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산골마을여행] 고향보다 더 고향같은 정선 내도전 마을 아우라지의 상류에도사람들이 살고 있지요
[산골마을여행] 고향보다 더 고향같은 정선 내도전 마을 아우라지의 상류에도사람들이 살고 있지요
  • 손수원 기자
  • 승인 2006.07.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정선 내도전 마을 풍경.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여행스케치=정선] 지나친 과욕이었을까?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비가 퍼붓고 있는 장마철에 무작정 지도만 들여다보고 오지마을로 들어가려 한 것이 화근이었다. 차 한대가 겨우 들어가는 오솔길에서 오도 가도 못할 지경이었다. 결국 일보후퇴, 예전에 절경의 계곡을 품고 있는 오지마을이라고 주워들었던 ‘내도전’으로 방향을 틀었다. 

영동에서 영서로 넘어가는 42번국도는 태백산맥을 넘는 험난하기 짝이 없는 구불구불 포장도로이다. 특히 동해~평창 구간은 크고 작은 령들을 쉼없이 넘기에 자동차조차도 숨을 헐떡거리기 일쑤다. 

정선 임계면의 내도전 마을은 예전엔 우리나라 오지 중의 오지로 손꼽히던 곳이다. 물론 지금도 손가락 위치만 바뀌었지 여전히 오지임에는 틀림없다. 엄연히 숫자 붙은 국도변에 있어도 마음먹고 가지 않으면 이곳을 찾아가기란 쉽지 않다. 

그렇다면 도대체 얼마나 오지이기에? 하는 의문이 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 두어 가구만이 장작 때며 지내는 그런 곳은 아니다. 27가구의 주민이 옹기종기 모여 살며 전기도 잘 들어온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아우라지 상류에 자리한 내도전 마을.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내도전 마을의 전형적인 집 모양. 황토로 바른 외벽.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누렁소 가족이 한가로운 오후를 즐기고 있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예전에는 직원리에서 외도전을 거쳐 내도전 마을로 들어오는 길은 울창한 가로수가 있는 오솔길이었다. 하지만 몇 년 전 큰 태풍으로 계곡물이 넘치고 자꾸 길이 유실되자 제방을 쌓아 시멘트 길을 만들었다. 그래서 지금은 큰 덤프트럭도 거뜬히 오갈 수 있는 포장길이 마을을 외부와 잇고 있다. 

비록 길바닥은 시멘트지만 숲은 아직도 짙은 그늘을 만들고, 이름 모를 새들은 제 맘대로 목청 높여 울어재낀다. 손때가 묻지 않은 곳이라는 것을 직감한다. 다만 포장된 길 중간 중간 간이 화장실이 들어서 있다. 유원지에나 있을 법한 저런 공중화장실이 왜 이곳에 있는지 의아스러웠다.   

외도전 마을에서 십리쯤 되는 거리를 달리자 감자밭과 약초밭 사이로 민가들이 하나둘씩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나무 기둥을 세우고 벽을 황토로 바르고 양철 지붕을 얹은 전형적인 농촌의 옛집들이다. 앞마당이 따로 없이 집 주위로는 모조리 밭이다. 그곳에서 주민들은 감자며, 약초 등을 재배하고 있다. 날씨가 궂어서 그런지 밭에 나와 있는 주민은 없었다. 그렇지! 이런 날엔 그냥 김치전 한장 부쳐서 막걸리 한잔 거하게 하고 늘어지게 낮잠을 청하는 게 노곤한 하루를 보내는 시골주민들의 지혜렷다!

