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호 표지이미지
여행스케치 5월호
[나미송의 제주살이] 최남단 계곡 서귀포 돈내코 폭우가 내린 뒤에도 청잣빛 영롱한 물빛
[나미송의 제주살이] 최남단 계곡 서귀포 돈내코 폭우가 내린 뒤에도 청잣빛 영롱한 물빛
  • 나미송 기자
  • 승인 2006.08.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7월 홈페이지를 개편한 <여행스케치>가 창간 16년을 맞이해 월간 <여행스케치> 창간호부터 최근까지 책자에 소개되었던 여행정보 기사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지나간 여행지의 소식을 게재하는 이유는 10년 전의 여행지는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16년 전의 여행은 어떤 것에 관점을 두고 있었는지 등을 통해 소중한 여행지에서의 기억을 소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사 아래에 해당 기사가 게재되었던 발행년도와 월을 첨부해 두었습니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돈내코 계곡 원앙폭포.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여행스케치=제주] 큰 섬에 한바탕 큰 비가 쏟아져 내리고 이틀이 지난 날. 이 뜨거운 날씨에 아들 녀석이 군에 가기 직전 추억여행 겸 인사차 제 친구들 셋을 데리고 애비를 찾아 왔다. 반갑기도 하고, 더운 여름에 고생할 녀석을 바라보니 측은한 마음이 말도 못한다. 잘 먹여 보내야 할 텐데, 좋은 추억이 되어야 할 텐데 말이지….

돈 내고 들어가는 곳이에요?
“너그들, 제주에 왔는데 제일 가고 싶은 곳이 어데냐?”, “아빠! 오름에도 한 곳 가보고 싶어요. 친구들에게도 오름을 보여주고 싶구요.” 이미 산적애비와 오름 여러 곳을 함께 올라본 자슥의 기특한 말이다. 하하!

“그러면 오늘은 한라산에 붙은 오름을 다녀온 뒤 돈내코에 가서 시원한 계곡물에 한번 담가보자.” “돈내코요? 거기 돈 내고 들어가는 곳이에요?” 돈내코를 처음 들어보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녀석들이 치기 섞인 웃음으로 물어온다. 요즘엔 나도 그들의 농담을 받아 이렇게 대답한다. “오늘 특별히 너희들은 공짜로 해주마. 하하~”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두 줄기 원앙폭포수가 네 줄기 날갯짓을 하는 그 자리에서 부자는 저 떨어지는 물처럼 서로에게 마음을 전한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하얀 햇살의 기운이 울창한 숲을 뚫고 들어왔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돈내코 계곡 입구에 들어서면서부터 계곡이 발산하는 강한 흡입력을 느낀다. 여느 계곡의 흔하고 음습한 기운 따위가 아니다. 이 계곡에서 전해지는 맑고 투명함은 태초의 것 같다. 청량한 음의 기운이 느껴져 온다. 원앙폭포를 향하여 녹음 우거진 나뭇길을 따라 걷노라면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 새소리가 우리의 입을 막는다. 딴 세상 이야기일랑은 여기 와 하지 말란다. 그러한 돈내코의 힘은 한라 영실(靈室)의 탯줄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이리라.

운동을 하는 녀석들이라 자연에 대한 감흥이 덜할 것 같기도 하였는데 계곡길을 걷는 내내 녀석들은 돈내코에 든 감동을 잔잔히 뱉어내더니, 여기 원앙폭포 앞에 섰을 땐 내가 처음으로 이곳을 보았을 때보다 더한 찬탄을 쏟아낸다. 장마가 지난 물이라 혼탁할지 모르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이 한라의 물은 땅속 깊숙한 심연으로부터 끌어올려진 것이라 더욱 푸르게 흐른다. 게다가 원래 두 줄기인 원앙폭포는 네 명의 아이들을 위하여 오늘 네 줄기 굵은 물살을 쏟아내린다.

제주에는 수량이 풍부한 계곡이나 하천을 만나기가 힘들기에 제주에 와서 물이 흐르는 심산유곡을 찾아 휴양을 하고 가는 여행객들이 드물다. 이곳 돈내코도 아직까지는 제주인들만의 여름휴양지로 숨겨져 있지 싶다. 제주분들께서 이 원앙폭포를 찾는 이유는 이 계곡물의 특별한 효험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바다에서 오래도록 물질을 하며 살아오신 탓에 신경통 같은 질환이 많은 해녀분들께서는 칠월칠석날이나 백중날에 이 물을 맞으러 많이들 찾아오신다.

돈내코에 대한 어원은 분분한데 어떤 이는 이 지역에 산돼지(豚)가 많이 출몰하여 붙여진 지명이라 하기도 한다. 어느 제주 산악인에게 전해들은 설명이 조금 더 설득력있게 여겨지는데 그 분의 말씀인즉, 안동의 하회(河回) 마을을 그려보라 하신다. 하회마을은 ‘물이 돌아 흐르는 동리, 즉 물돌이 동’이란 뜻이다. 돈내코는 한라산 영실계곡에서 시작되어 남서쪽으로 흐르던 계곡의 물줄기가 이 위치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급선회하여 흐르는 지형의 이름이라 하신다. 돈은 ‘돌다’를 표현한 약어이며 내는 말 그대로 내(川)를 뜻한다. 코는 어느 장소를 집어 이야기하는 제주말이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두 번째 폭포가 안개 속에서 모습을 나타냈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원앙폭포는 눈으로만 즐기는 폭포가 아니다. 수영을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저 신비로운 색의 소(沼)에서 적당히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폭포 위 절벽까지 올라가 폭포를 내려다볼 수도 있다. 천지연폭포니 정방폭포니 하는 곳에선 할 수 없는 경험이다. 

