해 곡성장에 무슨 일이 생기면 빠지지 않고 훈수를 둔다. 졸지에 주인 없는 좌판 신세가 되었지만 이곳에선 큰 문제가 아니다. 옆 좌판의 배 장사 총각이 계산을 대신 해주기도 하고, 앞 좌판의 할머니가 대신 주인 노릇을 하기도 한다.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옛 오일장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곡성장의 장옥.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저기 기자 총각~”
다른 할머니들하고만 노는 것이 샘이 났던지 한 할머니가 조용히 손짓을 하며 나를 부른다. 
“일단 목 아풍께, 요고부텀 한 잔 드시고 좀 앉아보게.”

종이컵에 막걸리 한 잔을 가득 따라준 할머니는 최모레 할머니다. 고운 생김새며 장바닥에서 떡하니 모피를 입고 앉아 있는 모습이 멋쟁이시다. 

“서울에서 왔능가? 나도 서울서 한 20년 살다가 왔어. 어디서 왔능가? 남앵동? 서울역 있는 데네? 난 신사동서 회사 댕겼었는디.”

최 할머니는 오랜만에 서울내기를 만나서 반가운지 우리 첫째 아들은 서울 어디에 아파트 당첨이 됐고, 둘째 딸내미는 어느 회사 과장이고, 막내딸은 일은 안 다니는데 이번에 예쁜 손자를 봤다며 자랑을 늘어놓는다. 

“아따, 저 할매는 서울 총각 와서 신났구마. 우리 자슥들도 다 서울서 회사 댕기고 사는디, 만날 자기 자슥 자랑여.”
주위 할머니들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라는 듯 핀잔을 주지만, 그래도 귀를 쫑긋 세우고 남의 자식 자랑에 “그랴도 저 할매 자슥들이 강단지제(야무지지)” 하며 맞장구를 쳐준다.

최 할머니 역시 자식들이 곡성에 아파트도 사주고 생활비도 보태 살 만하지만, 하루라도 가만히 앉아 있으면 삭신이 쑤시는 걸 어떡하냐며 오일장만 기다린다고 한다.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유난히 곡성장엔 ‘겸사겸사’ 나온 할머니들이 많다. 그도 그럴 것이 인근 구례의 오일장은 곡성장과 날짜(3, 8일장)도 같을뿐더러 사람도 훨씬 많기에 돈을 벌려는 젊은 상인들은 대부분 구례에 판을 펼치기 때문이다. 

“옛날엔 곡성장에 사람이 빠글빠글혔어. 곡성이 원체 안 나는 거이 없이 다 낭께 사람도 많았제. 군둥네(군내)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고 남원 금지, 주생, 대강 사람들도 다 이쪽으로 왔응께. 특히 나물은 곡성이 싸고 좋응께 하루는 곡성에서 나물 사가고 그 담 장엔 구례로 가서 생선 사고 혔제.”   

이런 곡성장도 조만간 반듯반듯한 건물이 들어선 새 장터로 이사를 할 예정이다. 1950년대 중반에 지금 이 자리로 이사를 했으니 근 반세기만의 이사인 셈이다. 지금의 장옥들은  추억을 불러일으키기에는 좋지만 워낙 다닥다닥 붙어 있고, 그나마 절반 넘게 비어 있다.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곡성장의 명물 정길순 할머니.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그냥 자리를 잡고 펼치기만 하면 가게가 되는 곡성장의 난전. 2009년 1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존 자리로 옮기믄 우리야 좋제. 넓고 깨끗허고. 근디 지금 여그도 좋아. 나 어렸을 때부텀 있던 곳인디 정이 안 들었긋는가? 여도 허물지 말고 그냥 냅두면 좋을 거인디….”

할머니들은 시원섭섭한 기분인가보다. 막걸리 한 잔을 냉큼 마시더니 안주 대신 ‘에그~’하는 짧은 한숨을 곱씹는다.     

“나중에 책 나오면 보내드릴게요”
할머니들과 수다를 떠느라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있다가 “니는 언제 서울 갈랑가?”라는 말에 주섬주섬 카메라를 챙긴다. 

“여그는 테레비 없어. 그냥 얼굴이나 잘 나오게 해주더라고. 근디 몇 시에 하는겨? 우리 자식들 보라고 글라고.”
아, 이 할머니들은 아직도 내가 <6시 내 고향> 촬영하러 온 줄 알고 계신다. 마당발 정 할머니는 벌써 어물전에 가서 “나 테레비 나오네~” 하며 자랑을 늘어놓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