그때 마침 집 앞마당에 의자를 놓고 앉아 있는 최윤철씨를 만날 수 있었다. 도시에 있다가 몸이 아파 잠시 이곳에 요양 차 머물고 있다는 최씨는 여기 내도전이 자신이 난 곳이라며 예전에 살던 집을 가리킨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한 주민이 집 앞 약초밭에서 소일거리를 하고 있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도전천이라 불리는 계곡은 중봉산, 고적대, 괘병산 등 백두대간 봉우리에서 발원해 사람의 손길 한번 닿지 않고 내려온 것이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지금은 동네 모습이 많이 바뀌었다며, 옛날 모습과 지금의 모습을 비교해 가며 차근차근 알려준다. 사라진 내도전 분교에서 아이들이 뛰어놀던 모습이며, 집 둘레로 돌담이 쌓였던 모양새까지…. 어린 시절을 여기서 보낸 최씨의 생생한 이야기를 따라 눈은 벌써 마을 전경을 스케치북 삼아 한 폭의 그림을 그려낸다. 

홍수 때문에 길이 정비됐지만 그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말도 보탠다. 휴가철이면 어떻게 알았는지 알음알음 이 계곡을 찾아오는 외부인들 때문에 오붓하게 살았던 예전의 모습을 차츰 잃어가는 면도 조금은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아직도 전국에서 가장 인심 좋고 사람 좋은 마을이라고 자부한단다. 

안다. 말하지 않아도 다 안다. 서로 넘침도 없고 모자람도 없이 사는 이 작은 마을에서 그 무슨 투기나 분쟁이 있을 것인가. 다만 이런 화목한 마을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하고 그저 한철 놀다가는 곳으로만 여기는 외지인들이 야속할 뿐이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오지마을인 이곳에도 등산로가 생겼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마을을 거슬러 올라감에 따라 계곡도 상류로 올라간다. 그럴수록 감탄사를 내뱉는 횟수도 많아진다. 바닥의 모래알들을 셀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한 수면 위로 바위들과 나무들의 표정이 마치 거울처럼 투영된다. 나름대로 깨끗한 계곡이 있는 마을에서 나고 자랐다고 자부하지만, 이렇게 맑은 물을 본 적이 없었다.  

물에 손을 담그니 그때까지 미처 못봤던 올챙이들이 부리나케 꼬리를 흔들며 도망친다. 아, 올챙이를 본 적이 실로 얼마만인가? 그 옛날 학교를 마치면 집에서 몰래 훔쳐 나온 생라면을 밥 삼아 하루 종일 개구리며 올챙이를 잡던 그 시절이 문득 떠올라 바짓가랑이를 둥둥 걷어 올렸다. 

올챙이를 잡아본지 오래돼서 그런지, 아니면 깨끗한 물에 사는 이 녀석들이 빠릿빠릿해서 그런지 손 위에서는 연신 물만 주르륵 빠져 나간다. ‘인간이 진보한 만큼 이 녀석들도 진보한 걸 거야’ 하는 말도 안 되는 변명을 늘어놓으며 꼼지락꼼지락 움직여보지만 여전히 꼬리빠른(?) 녀석들은 쉽게 손안에 담기지 않는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민박집을 지키는 강아지.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시내버스가 서는 곳이지만 내도전 사람들은 버스 도는 곳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2006년 7월. 사진 / 손수원 기자

‘에라 모르겠다’ 하며 너럭바위에 앉아 날씨에 어울리지 않게 탁족을 즐겨보기로 했다. 약간 쌀쌀한 날씨 때문인지는 몰라도, 물이 얼음장처럼 차가워 움찔 놀랐다. 1분 정도 발을 담그고 있었는데 발가락이 아리다. 역시 탁족을 즐기며 시를 읊는 선비의 내공을 따라가기에는 턱없이 어리석은 도시민일 뿐이다.

마을 끝에 이르자 길은 사라져 더 이상 오를 수 있는 곳이 없어졌다. 중봉산과 고적대로 오르는 산길은 사슬을 걸어 통제해 놓았다. 대신 아까 마을 중간쯤에서 ‘등산로’라 쓰인 이정표를 본 것 같다. 

시멘트로 발라놓은 문명의 길은 비록 끊어졌지만 티 없이 맑은 계곡의 물은 저 위에서도 흐르고 있겠지. 보이지 않는 산 속에서 사라진 마을 유천리와 장아리의 물이 합쳐지는 소리가 청명하게 귓가를 맴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