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Best View] 한 폭 동양화 경북 안동 하회마을
[Best View] 한 폭 동양화 경북 안동 하회마을
  • 송수영 기자
  • 승인 2013.01.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여행스케치=안동] 일찍이 퇴계 선생이 “낙동강 상류 하회는 이름난 명승지”라 읊었던 하회마을. 퇴계의 선견지명을 증명이라도 하듯 하회마을은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덕분에 전국에 이름이 나 관광객이 몰려들지만 북풍한설이 몰아치는 한겨울엔 아무래도 발걸음이 뜸하다. 시끌벅적하던 600년 전통의 마을이 모처럼 편안히 제 얼굴로 돌아와 조곤조곤 이야기를 건넨다.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모처럼 겨울의 낭만을 제대로 만끽하는 여행객들.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눈 내리는 풍경

하회마을 입구에 막 도착하였는데 목화솜같이 

굵은 함박눈이 쏟아져 내리기 시작한다.
눈 예보를 듣고 다들 여행 계획을 미뤘는지
주차장에서 마을로 이어주는 셔틀버스를 
나 혼자 전세 냈다.
오늘 따라 버스가 시공간을 누비는 환상 특급인 양 
차창 밖 풍경이 낯설다. 
600여 년 역사의 오랜 마을이 흰 눈 속으로 
제 모습을 하나둘 감춘다.
눈 때문에 담도 지붕도 나무도 경계선이 다 지워져 
뿌연 하늘과 하나가 되어간다. 
좁은 외길로 또박또박 발자국이 나 있다. 
아직 지워지지 않은 누군가의 흔적이 길을 안내하는 표식인 양 하염없이 따라 걷게 된다. 
하회마을을 둥글게 감아 도는 낙동강에도 
뿌옇게 베일이 드리웠다. 
1300리 낙동강이 유일하게 
반대로 흘러간다는 곳이다. 
건너편 부용대가 선계인 양 멀다. 
“아아, 알려드립니다. 갑작스러운 폭설로 
병산서원으로 가는 버스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관광객 여러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알려드립니다. 갑작스러운 눈으로 마을에서 
주차장으로 가는 셔틀버스 운행도 중단되었습니다. 이 점 참고하시어 각자 걸어서 
돌아가시기 바랍니다.”
낙동강으로 둘러싸인 막다른 지형에, 들어오는 길도 좁은 외길의 독특한 지형인지라 
임진왜란에도 참화를 입지 않았다는 
이 특별한 마을이 모처럼 눈으로 유폐되었다. 
왠지 모르게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는다. 
이게 모두 눈 때문이다.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우리가 보기엔 뭐 그리 내세울 게 없는데 많이들 찾아주시니 고맙지요” 하고 말씀하시던 마을 어르신.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빨려들 듯 걷게 되는 조붓한 마을 길. 고풍스러운 토담은 아무리 봐도 싫증 나지 않는다.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INFO.
주소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257(안동하회마을관리사무소) 
입장료 어른 3000원, 어린이 1000원 
주차장 이용료 대형 4000원, 중형 2000원, 소형 1000원 
입장 시간 9:00~18:00(동절기, 하절기는 19:00까지)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현재의 만송정 숲은 1906년 새로 조성한 것이라고 한다.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흰 눈이 소복이 쌓인 장독대 풍경. 보기만 해도 넉넉하다. 2013년 2월 사진 / 송수영 기자

시간을 잊은 마을

펄펄 내리는 눈도 아랑곳하지 않고 마을 입구에서 
한 무리의 어르신들이 둥글게 모여 절을 하며 

예를 올린다. 무슨 일인가 여쭤보니 
새로이 조상의 비석을 세워 제향을 하는 
참이라고 한다. 하회마을 내 자손만이 아니라 
외지에서도 일부러 찾아오셨다. 
도포에 갓까지 말끔하게 의관을 정제하신 분이 꽤 많다. 양복에 코트를 입은 분도 계시고, 
갓은 아니어도 두루마기에 중절모를 쓰신 분도 눈에 띈다. 보고 있노라니 세월이 무색하여 
묘하다. 예로부터 “풍천면 행정은 하회만 
잘 다스리면 성공한다” 할 정도로 
이곳 사람들이 완고했다는 이야기가 떠올라 
왠지 고개가 끄덕여진다. 
마을은 솜이불을 뒤집어썼다. 
집집마다 똑같은 담이 하나도 없어서 
‘전통 담장의 전시장’이라는 하회마을의 
담벼락에도 차곡히 쌓였다. 우리 피부색을 꼭 
닮은 토담이 흰 눈과 어우러져 더 포근하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지만, 
여전히 150여 호가 대대로 삶의 터전으로 삼고 살아가는 마을인지라 사랑채에서 켜놓은 
TV 소리, 라디오 소리가 정겹게 담을 넘는다. 
뉘 초가의 삐쭉 나온 굴뚝에선 
흰 연기가 폴폴 솟아오른다.
가마솥에 밥을 짓고 있을까, 아니면 
입이 심심하여 고구마를 찌고 있을까. 
장지문 너머 사각사각 떨어지는 눈 소리를 
들으며 아랫목 이불 아래 누군가 앉아 있겠지.
고샅길 사이를 빙글 돌다 낙동강 변을 따라 1만  그루 소나무가 둘러 있다는 만송정 숲에 닿았다. 겸암 유운룡 선생이 “낙동강에 푸른 그림자를 
드리운다” 읊었던 백 년 소나무 숲이다.  
내리치는 눈발에 기상이 한층 늠름하다. 
2006년 11월 천연기념물 제473호로 
지정된 귀하신 몸이다.
인적도 없고, 겨울 철새 한 마리 
눈에 띄지 않는 정지된 풍경 속에 
오로지 움직이는 것이라고는 함박눈뿐. 
눈발이 거셀수록 초록 솔잎이 더욱 도드라진다. 세한삼우(歲寒三友)이자 윤선도가 벗으로 
꼽기에 주저하지 않았던 이유를 알겠다.
“솔아, 너는 어찌 눈서리 모르는가.”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