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폭포 여행] 포항 내연산 갑천계곡 12폭포 길 따라 폭포 구경, 열두 번 ‘희희낙락’  
[폭포 여행] 포항 내연산 갑천계곡 12폭포 길 따라 폭포 구경, 열두 번 ‘희희낙락’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9.08.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제1폭포인 상생폭포. 원래는 두 줄기로 흐른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포항] 고즈넉한 사찰과 어우러진 계곡의 풍경은 ‘경북의 금강산’이라고 불리며 12개의 폭포를 나한상처럼 거느리고 있다. 겸재 정선은 이 모습에 반해 <내연삼용추>에 그 모습을 담기도 했다. 경북3경의 하나로도 꼽히는 내연산 갑천계곡의 폭포를 다녀왔다. 

보경사 일주문에 들어서자 푸른 바다 대신 푸른 소나무 숲이 머리를 시원하게 해준다. 보경사는 신라 진평왕 때인 603년에 창건된 천년고찰이다. 지명법사가 중국 유학에서 가져온 팔면보경을 이곳에 묻고 절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보배로운 거울을 묻고 지은 절’이라 해서 보경사이다. 

경내는 여느 사찰과 다를 바 없다. 적당히 오래되고 적당히 현대적으로 보수되어 있다. 오밀조밀 자리 잡은 건물들과 달리 마당이 넓지 않아 아기자기한 느낌이 든다. 물론 관심을 갖고 둘러보면 보경사만의 특별함을 찾을 수 있을 테지만 지금은 오직 12폭포에 마음을 홀려 어서 오솔길을 오르고 싶을 뿐이다. 서둘러 절 옆쪽으로 난 숲길로 발길을 돌린다. 

“나 지금 내연산에 와 있거든. 근데 산이 되게 좋다. 폭포가 12개나 있는데 다 예쁘고, 올라가는 데 힘들지도 않아서 너도 좋아할 것 같고, 다음에 같이 한번 와볼까 해서….” 
- 영화 <가을로> 중

사진 / 손수원 기자
제2폭포인 보현폭포 역시 물이 말랐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영화 <가을로>에서 갑천계곡을 찾은 김지수가 유지태에게 남긴 문자 메시지는 이곳의 모든 풍경을 압축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와도 좋고, 연인과 함께 와도 좋은 ‘되게 좋은’ 계곡이다. 

청하골이라고도 불리는 갑천계곡의 오솔길은 내연산 등반의 시작이자 폭포를 둘러보는 트레킹 길이다. 내연산의 12폭포는 제1폭포인 상생폭포를 시작으로 길을 따라 죽 이어진다. 이렇게 계곡의 물줄기를 따라 열두 개의 폭포가 이어지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명소라고 하니 쉬엄쉬엄 걸으며 풍경을 만끽할 심산이다. 평평하게 다져진 길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헉헉대며 기어오를 만큼 험한 길도 아니다. 

올해 가뭄이 극심하다더니 계곡의 하류 부근엔 물이 거의 말랐다. 물보다 허연 바닥을 드러낸 자갈밭이 더 넓어 보인다. 이렇다면 혹시 폭포도 말라버린 것이 아닐까 조바심이 난다. 마침 반대편에서 내려오는 등산객을 붙잡고 “위쪽 폭포엔 물 있어요?”라고 물으니 “아, 그럼 폭포에 물이 있지 마누라가 앉아 있간?”이라며 농을 던지고는 걱정 말고 올라가보라 한다. 천만다행이다.

사진 / 손수원 기자
12폭포 중 가장 웅장한 연산폭포. 사진 / 손수원 기자

약 10분을 걸어 상생폭포에 이른다. 아래에 물이 바싹 마른 것과는 달리 폭포에선 제법 굵은 물줄기가 5m 아래로 힘차게 떨어지며 장관을 이루고 있다. 원래 이 폭포의 물줄기는 두 갈래다. 그래서 상(쌍)생폭포이다. 폭포의 왼쪽 바위를 기화대(妓花臺), 폭포 아래 소를 기화담(妓花潭)이라 부르는데, 옛날 절벽 위에서 풍류객과 가무를 즐기던 기녀가 술에 취해 절벽 아래 소로 떨어져 죽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하지만 하필 내가 찾은 날에는 물이 말라 한쪽 물줄기만 덩그러니 떨어지고 있으니, “하필이면! 왜!”