아마도 지난 비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이르게 떨어지고야 만 낙엽 몇 장이 고적함을 우려내는 원앙폭포 위쪽 너럭바위 위에 다관과 찻잔을 올려놓았다. 볼레오름 정상에서 맛보려고 준비한 얼렁차였다. 오름 산행은 무산되었지만 오히려 이리 살아 흐르는 돈내코 청잣물에 와서 차는 그 진성을 우리어 낼 것이다. 심산유곡의 계곡과 청잣빛 자연에서 차를 마시는 녀석들. 계곡물에 흠뻑 젖은 자연의 모습으로 자연 속에서 자연을 마시고 있다.

한 조각씩의 토스트와 계곡라면, 그리고 두어 잔씩의 한라산 계곡주로 자연과 벗할 기운을 만들고 난 후 돈내코가 품고 있는 ‘신비의 문’ 두개를 더 열기로 했다.

“아저씨! 저 위쪽으로 폭포가 하나 더 있는데 거기가 더 좋아요”, “그래, 얼렁차 한잔씩 마시고 얼렁~가보자꾸나~.”
저 멀리 깊숙한 곳에서 떨어지는 두 번째 폭포의 물줄기가 보인다. 계곡을 따라 물을 밟으며 바위를 디디며 걸어 올라보자. 

드디어 두 번째 ‘비밀의 문’ 앞에 섰다. 폭포수가 나부껴 주는 계곡의 안개는 햇살을 머금고 더욱 신묘한 분위기를 내어 준다. 원앙폭포보다는 규모가 조금 작아 보이지만 그 앞에 서면 웅장함 속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에 소름끼치도록 취하게 된다.

폭포의 소는 역시 사람 키의 몇 길은 되어 보이고 녹담의 하늘 물은 이곳까지 흘러흘러 머나먼 여정을 푸른 물로 쏟아 내리고 있다. 여름날 살갗을 일으키며 두 손을 모은다. 산중문답(山中問答)을 그려 낸 중국 당대의 시인 이백의 마음이 이런 마음이 아니었을까.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너럭바위 위에 다관과 찻잔을 올려놓았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원앙폭포 위쪽으로 올라가면 이렇게 놀 자리가 나온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녀석들이 아무도 없는 폭포와 소를 호젓하게 즐기는 동안에 폭포 위로 올라가 아이들을 바라다본다. 아이들이 참으로 티 없고 깨끗하게 보인다. 자연 속 폭포수가 떨어지는 맑은 계곡 속이기에 더욱 그러하리라. 다시 육지로 돌아가 어느 곳에 있던지 이 자리에서처럼 맑아 보였으면 좋겠다. 그런 녀석들의 해맑음으로 인해 주변까지 맑아졌으면 좋겠다는 내 생각은 너무나 큰 바람일까?

돈내코 계곡에서 저렇게 꾸밈없는 아이들은 명상과 다름없다. 도시에서의 명상은 훈련을 필요로 하겠지만 대자연 속의 저 아이들에겐 저리 있는 그대로가 명상이며 수련일 것이다. 물론 조금 더 집중하여 이 계곡의 기운과 더 소통할 수도 있겠지만 오늘 저 아이들에겐 이것으로도 흡족하게 보인다. 폭포수로 떨어지는 하늘 물의 기운과 비밀의 문이 내어주는 영롱한 빛을 고스란히 받았을 테니.

돈내코 첫 방문에 이 자리까지 들었다면 아이들은 제주를 선택하고 돈내코는 아이들을 선택했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자연과 아이들 사이에 오묘한 기운이 오고 간다.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세 번째 폭포 아래에 서다. 저 물에 몸을 한번 적신다면 거울처럼 맑아질 수 있을까? 2006년 8월. 사진 / 나미송 기자

선택의 문을 지나 또 다시 열리는 세 번째 비밀의 문이 저 가까이에서 부자를 이끈다. 조금만 더 가보자. 아니,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눈길이 먼저 가고 발길이 그리로 당겨진다. 그리로 끌리어 간다.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점점 더 깊어지는 심경을 뭐라고 해야 하나.

낙수의 기운을 받은 계곡물은 청자빛 더욱 짙어져 명경지수(明鏡止水) 그 고요함과 반짝임으로 흐른다. 저 폭포물이라면 맞아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폭포수 뒤로는 바위집 형태로 막혀져 있는데, 비록 그리 굵지 않은 물줄기이지만 떨어지는 물소리가 바위집 안에서 소용돌이쳐 들리니 벼락같은 물소리에 내 안의 죄 많은 것들이 놀라 혼을 잃는다. 자연의 소리로써 한번 씻기운 느낌….

물소리와 나 천지간에 단 둘만이 있는 느낌. 바위를 뚫고 떨어지는 물이 나를 뚫을 때면, 어느덧 두려운 굉음은 사라지고 고요의 한가운데에 선 채로 나는 저 청명한 씻기움의 물로써 나 아닌 나를 씻어내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