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봄날 산성 산책] 청주 상당산성 김시습이 시조에 담은 조선 산성의 진수 
[봄날 산성 산책] 청주 상당산성 김시습이 시조에 담은 조선 산성의 진수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9.03.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산성길.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청주] 오랫동안 걷기엔 부담스럽고 짧은 거리를 걷기엔 뭔가 심심하다면 청주 상당산성(사적 제212호)으로 가보자. 조선시대 산성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며 발아래로 내려다보이는 도시의 풍경을 감상하다 보면 매월당 김시습이 왜 이곳에서 시조를 읊었는지 이해가 될 것이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상당산성 길에 세워진 비.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산성 주차장에 차를 대고 조금만 오르면 상당산성의 남문이자 정문이라고 할 수 있는 공남문과 만나게 된다. 무지개 모양의 돌문 위에 놓인 누각의 모습이 당당하고 강건해 보인다. 문 앞의 넓은 잔디광장과 쾌청하게 갠 파란 하늘은 산성을 더욱 위풍당당하게 만든다.

향기로운 풀잎 짚신에 들어오고 / 날씨 맑으니 경치가 산뜻하네 / 들꽃에는  벌들이 꽃술 따 물고/ 살찐 고사리 비 온 뒤 더욱 향긋하네 / 저 멀리 바라보이는 산하는 웅장하고 / 높다란 곳에 오르니  의기도 드높아라 / 사양치 말고 저녁이 다할 때까지 보고파라 / 내일이면 남쪽으로 가야 할 테니  -김시습 ‘산성에서’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서문에서 바라본 청주 시내 전경.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광장의 왼쪽에는 매월당 김시습이 읊은 시조를 새겨놓은 시비가 세워져 있다. ‘산성에서(遊山城)’란 제목으로 쓰인 이 시조를 보면 김시습이 상당산성을 거닐고 얼마나 큰 감명을 받았는지 알 수 있다. 아직 산성을 오르진 않았으나 시조를 읊어보며 잔뜩 기대에 차오른다. 

상당산성은 백제시대 때 토성(土城)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당산성이라는 이름은 백제의 상당현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다른 한편으론 통일신라 때 행정구역인 서원소경이 청주에 설치되었는데 당시 김유신의 셋째아들인 원정이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어 이때 축성된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어쨌든 처음에는 흙으로 만들어졌다가 조선시대 임진왜란을 맞으면 당시 수도방어를 위한 중간방어선으로 충남 서산 해미읍성에 있던 충청병마절도사영을 청주로 옮겨오면서 석성(石城)으로 개축되었다. 지금의 모습을 갖춘 것은 조선 영조 때다. 이후 꾸준한 보수로 상당산성은 우리나라에서 원형이 가장 잘 남아 있는 성으로 대표되고 있다. 덕분에 드라마나 영화 촬영지로도 인기가 높다. 얼마 전에는 드라마 <태왕사신기>와 <대조영>을 촬영했으며, 최근엔 드라마 <카인과 아벨>에도 등장한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조선 산성의 모습이 잘 보존된 상당산성. 왼쪽의 작은 문이 바로 ‘암문’이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공남문으로 들어서면 안쪽에 또 하나의 성벽을 만난다. 성문 바깥으로 옹성을 쌓아 성문을 방어했던 다른 성곽과 달리 이곳은 가파른 지형 때문에 성 안쪽에 성벽을 쌓아 내옹성을 만든 것. 이는 적군이 성 안으로 들어왔을 때 성벽 뒤에 숨어 공격하기 위한 것이다. 계단을 올라 공남문 누각 위에 오르면 이때부터 산책이 시작된다. 

상당산성 트레킹 길은 두 가지 코스가 있는데, 온전히 산성만을 한 바퀴 둘러보자면 남문에서 시작해 서문과 동문, 산성마을, 저수지를 돌아 다시 남문으로 돌아오는 것이 일반적인 코스다. 총 4.2km 거리로 유유자적 걸어도 1시간 30분 정도면 충분하다. 전체적으로 경사가 가파르지 않고 길이 험하지 않아 물 한 병 들고 산책 삼아 올라도 될 정도다. 

남문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조금은 가파른 첫걸음에 순간적으로 숨이 거칠어지지만 잠시 뒤를 돌아보면 공남문과 어우러진 구불구불한 성벽의 모습이 아름답다. 성 자체가 해발 491m의 상당성 능선을 따라 놓여 있으니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 벌써 산성 아래의 풍경은 조그맣게 바뀌어 있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산줄기를 따라 아름다운 곡선을 이루는 산성.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남문인 공남성.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성 구경에 힘든 줄 모르고 걷다보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남암문’이다. ‘숨겨진 문(暗門)’이라는 역할답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게 된다. 이 문은 요즘으로 말하면 비상구와 같은 개념이다. 유사시에 사람과 물자가 드나들게 해놓고 혹시라도 적에게 발견될 경우엔 안쪽의 돌과 흙을 무너뜨려 금방 문을 메워버린다. 암문은 남한산성이나 온달산성 등에서도 발견되는데, 상당산성에는 남암문과 동암문 2개의 암문이 있다.

원래 남문에서 서문에 이르는 곳엔 구룡사와 남악사, 장악사라는 절이 있었다. 알다시피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교로 삼았던 시기로 국가가 쌓은 산성 안에 사찰이 있었다는 사실이 조금 의아하다. 하지만 여기에는 재밌는 역사적 사실이 있다. 당시 성곽을 지키기 위해서는 5880명의 군사가 필요했지만 관군이 1000여 명밖에 되지 않아 나머지 4800여 명을 승병(승려 병사)으로 채웠기 때문이다. 지금은 세 사찰 모두 터로만 남아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서문인 미호문에 이르면 산성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곳이다. 눈앞에 구불구불한 도로들과 청주 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따뜻한 봄바람과 햇살을 맞으며 서 있으니 여느 높은 산의 정상을 밟은 기분 못지않다. 맑은 날엔 맑은 대로, 흐린 날엔 운무가 끼어 각기 다른 나름의 절경을 뽐낸다.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성내의 한옥마을. 2009년 3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남문에서 서문까지가 하늘과 맞닿은 길이었다면 서문에서 동문까지 이르는 길은 소나무가 어우러진 숲길이다. 청주 도심의 모습 대신 드넓은 논밭이 풍경을 이룬다. 이제까지 경치에 감탄했다면 지금부터는 조용히 솔향기를 맡으며 사색하며 걸을 수 있는 길이다. 

서문에서 동문으로 가기 전 또 하나의 암문을 만나고 큰 누각인 동장대를 지나면 성내로 들어가 출출한 배를 채울 수 있다. 성내에는 50여 채의 한옥이 옹기종기 모여 마을을 이루고 있는데, 그중 대부분은 식당이다. 청주의 술인 대추술과 토종닭백숙이 주 메뉴다. 대부분의 식당들은 수십 년 동안 이곳에 터를 잡고 음식을 만들어온 곳들이라 하나같이 손맛이 좋다. 하지만 여느 유원지처럼 차가 많고 형형색색의 간판들이 난무하는 모습은 이곳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도로를 건너 큰 저수지를 끼고 다시 산성 걷기가 시작될라치면 익숙한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첫 출발지였던 남문이다. 4.2km의 긴 장정이 될 줄 알았건만 의외로 짧다. 반가워야 할 목적지가 오히려 아쉽게 느껴진다. 한참 동안을 남문 누각 위에 서서 옆으로 펼쳐진 성곽을 바라본다. 한 바퀴 다시 돌아볼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