속상해한다고 별다른 해결책이 있는 것도 아니니 다음을 기약하기로 한다. 상생폭포에서 제7폭포인 연산폭포까지는 800m. 불과 1km도 안 되는 거리지만 그 짧은 구간 안에 5개의 폭포가 곳곳에 감춰져 있다. 

상생폭포에서부터 계곡도 더욱 깊어진다. 나란히 걸으며 간간이 얼굴을 적셔주던 계곡물은 어느새 발밑으로 멀어져 있다. 대신 이제부터는 나무와 걸터앉은 다람쥐와 새들이 동행한다. 후다닥 삶은 달걀 하나를 날름 까먹고 나니 보현폭포에 당도한다. 멍하니 계곡 쪽을 바라보니, 어라? 여기도 물줄기가 없다. 혹시 여기가 아닌가 싶어 이리저리 둘러보니 바위 사이로 가는 물줄기가 ‘졸졸’ 떨어지고 있다. 

사진 / 손수원 기자
깨끗한 계곡 곳곳이 다람쥐들의 놀이터다. 사진 / 손수원 기자

그래도 상류 쪽으로 올라갈수록 상황이 나아지겠지 싶어 다음 폭포로 발걸음을 옮긴다. 보현폭포 다음은 삼보폭포, 잠룡폭포, 문수폭포가 이어진다. 

하지만 이 폭포들을 제대로 찾기는 어렵다. 계곡을 아래에 두고 탐방로가 설치된 까닭에 주의 깊게 물소리를 들으며 계곡을 살피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기 십상이다. 

폭포들을 뒤로하고 오르다 보면 이윽고 관음폭포에 이르게 되는데, 마치 광장처럼 넓게 펼쳐진 계곡에 넓은 소와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둘러쳐 있어 등산객들이 많이 모인다. 겸재 정선 또한 이 장소를 가장 좋아하여 그의 진경산수화인 <내연삼용추>에 잠룡폭포와 관음폭포, 연산폭포의 모습을 한 폭의 그림으로 남겨두었다.  

사진 / 손수원 기자
연산폭포로 가는 구름다리. 사진 / 손수원 기자

관음폭포는 구름다리 바로 밑의 두 줄기 폭포인데, 폭포도 폭포거니와 병풍처럼 우뚝 솟은 선일대와 비하대, 학소대의 모습과 바위에 뚫린 관음굴의 모습이 더욱 진귀하다. 

여기서 구름다리를 건너면 12폭포 중 가장 낙차가 크고 아름답다는 연산폭포와 만난다. 높이가 30m에 이르는 거대한 바위절벽인 비하대와 학소대 사이의 바위를 타고 내려오는 폭포수는 과연 겸재 정선이 즐겨 찾았을 만하다. 폭포 아래 바위벽에선 겸재가 이곳을 찾은 기념으로 바위에 새긴 ‘정선 갑인추(鄭敾 甲寅秋·1734년 가을에 정선)’라는 ‘탐승각자’를 찾아볼 수 있다. 까마득히 올려다본 절벽엔 소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눈으로 보고 있는데도 한 폭의 진경산수화를 보는 듯 아름답다.  

7개의 폭포가 더 기다리고 있지만 연산폭포 위로 펼쳐진 은폭포와 복호 1·2폭포, 실폭포, 시명폭포로 가는 길은 본격적인 등산로여서 훨씬 힘들다. 그냥 발길을 돌리기에 아쉬움이 남는다면 콘크리트 다리를 건너 산을 오르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